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저항시인 윤동주에게 "명예졸업장"을...
2017년 02월 13일 18시 36분  조회:2846  추천:0  작성자: 죽림
韓·日 시민들,
윤동주 명예졸업장 추진
(ZOGLO) 2017년2월13일 
윤동주(뒷줄 오른쪽)가 1942년 일본 릿쿄대 유학생 시절
잠시 귀국해 고종사촌 형인 송몽규(앞줄 가운데) 등 지인들과 함께 찍은 사진.


일본 릿쿄대와 도시샤대가 일제강점기의 크리스천 ‘저항 시인’ 윤동주(1917∼1945)에게 명예졸업장을 수여토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릿쿄대학윤동주추도회 한국사무소 소장인 유시경 대한성공회 교무원장은 2월 12일 “윤동주는 처음 유학 생활을 했던 릿쿄대 뿐만 아니라 이후 편입한 도시샤대학 모두 졸업을 하지 못했다”면서 “그의 탄생 100주년과 추도회 설립 10주년을 맞이한 올해 한·일 시민들과 함께 ‘윤동주 명예졸업장 수여’ 방안을 양 대학 측에 정식으로 제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동주는 1941년 말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를 졸업한 뒤 이듬해 초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해 6월까지 도쿄 릿쿄대 문학부(영문과)를 다니다가 중퇴한 뒤 10월 교토 도시샤대 영문학과에 편입했다. 두 곳 다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미션스쿨이다. 

1943년 7월 귀국을 준비하던 그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붙잡혀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후쿠오카 형무소에 투옥된 윤동주는 광복의 기쁨을 누리지 못한 채 1945년 2월 16일 옥사했다.

일본 유학 당시 윤동주가 남긴 시는 릿쿄대 시절, 서울의 친구에게 편지와 함께 보낸 시 ‘쉽게 씌어진 시’ 등 다섯 편이 전부였다. 이후 작품들은 일본 경찰에 압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릿쿄대 교목을 지낸 유 교무원장은 “윤동주의 첫 유학지가 릿쿄대였지만 10년 전만해도 그런 사실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면서 “윤동주 추도회를 만들어 매년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2010년부터는 한국 유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면서 윤동주와 학교를 알리고 한·일 양국간 교류도 이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 교무원장은 이어 “양 대학이 함께 윤동주에게 명예졸업장을 수여하는 일은 한·일 양국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며, 관계를 회복하고 나아가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명예졸업장 추진 제안은 오는 19일 릿쿄대에서 열리는 윤동주 탄생 100주년 추모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이뤄진다. 

당일 행사는 추모예배와 함께 ‘시와 음악으로 엮는 윤동주의 생애’ 등의 순서가 이어진다. 47년 경력의 배우인 마츠오카 미도리 등을 비롯해 양국의 고등학생들이 나서 윤동주의 시 등을 낭독한다. 앞서 윤동주 기일인 16일에는 그의 고향인 중국 룽징의 명동교회에서, 오는 26일에는 미국 뉴욕 플러싱제일교회에서도 추모 공연이 이어질 예정이다.
/국민일보

윤동주 시인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

'윤동주 추모의 밤' 행사가 일본에서 처음 열린다. 


서울시인협회는 16일 오후 도쿄 한국YMCA호텔에서 한국 시인 서른여덟 명, 일본 문인 스무 명 등 모두 150여 명이 모여 고인의 생애를 기리고 작품세계를 조명한다고 10일 밝혔다. 윤동주 탄생 100주년과 사망 72주년을 기념해 그가 일본으로 건너와 처음 2주간 머물렀던 한국YMCA를 추모 장소로 정했다. 

양국 문인들은 고인에 대한 강연과 시 낭독을 한다. 유자효 시인, 김재홍 문학평론가, 가톨릭대학 우에무라 다카시 교수, 르포작가 유재순, 허형만 목포대 명예교수 등이다. 17일과 18일에는 도쿄와 교토에서 윤동주의 행적을 탐방하고 시비에 헌화한다. 

