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공부시간]- 詩에서 빈자리 보기
2016년 03월 29일 07시 46분  조회:4866  추천:0  작성자: 죽림
2. 관찰하는 방법

일상의 범상한 눈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예리한 관찰이 필요하다. 순간순간 변하는 햇빛에 의해 몸을 바꾸는 사물, 계절의 변화에 반응하는 나무의 섬세한 변화를 놓치지 않는 정확하고 날카로운 눈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새로운 발견이 가능하다.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마음의 눈을 열어야 한다. 사물들이 항복을 할 때까지, 즉 작은 세계 속에 들어있는 의미를 찾아야 한다. (예 : 달개비 떼 앞에 쭈그리고 앉아/꽃 하나하나를 들여다 본다/이 세상 어느 코끼리 이보다도 하얗고/이쁘게 끝이 살짝 말린 수술/둘이 상아처럼 뻗쳐 있다. - 황동규, <풍장?58 일부) 평소 우리가 어떤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지 한 번 살펴보자.


□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이토 게이치)

(1) 나무를 그냥 나무로 본다.
(2) 나무의 종류와 모양을 본다.
(3) 나무가 어떻게 흔들리고 있는가를 본다.
(4) 나무의 잎사귀들이 움직이는 모양을 세밀하게 살펴본다.
(5) 나무 속에 승화되어 있는 생명력을 본다.
(6) 나무의 모양과 생명력의 상관관계를 본다.
(7) 나무의 생명력이 뜻하는 그 의미와 사상을 읽어본다.
(8) 나무를 통해 나무 그늘에 쉬고 간 사람들을 본다.
(9) 나무를 매개로 하여 나무 저쪽에 있는 세계를 본다.

1-4는 외형적 관찰임. 그나마 일상적 상식적 차원에서는 1-2의 눈으로 본다. 3-4는 한 걸음 앞선 태도이긴 하지만 외형적인 관찰이며 따라서 그다지 깊은 관찰이라 할 수 없다. 5-7은 그렇지 않다. 일상적 상식적 차원을 벗어나 보이지 않는 나무의 모습이 우리 앞에 드러난다. 나무의 생명력이나 그 의미, 사상 같은 것은 보이지 않는 대상이다. 즉 그 내면을 보는 시각. 상상력의 소산으로 나무가 변용 되고 있으나 자리를 벗어나지 못한다. 8-9에 이르러 비로소 눈부신 비약적 변용으로 나무는 자리를 옮긴다. 쉬고 간 사람들이 쉬는 그 동안에 이런 일, 저런 일을 생각해 본 인생의 갖가지 사연이 얽혀 있는 자리인 것이다. 9단계에서 상상력의 극대화를 기해 인생 만사와 우주의 삼라만상을 포괄할 수 있다. 한 나무를 통해 이처럼 광대한 다른 세계를 볼 수 있다는 것은 기적. 그 기적을 낳는 원동력이 상상력이다. (예 : 뉴턴의 만유인력은 이런 상상력에서 출발)


* 의인화된 나무가 어떤 이미지로 나타나 있는가.

그 잎에 흘러내리는 햇빛과 입 맞추며/나무는 그의 힘을 꿈꾸고/그 위에 내리는 비와 뺨 부비며 나무는/소리내어 그의 피를 꿈꾸고/가지에 부는 바람의 푸른 힘으로 나무는/자기의 生이 흔들리는 소리를 듣는다.
- 정현종, <사물의 꿈 1- 나무의 꿈>


* 나무/꽃의 어떤 모습이 의미화 되고 있는가.

