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와 시지기

"7천만"에게 보내는 향서
2019년 11월 28일 22시 05분  조회:1377  추천:0  작성자: 죽림

메아리 그리고 봄우뢰(외2수)

 

                    죽림

 

 

백두산 메아리도

한라산 메아리도

하얗게 바래며

혼백으로 익힌 소리 소리

장벽의

     울부짖음에

        손톱 여물 깨고지고...

봄우뢰 울고지고...

 

 

 

"7천만"에게 보내는 향서

 

 

삼천리 금수강산아,-

새하야니

새하야니

너도 나도 타(他)도 가슴을 열자...

맘과 맘 너머 벽을 허물자...

선과 선 사이길에 꽃잔디 심자...

 

오해 아닌 최대의 죄악의 오해와

시비 아닌 최대의 죄악의 시비와

슬픔 아닌 최대의 죄악의 슬픔과

고독 아닌 최대의 죄악의 고독과

랑비 아닌 최대의 죄악의 랑비와

이산 아닌 최대의 죄악의 이산을 안고

두만강을 건너 온 할배는 북녘땅에 딸을 묻은채

압록강을 건너 온 할매는 남녘땅에 아들 묻은채

등천길에 허위허위 오르며 눈을 감지 못하고지고...

 

"7천만"은 고향도 없다...

"7천만"은 번지도 없다...

 

여보소, 벗님네들,-

살아서 한냥짜리가 될가??

죽어서 천만냥짜리가 될가!!

모두들 종당엔 저ㅡ 높은 산아래

       자그마한 "산"이 되련만!!! 

 

아희야,ㅡ 

삼천리 금수강산아,-

새하야니

새하야니

"7천만"에게 고향을 찾아주자...

"7천만"에게 번지를 달아주자...

 

 

망향편지

 

엄마,-

엄마는 호롱불 밑에서 이 새벽녘까지

수해(嗽咳)에 시름시들 하면서

두만강 투망을 다아 깁어놓으셨능기여

 

엄마,-

새벽녘 짓깨는 소리 듣는 순간

고향 엄마는

마냥

이내 눈가에 대롱대롱 밟혀오고 있었쑤예

 

두만강으로

찬란히 달려나가 보았쓔예

두만강은 

모든 것

다ㅡ

"주저리주저리" 받아주고 있었쑤꾸매

성스러운 울 고향 엄마처럼...

 



 

룡정 명동 하늘가에 별무리 흐른다

 

               

                            

 

오늘 따라 용두레우물가 왕버들나무 지나 

 

 

저기  룡정 동산마루 너머 별들이 쏟아진다

 

 

 

희끄무러한 광목천 보자기에서 노닐던 별들과

코쓰깨로 윤나다 팔소매끝자락에서 뛰쳐나온 별들과

 

 

앞집 뒷집 삽작문 건너 설기떡 미역국에 띄웠던 별들과

 

 

민들레며 냉이며 고사리며 도라지며가 살점이였던 별들과

 

 

도깨비짐승들과 장돌뱅이짐승들이 마을안팎 노릴던 별들과

 

 

태극문양 정나는 팔간집의 호롱불속에서 꿈자락 펼치던 별들과...

 

 

 

...

어머님

나는  하나에 아름다운   마디씩 불러 봅니다

소학교  책상을 같이 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페이(), (), 위이(이런 이국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아기 어머니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강아지토끼노새노루

'프랑시스 ',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윤동주  “별을 헤는 에서

 

 

                      1941.11.5.

 

 

 

오늘도 "흙으로 덮어 버린별들이 

초롱초롱 이슬 맺혀 즈려밟혀오고

 

 

"부끄러움" 별과 함께 

 

 

아리랑 고개 너머 넘어 

 

 

룡정 명동 하늘가에 별무리 흘러 흐른다...

 

 

 

오호라,

불멸의 영원한 청년이여-

 

 

별을 헤는 동주의  “이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38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8 "별"을 불러보는 시간입니다... 2019-02-22 0 1242
97 "고삐", 개, 그리고 그라프... 2019-01-13 0 1200
96 [그때 그시절] - 사진 한컷 = "두만강여울소리"와 함께... 2018-11-14 0 1224
95 시지기도 왼쪽에 서서 한컷 찰칵... 2018-10-29 0 1530
94 동시인 강려 동시 "벌레들의 별명"과 시지기 죽림 "패러디동시" "별레들 별명의 '반란' " 2017-12-22 0 1624
93 한글권 <<록색문학평화>>을 위하여... 2017-11-12 0 1514
92 시지기는 시지기인가 시지기이지 그리고 또 시지기이지... 2017-11-02 0 1536
91 시혼과 함께 새하야니 새하야니ㅡ (시집을 갈무리하며...) 2017-06-18 0 1569
90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8) 2017-06-15 0 1768
89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7) 2017-06-14 0 1617
88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6) 2017-06-12 0 1447
87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5) 2017-06-09 0 1346
86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4) 2017-06-09 0 1318
85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3) 2017-06-01 0 1552
84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2) 2017-05-31 0 1607
83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1) 2017-05-30 0 1217
82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0) 2017-05-28 0 1402
81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9) 2017-05-28 0 1439
80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8) 2017-05-24 0 1294
79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7) 2017-05-23 0 1291
78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6) 2017-05-22 0 1018
77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5) 2017-05-19 0 1028
76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4) 2017-05-17 0 1343
75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3) 2017-05-15 0 1345
74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2) 2017-05-13 1 1245
73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1) 2017-05-05 0 1384
72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0) 2017-05-05 0 1273
71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9) 2017-05-04 0 1056
70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8) 2017-05-02 0 1255
69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7) 2017-05-01 0 1166
68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6) 2017-04-30 0 1071
67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5) 2017-04-24 0 1046
66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4) 2017-04-23 0 982
65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3) 2017-04-20 0 940
64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2) 2017-04-19 0 1016
63 竹林 새벽 번역 詩 2017-04-09 1 1145
62 탈축제 2017-04-09 0 1048
61 역시 과앙주(廣州) 현(헌)님께 화답하며ㅡ 2017-04-09 0 1182
60 과앙주 현(헌)님께 화답하며... 2017-04-09 0 1178
59 竹林 자작詩 中文번역詩 2017-02-05 0 1177
‹처음  이전 1 2 3 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