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공부시간]- 詩에서 빈자리 보기
2016년 03월 29일 07시 46분  조회:4861  추천:0  작성자: 죽림
2. 관찰하는 방법

일상의 범상한 눈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예리한 관찰이 필요하다. 순간순간 변하는 햇빛에 의해 몸을 바꾸는 사물, 계절의 변화에 반응하는 나무의 섬세한 변화를 놓치지 않는 정확하고 날카로운 눈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새로운 발견이 가능하다.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마음의 눈을 열어야 한다. 사물들이 항복을 할 때까지, 즉 작은 세계 속에 들어있는 의미를 찾아야 한다. (예 : 달개비 떼 앞에 쭈그리고 앉아/꽃 하나하나를 들여다 본다/이 세상 어느 코끼리 이보다도 하얗고/이쁘게 끝이 살짝 말린 수술/둘이 상아처럼 뻗쳐 있다. - 황동규, <풍장?58 일부) 평소 우리가 어떤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지 한 번 살펴보자.


□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이토 게이치)

(1) 나무를 그냥 나무로 본다.
(2) 나무의 종류와 모양을 본다.
(3) 나무가 어떻게 흔들리고 있는가를 본다.
(4) 나무의 잎사귀들이 움직이는 모양을 세밀하게 살펴본다.
(5) 나무 속에 승화되어 있는 생명력을 본다.
(6) 나무의 모양과 생명력의 상관관계를 본다.
(7) 나무의 생명력이 뜻하는 그 의미와 사상을 읽어본다.
(8) 나무를 통해 나무 그늘에 쉬고 간 사람들을 본다.
(9) 나무를 매개로 하여 나무 저쪽에 있는 세계를 본다.

1-4는 외형적 관찰임. 그나마 일상적 상식적 차원에서는 1-2의 눈으로 본다. 3-4는 한 걸음 앞선 태도이긴 하지만 외형적인 관찰이며 따라서 그다지 깊은 관찰이라 할 수 없다. 5-7은 그렇지 않다. 일상적 상식적 차원을 벗어나 보이지 않는 나무의 모습이 우리 앞에 드러난다. 나무의 생명력이나 그 의미, 사상 같은 것은 보이지 않는 대상이다. 즉 그 내면을 보는 시각. 상상력의 소산으로 나무가 변용 되고 있으나 자리를 벗어나지 못한다. 8-9에 이르러 비로소 눈부신 비약적 변용으로 나무는 자리를 옮긴다. 쉬고 간 사람들이 쉬는 그 동안에 이런 일, 저런 일을 생각해 본 인생의 갖가지 사연이 얽혀 있는 자리인 것이다. 9단계에서 상상력의 극대화를 기해 인생 만사와 우주의 삼라만상을 포괄할 수 있다. 한 나무를 통해 이처럼 광대한 다른 세계를 볼 수 있다는 것은 기적. 그 기적을 낳는 원동력이 상상력이다. (예 : 뉴턴의 만유인력은 이런 상상력에서 출발)


* 의인화된 나무가 어떤 이미지로 나타나 있는가.

그 잎에 흘러내리는 햇빛과 입 맞추며/나무는 그의 힘을 꿈꾸고/그 위에 내리는 비와 뺨 부비며 나무는/소리내어 그의 피를 꿈꾸고/가지에 부는 바람의 푸른 힘으로 나무는/자기의 生이 흔들리는 소리를 듣는다.
- 정현종, <사물의 꿈 1- 나무의 꿈>


* 나무/꽃의 어떤 모습이 의미화 되고 있는가.

저 꽃의 영혼은/추워서 방으로 들어갔단다//추운 집밖을 나서다 보니/시든 꽃 한송이/영혼이 저만 따뜻한 곳 찾아 들어가버린//아니면 시들어가면서 꽃이/영혼 먼저 들여보냈나?//영혼이 놓아두고 간/시든 꽃잎들은/이제 아무데로나 떨어져내릴 것이다//추위를 견딜 마지막 힘조차 잃었는가//방 안에서 잠시 쉬었다/봄이 되면/다른 꽃을 찾아들리//꽃들은 끝내 시들고/시들지 않는 영혼만이 천년 만년 새로운 꽃으로 옮겨 다닌다
- 이선영, <시든 꽃>


가. 관찰하는 눈은 정확하고 선명해야 한다.

텔레비전을 끄자/풀벌레 소리/어둠과 함께 방 안 가득 들어온다/어둠 속에 들으니 벌레 소리들 환하다/별빛이 묻어 더 낭랑하다/귀뚜라미나 여치 같은 큰 울음 사이에는/너무 작아 들리지 않는 소리도 있다/그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한다/내 귀에는 들리지 않는 소리들이 드나드는/그 까맣고 좁은 통로들을 생각한다/그 통로의 끝에 두근거리며 매달린/여린 마음들을 생각한다/발뒤꿈치처럼 두꺼운 내 귀에 부딪쳤다가/되돌아간 소리들을 생각한다/브라운관이 뿜어 낸 현란한 빛이/내 눈과 귀를 두껍게 채우는 동안/그 울음소리들은 수없이 나에게 왔다가/너무 단단한 벽에 놀라 되돌아갔을 것이다/하루살이들처럼 전등에 부딪쳤다가/바닥에 새카맣게 떨어졌을 것이다/크게 밤공기 들이쉬니/허파 속으로 그 소리들이 들어온다/허파도 별빛이 묻어 조금은 환해진다
- 김기택,<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


나. 사물만 보지 말고 그 빈자리를 보자.