저 꽃의 영혼은/추워서 방으로 들어갔단다//추운 집밖을 나서다 보니/시든 꽃 한송이/영혼이 저만 따뜻한 곳 찾아 들어가버린//아니면 시들어가면서 꽃이/영혼 먼저 들여보냈나?//영혼이 놓아두고 간/시든 꽃잎들은/이제 아무데로나 떨어져내릴 것이다//추위를 견딜 마지막 힘조차 잃었는가//방 안에서 잠시 쉬었다/봄이 되면/다른 꽃을 찾아들리//꽃들은 끝내 시들고/시들지 않는 영혼만이 천년 만년 새로운 꽃으로 옮겨 다닌다
- 이선영, <시든 꽃>


가. 관찰하는 눈은 정확하고 선명해야 한다.

텔레비전을 끄자/풀벌레 소리/어둠과 함께 방 안 가득 들어온다/어둠 속에 들으니 벌레 소리들 환하다/별빛이 묻어 더 낭랑하다/귀뚜라미나 여치 같은 큰 울음 사이에는/너무 작아 들리지 않는 소리도 있다/그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한다/내 귀에는 들리지 않는 소리들이 드나드는/그 까맣고 좁은 통로들을 생각한다/그 통로의 끝에 두근거리며 매달린/여린 마음들을 생각한다/발뒤꿈치처럼 두꺼운 내 귀에 부딪쳤다가/되돌아간 소리들을 생각한다/브라운관이 뿜어 낸 현란한 빛이/내 눈과 귀를 두껍게 채우는 동안/그 울음소리들은 수없이 나에게 왔다가/너무 단단한 벽에 놀라 되돌아갔을 것이다/하루살이들처럼 전등에 부딪쳤다가/바닥에 새카맣게 떨어졌을 것이다/크게 밤공기 들이쉬니/허파 속으로 그 소리들이 들어온다/허파도 별빛이 묻어 조금은 환해진다
- 김기택,<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


나. 사물만 보지 말고 그 빈자리를 보자.

사과를 손에 들고 꽃이 있던 자리, 향을 맡는다/꽃이 피던 자리에는 벌이 와서 울던 소리가 남아 있다/아내에게 미안한 일이다 꽃이 얼마간 피어있던/꽃받침을 아내는 기억 못 한 것 같다 벼껍질로 남은/몇 개 꽃받침은 사과의 배꼽, 오목한 상흔, 낙화보다/슬픈 시간이 갔다 꽃은 자신을 얼마나 애지중지했는가/한 입에 쪽이 지는 홍옥 소년의 향긋함,/해숙씨/사과엄마는 그 연분홍 어린 꽃이 아니었겠니 그리고/어린 그 꽃은 과수의 아이가 아니었겠니
- 고형렬, <꽃자리>

언덕에서 한 빈집을 내려다보았다/빈집에는/무언가 엷디엷은 것이 사는 듯했다/무늬들이다/사람들이 제 것인 줄 모르고 버리고 간/심심한 날들의 벗은 마음/아무 쓸모없는 줄 알고 떼어놓고 간/심심한 날들의 수없이 그린 생각/무늬들은 제 스스로 엷디엷은 몸뚱이를 얻어/빈집의 문을 열고 닫는다/너무 엷디엷은 제 몸뚱이를 겹쳐/빈집을 꾸민다/때로 서로 부딪치며/빈집을 이겨낸다/언덕 아래 빈집/늦은 햇살이 단정히 모여든 그 집에는/무늬들이 매만지는 세상 이미 오랬다
- 이진명, <무늬들은 빈집에서>

==============================================================

311. 비밀 / 최영철













비밀

최 영 철

반찬거리 파는 할머니
조르지도 않았는데
주위 눈치 보며 얼른
새싹 몇 잎 더 넣어준다
할머니와 나만 아는 비밀
다른 사람 절대 알아선 안 되는
무슨 돌이킬 수 없는
불륜이라도 저지른 듯
콩닥콩닥 가슴이 뛰었다


