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공부시간]- 詩에서 빈자리 보기
2016년 03월 29일 07시 46분  조회:4865  추천:0  작성자: 죽림
2. 관찰하는 방법

일상의 범상한 눈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예리한 관찰이 필요하다. 순간순간 변하는 햇빛에 의해 몸을 바꾸는 사물, 계절의 변화에 반응하는 나무의 섬세한 변화를 놓치지 않는 정확하고 날카로운 눈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새로운 발견이 가능하다.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마음의 눈을 열어야 한다. 사물들이 항복을 할 때까지, 즉 작은 세계 속에 들어있는 의미를 찾아야 한다. (예 : 달개비 떼 앞에 쭈그리고 앉아/꽃 하나하나를 들여다 본다/이 세상 어느 코끼리 이보다도 하얗고/이쁘게 끝이 살짝 말린 수술/둘이 상아처럼 뻗쳐 있다. - 황동규, <풍장?58 일부) 평소 우리가 어떤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지 한 번 살펴보자.


□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이토 게이치)

(1) 나무를 그냥 나무로 본다.
(2) 나무의 종류와 모양을 본다.
(3) 나무가 어떻게 흔들리고 있는가를 본다.
(4) 나무의 잎사귀들이 움직이는 모양을 세밀하게 살펴본다.
(5) 나무 속에 승화되어 있는 생명력을 본다.
(6) 나무의 모양과 생명력의 상관관계를 본다.
(7) 나무의 생명력이 뜻하는 그 의미와 사상을 읽어본다.
(8) 나무를 통해 나무 그늘에 쉬고 간 사람들을 본다.
(9) 나무를 매개로 하여 나무 저쪽에 있는 세계를 본다.

1-4는 외형적 관찰임. 그나마 일상적 상식적 차원에서는 1-2의 눈으로 본다. 3-4는 한 걸음 앞선 태도이긴 하지만 외형적인 관찰이며 따라서 그다지 깊은 관찰이라 할 수 없다. 5-7은 그렇지 않다. 일상적 상식적 차원을 벗어나 보이지 않는 나무의 모습이 우리 앞에 드러난다. 나무의 생명력이나 그 의미, 사상 같은 것은 보이지 않는 대상이다. 즉 그 내면을 보는 시각. 상상력의 소산으로 나무가 변용 되고 있으나 자리를 벗어나지 못한다. 8-9에 이르러 비로소 눈부신 비약적 변용으로 나무는 자리를 옮긴다. 쉬고 간 사람들이 쉬는 그 동안에 이런 일, 저런 일을 생각해 본 인생의 갖가지 사연이 얽혀 있는 자리인 것이다. 9단계에서 상상력의 극대화를 기해 인생 만사와 우주의 삼라만상을 포괄할 수 있다. 한 나무를 통해 이처럼 광대한 다른 세계를 볼 수 있다는 것은 기적. 그 기적을 낳는 원동력이 상상력이다. (예 : 뉴턴의 만유인력은 이런 상상력에서 출발)


* 의인화된 나무가 어떤 이미지로 나타나 있는가.

그 잎에 흘러내리는 햇빛과 입 맞추며/나무는 그의 힘을 꿈꾸고/그 위에 내리는 비와 뺨 부비며 나무는/소리내어 그의 피를 꿈꾸고/가지에 부는 바람의 푸른 힘으로 나무는/자기의 生이 흔들리는 소리를 듣는다.
- 정현종, <사물의 꿈 1- 나무의 꿈>


* 나무/꽃의 어떤 모습이 의미화 되고 있는가.

저 꽃의 영혼은/추워서 방으로 들어갔단다//추운 집밖을 나서다 보니/시든 꽃 한송이/영혼이 저만 따뜻한 곳 찾아 들어가버린//아니면 시들어가면서 꽃이/영혼 먼저 들여보냈나?//영혼이 놓아두고 간/시든 꽃잎들은/이제 아무데로나 떨어져내릴 것이다//추위를 견딜 마지막 힘조차 잃었는가//방 안에서 잠시 쉬었다/봄이 되면/다른 꽃을 찾아들리//꽃들은 끝내 시들고/시들지 않는 영혼만이 천년 만년 새로운 꽃으로 옮겨 다닌다
- 이선영, <시든 꽃>


가. 관찰하는 눈은 정확하고 선명해야 한다.

텔레비전을 끄자/풀벌레 소리/어둠과 함께 방 안 가득 들어온다/어둠 속에 들으니 벌레 소리들 환하다/별빛이 묻어 더 낭랑하다/귀뚜라미나 여치 같은 큰 울음 사이에는/너무 작아 들리지 않는 소리도 있다/그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한다/내 귀에는 들리지 않는 소리들이 드나드는/그 까맣고 좁은 통로들을 생각한다/그 통로의 끝에 두근거리며 매달린/여린 마음들을 생각한다/발뒤꿈치처럼 두꺼운 내 귀에 부딪쳤다가/되돌아간 소리들을 생각한다/브라운관이 뿜어 낸 현란한 빛이/내 눈과 귀를 두껍게 채우는 동안/그 울음소리들은 수없이 나에게 왔다가/너무 단단한 벽에 놀라 되돌아갔을 것이다/하루살이들처럼 전등에 부딪쳤다가/바닥에 새카맣게 떨어졌을 것이다/크게 밤공기 들이쉬니/허파 속으로 그 소리들이 들어온다/허파도 별빛이 묻어 조금은 환해진다
- 김기택,<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


나. 사물만 보지 말고 그 빈자리를 보자.