사과를 손에 들고 꽃이 있던 자리, 향을 맡는다/꽃이 피던 자리에는 벌이 와서 울던 소리가 남아 있다/아내에게 미안한 일이다 꽃이 얼마간 피어있던/꽃받침을 아내는 기억 못 한 것 같다 벼껍질로 남은/몇 개 꽃받침은 사과의 배꼽, 오목한 상흔, 낙화보다/슬픈 시간이 갔다 꽃은 자신을 얼마나 애지중지했는가/한 입에 쪽이 지는 홍옥 소년의 향긋함,/해숙씨/사과엄마는 그 연분홍 어린 꽃이 아니었겠니 그리고/어린 그 꽃은 과수의 아이가 아니었겠니
- 고형렬, <꽃자리>

언덕에서 한 빈집을 내려다보았다/빈집에는/무언가 엷디엷은 것이 사는 듯했다/무늬들이다/사람들이 제 것인 줄 모르고 버리고 간/심심한 날들의 벗은 마음/아무 쓸모없는 줄 알고 떼어놓고 간/심심한 날들의 수없이 그린 생각/무늬들은 제 스스로 엷디엷은 몸뚱이를 얻어/빈집의 문을 열고 닫는다/너무 엷디엷은 제 몸뚱이를 겹쳐/빈집을 꾸민다/때로 서로 부딪치며/빈집을 이겨낸다/언덕 아래 빈집/늦은 햇살이 단정히 모여든 그 집에는/무늬들이 매만지는 세상 이미 오랬다
- 이진명, <무늬들은 빈집에서>

==============================================================

311. 비밀 / 최영철













비밀

최 영 철

반찬거리 파는 할머니
조르지도 않았는데
주위 눈치 보며 얼른
새싹 몇 잎 더 넣어준다
할머니와 나만 아는 비밀
다른 사람 절대 알아선 안 되는
무슨 돌이킬 수 없는
불륜이라도 저지른 듯
콩닥콩닥 가슴이 뛰었다


최영철 시집 <찔러본다>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43 아버지를 좀 안아 드려야 할것같은 가을이다... 2016-10-12 0 4115
1642 굴레가 되고 싶지 않다... 2016-10-10 0 4505
1641 김수영 시인을 다시 떠올리면서... 2016-10-10 0 4974
1640 풀의 시인 김수영 非발표작 詩 공개되다... 2016-10-10 0 4762
1639 저항시인 이육사 미발표 詩 발굴되다... 2016-10-10 0 5123
1638 윤동주 미발표작 詩 발굴되다... 2016-10-10 0 3810
1637 "윤동주 미발표 詩 더 있다" 2016-10-10 0 4710
1636 詩란 사모곡(思母曲)이다... 2016-10-10 0 4154
1635 詩는 리태백과 두보와 같다...처..ㄹ... 썩... 2016-10-09 0 4330
1634 詩는 무지개의 빛갈과 같다... 아니 같다... 2016-10-09 0 4364
1633 현대시사상 가장 다양한 시형의 개척자 - 김수영 2016-10-06 0 4997
1632 詩란 무구(無垢)한 존재이며 무구한 국가이다... 2016-10-06 0 4736
1631 詩는 추상의 반죽 덩어리... 2016-10-06 0 4314
1630 詩는 시골이다... 2016-10-03 0 4156
1629 詩란 주사위 던지기와 같다... 2016-10-02 0 4174
1628 詩란 100년의 앞을 보는 망원경이다... 2016-10-01 0 4426
1627 詩는 가장 거대한 백일몽 2016-10-01 0 4491
1626 詩人은 존재하지 않는 詩의 마을의 촌장 2016-10-01 0 4672
1625 詩人은 오늘도 詩作을 위해 뻐꾹새처럼 울고지고... 2016-10-01 0 4770
1624 詩作에서 구어체 편지형식을 리용할수도 있다... 2016-10-01 0 4623
1623 詩人은 약초 캐는 감약초군이다... 2016-10-01 0 4860
1622 詩人는 언어란 감옥의 감옥장이다... 2016-10-01 0 4617
1621 詩人은 추상화와 결혼해야... 2016-10-01 0 4929
1620 詩란 섬과 섬을 잇어놓는 섶징검다리이다... 2016-10-01 0 4391
1619 詩란 돌과 물과 바람들의 침묵을 읽는것... 2016-10-01 0 4525
1618 詩란 사라진 시간을 찾아 떠나는 려행객이다... 2016-10-01 0 4915
1617 詩作란 황새의 외다리서기이다... 2016-10-01 0 5462
1616 詩란 한잔 2루피 찻집의 호롱불이다... 2016-10-01 0 4442
1615 詩란 사라진 길을 찾는 광란이다.... 2016-10-01 0 4923
1614 詩는 한해살이풀씨를 퍼뜨리듯 질퍽해야... 2016-10-01 0 4544
1613 나는 다른 시인이 될수 없다... 2016-10-01 0 5641
1612 詩는 국밥집 할매의 맛있는 롱담짓거리이다... 2016-10-01 0 4449
1611 詩란 심야를 지키는 민간인이다... 2016-10-01 0 4881
1610 詩는 한매의 아름다운 수묵화 2016-10-01 0 4965
1609 詩는 신비한 혼혈아이다... 2016-10-01 0 4936
1608 詩作에는 그 어떠한 격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2016-10-01 0 4608
1607 詩는 길위에서 길찾기... 2016-10-01 0 4744
1606 詩에는 정착역이란 없다... 2016-10-01 0 4752
1605 詩와 윤동주 <<서시>> 2016-10-01 0 4763
1604 詩는 리별의 노래 2016-10-01 0 4295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