최영철 시집 <찔러본다>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03 중국 조선족 문단 "문화독립군"들 2016-11-11 0 3565
1802 "은진"과 동주 2016-11-11 0 3983
1801 "명동"과 동주 2016-11-11 0 3566
1800 詩人은 삶이란 진액을 증류해서 뽑아내는 련금술사이다... 2016-11-11 0 3258
1799 詩를 배우려는 초학자에게 보내는 편지 2016-11-11 0 3540
1798 詩란 의지와 령혼의 몸부림이다.../ 시의 흥취 10 2016-11-11 0 3448
1797 토템문화를 알아보다... 2016-11-11 0 3754
1796 가사창작할 때 <<아리랑>>을 람용하지 말자... 2016-11-10 0 3824
1795 개성이 없는 예술작품은 독자들의 호감을 살수 없다... 2016-11-10 0 3291
1794 가사창작도 예술품 제작이다... 2016-11-10 0 3860
1793 가사가 대중성이 없이 독서적인 향수를 느낄수 있어도 좋다... 2016-11-10 0 3868
1792 시조짓기에서 3장6구는 완결된 뜻의 장(章)을 이루어야... 2016-11-10 0 3786
1791 詩作할 때 민족의 정서와 녹익은 가락을 집어 넣어라... 2016-11-10 0 3810
1790 심련수, 27세의 짧은 생애에 근 250여편의 문학유고 남기다... 2016-11-10 0 3974
1789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2016-11-10 0 3682
1788 일기책에 늘 단시를 적으라... 2016-11-10 0 3578
1787 詩는 그래도 탁마해야 제맛이 난다... 2016-11-10 0 3511
1786 세우는데는 석삼년, 허물어 버리는데는 "단 하루 아침" 2016-11-10 0 3668
1785 노루 친 막대기를 석삼년, 아니 30년 더 넘어 우려먹다... 2016-11-10 0 3948
1784 중국 조선족 문학사에서 첫 "단행본아동작가론" 해빛 보다... 2016-11-10 0 3591
1783 詩人은 시시비비, 진진허허의 대문을 여는 도인이다... 2016-11-10 0 4171
1782 詩人이라 하여 모두가 詩人인것은 아니다... 2016-11-10 0 3705
1781 늦둥이 시인 하이퍼시집 낳다... 2016-11-10 0 4387
1780 중국 조선족 문단 생태문학을 알아보다... 2016-11-10 0 3763
1779 참된 문학은 머물러있는 문학, 가짜문학은 흘러가는 문학 2016-11-10 0 3906
1778 중국 조선족 시조문학을 파헤쳐보다... 2016-11-10 0 4064
1777 리상각 / 김관웅 / 조성일 / 허동식 2016-11-10 0 4119
1776 중국 조선족 록의 왕 - 최건도 음유시인 아니다?... 옳다...! 2016-11-10 0 3741
1775 윤동주의 시는 현실적 모순의 내면적인 목소리이다... 2016-11-10 0 4110
1774 "내 령혼이 내 말 속으로 들어간다"... 2016-11-09 0 4080
1773 詩는 감각과 정신을 제거한 무아에서 령감을 얻어 詩作해야... 2016-11-09 0 3479
177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시에 젖은 아이들은 아름답다... 2016-11-07 0 4278
1771 詩는 삶의 구석구석에 숨어 있다... 2016-11-07 0 4031
1770 그는 그람이라는 칼을 집어 두 사람 사이에 놓았다... 2016-11-07 0 4151
1769 거대한 장서더미속에서 맹인으로 보낸 인생의 후반부 빛났다... 2016-11-07 0 3910
1768 詩는 말을 넘어서 상징과 음악성속에 존재한다... 2016-11-07 0 5633
1767 최고의 작품은 최대의 상상에서 생긴다... 미국 포우 2016-11-07 0 4394
1766 가장 오랜전 <<령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者 - 플라톤...?...! 2016-11-07 0 3806
1765 중국 당나라 녀류시인 - 설도 2016-11-07 0 4027
1764 중국 유명한 시인들을 알아보기 2016-11-07 0 3829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