사과를 손에 들고 꽃이 있던 자리, 향을 맡는다/꽃이 피던 자리에는 벌이 와서 울던 소리가 남아 있다/아내에게 미안한 일이다 꽃이 얼마간 피어있던/꽃받침을 아내는 기억 못 한 것 같다 벼껍질로 남은/몇 개 꽃받침은 사과의 배꼽, 오목한 상흔, 낙화보다/슬픈 시간이 갔다 꽃은 자신을 얼마나 애지중지했는가/한 입에 쪽이 지는 홍옥 소년의 향긋함,/해숙씨/사과엄마는 그 연분홍 어린 꽃이 아니었겠니 그리고/어린 그 꽃은 과수의 아이가 아니었겠니
- 고형렬, <꽃자리>

언덕에서 한 빈집을 내려다보았다/빈집에는/무언가 엷디엷은 것이 사는 듯했다/무늬들이다/사람들이 제 것인 줄 모르고 버리고 간/심심한 날들의 벗은 마음/아무 쓸모없는 줄 알고 떼어놓고 간/심심한 날들의 수없이 그린 생각/무늬들은 제 스스로 엷디엷은 몸뚱이를 얻어/빈집의 문을 열고 닫는다/너무 엷디엷은 제 몸뚱이를 겹쳐/빈집을 꾸민다/때로 서로 부딪치며/빈집을 이겨낸다/언덕 아래 빈집/늦은 햇살이 단정히 모여든 그 집에는/무늬들이 매만지는 세상 이미 오랬다
- 이진명, <무늬들은 빈집에서>

==============================================================

311. 비밀 / 최영철













비밀

최 영 철

반찬거리 파는 할머니
조르지도 않았는데
주위 눈치 보며 얼른
새싹 몇 잎 더 넣어준다
할머니와 나만 아는 비밀
다른 사람 절대 알아선 안 되는
무슨 돌이킬 수 없는
불륜이라도 저지른 듯
콩닥콩닥 가슴이 뛰었다


최영철 시집 <찔러본다>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23 미국 시인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2016-12-04 0 6296
1922 미국 시인 - 랠프 윌도 에머슨 2016-12-04 0 4152
1921 [쉼터] - 원소 "주기률표"와 어머니 2016-12-03 0 10886
1920 시인, "시편", 그리고 독서 2016-12-03 0 4644
1919 영국 첫 녀성 계관시인 - 캐롤 앤 더피 2016-12-03 0 4467
1918 영국 랑만파 계관시인 - 윌리엄 워즈워스 2016-12-03 0 5488
1917 미국 계관시인 - 테드 쿠서 2016-12-03 0 4619
1916 미국 첫 라틴계 계관시인 - 후안 펠리페 에레라 2016-12-03 0 6743
1915 <<뇌의학계>> 미국 계관시인 - 오리버 색스 2016-12-03 0 3870
1914 미국 계관시인 - W.S 머윈 2016-12-03 0 3968
1913 19세기 미국 가장 독창적인 시인 - 에드거 앨런 포(포우) 2016-12-03 0 10178
1912 미국 시인 - 로버트 핀스키 2016-12-03 0 4525
1911 미국 흑인 혼혈 녀성계관시인 - 나타샤 트레세웨이 2016-12-03 0 5430
1910 미국 계관시인 - 필립 레빈 2016-12-03 0 4622
1909 詩人은 절필할줄도 알아야... 2016-12-03 0 5723
1908 나이지리아 시인 - 월레 소잉카 2016-12-01 0 6463
1907 미국 계관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2-01 0 5543
1906 詩는 기존의 삶의 설명서가 아니라 새로운 삶의 설계도이다... 2016-12-01 0 4454
1905 스페인 시인 - 후안 라몬 히메네스 2016-11-30 0 4948
1904 요절한 천재 시인 시세계를 알아보다... 2016-11-30 0 5519
1903 詩人은 자기자신의 령혼을 련금할줄 알아야... 2016-11-30 0 3771
1902 스페인 시인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2016-11-30 0 6416
1901 서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 2016-11-30 0 6879
1900 중남미 수녀 시인 - 소르 후아나 이녜스 데 라 크루스 2016-11-30 0 6641
1899 노르웨이 시인 - 비에른 스티에르네 비에른손 2016-11-30 0 5944
1898 아이슬란드 시인 - 스노리 스튀르글뤼손 2016-11-30 0 6964
1897 미국 國歌 "성조기" 작사가, 시인 - 프랜시스 스콧 키 2016-11-30 0 6862
1896 <라면> 시모음 2016-11-30 0 4715
1895 詩人은 일상의 삶을 詩처럼 살아야 한다... 2016-11-30 0 4156
1894 詩는 시인이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가 아니다... 2016-11-30 0 4453
1893 현대 환상 문학의 대가 아르헨티나 시인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2016-11-29 0 6866
1892 자연과 인생을 노래한 일본 "김삿갓 방랑 시인" - 마쓰오 바쇼 2016-11-29 1 8758
1891 조선시대 비운의 천재 녀류시인 - 허난설헌 2016-11-29 0 5369
1890 중남미 문학을 대표하는 멕시코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6-11-29 0 6356
1889 詩人은 神이 준 언어를 잘 련금술할줄 알아야... 2016-11-29 0 4312
1888 어머니, 100원, 그리고 모성애... 2016-11-28 0 4421
1887 시인, 시, 그리고 돈... 2016-11-28 0 5849
1886 문학예술인, 삶, 그리고 비극... 2016-11-28 0 4484
1885 시의 건초더미에서 찾은 "바늘" 2016-11-28 0 4558
1884 시인, 시쓰기, 그리고 시암송... 2016-11-28 0 3885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