민윤기 회장은 "최근 한일관계가 다소 경직됐지만 일본인에게도 사랑받는 윤동주를 통해 우정을 나누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윤동주는 일제강점기에 인간의 삶과 고뇌를 사색하고, 강압에 시달리는 조국의 현실을 가슴 아프게 고민한 시인이다. 일본 유학 시절에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체포돼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45년 2월16일에 사망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50 일본 현대시인 - 시바타 산키치 2018-04-25 0 2803
1049 일본 현대시인 - 다이 요코 2018-04-25 0 3221
1048 "시란 꿈꿀수밖에 없는것을 비재의 언어로 볼수있게 하는것" 2018-04-25 0 2869
1047 일본 중견시인 - 혼다 히사시 2018-04-25 0 3712
1046 "친구야, 정녕 뽈을 차보지 않았다면 인생이 무엇인지 아느냐" 2018-04-24 0 2995
1045 "담쟁이 잎 하나는 수천개 잎을 이끌고 결국 그 벽을 넘는다" 2018-04-22 0 2667
1044 "담장을 허물고 나서 나는 큰 고을 영주가 되었다"... 2018-04-22 0 2870
1043 "아...버...지" + "어...머...니" = 이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이름 2018-04-20 0 2591
1042 [詩소사전] - "시의 성격"... 2018-04-20 0 3492
1041 "시에 새로운 전률을 부여했다"... 2018-04-20 0 3849
1040 [詩공부] - 파리의 우울 / 보들레르 2018-04-20 0 4047
1039 [작문써클선생님께] - 해연의 노래 2018-04-20 0 2588
1038 "아버지가 그리워질 때면 내 눈가에 숫돌이 보인다"... 2018-04-17 0 3035
1037 마지막 수업 / 알퐁스 도데 2018-04-17 0 4374
1036 "우린 다시 인생을 얘기해 보자구"... 2018-04-16 0 2498
1035 백마호 / 주자청 2018-04-16 0 2597
1034 푸른 빛 / 주자청 2018-04-16 0 2691
1033 아버지의 뒷모습 / 주자청 2018-04-16 0 5652
1032 총총 / 주자청 2018-04-16 0 3026
1031 봄 / 주자청 2018-04-15 0 3179
1030 중국 산문가, 시인 - 주자청 2018-04-15 0 2941
1029 "천희(天姬)라는 이름이 한없이 그리워지는 밤"... 2018-04-14 0 4311
1028 "토종 어머니"는 늘 "토굴"에서 "숭늉"을 만들고지고... 2018-04-14 0 2667
1027 "은빛 두레박으로 우리 가족 웃음 길어 올리시는 아버지"... 2018-04-11 0 2681
1026 선시(禪詩)모음 2018-04-11 0 3300
1025 "엄마가 병원 입원하면 울 집 통채로 터엉 비어있어"... 2018-04-10 0 2507
1024 "삶이란 외상값 치르는것"... 2018-04-10 0 2435
1023 나의 "도화원" 만들고 벌 나비 날아 들게 해야... 2018-04-08 0 2431
1022 "산에 사는 산사람은 말이 없다"... 2018-04-06 0 2910
1021 "1,000억 재산이 그 사람 시 한줄만도 못해"... 2018-04-06 0 2848
1020 "모든것 구름처럼 사라진다"... 2018-04-05 0 2304
1019 "벗들의 우정은 들꽃이다"... 2018-04-05 0 2317
1018 "세상의 열매들은 모두 둥글둥글 하다"... 2018-04-05 0 2541
1017 일본 천재 동요시인 - 가네코 미스즈 시모음 2018-03-31 0 3656
1016 <작은 것> 시모음 2018-03-31 0 2577
1015 <참새> 시모음 2018-03-31 0 2634
1014 "해빛이 엄마의 눈속에서 빛나고 있다"... 2018-03-31 0 2334
1013 "달은 우리 동네를 보고 있다"... 2018-03-31 0 3837
1012 "달은 꽁꽁 뭉친 주먹밥이다"... 2018-03-30 0 2472
1011 그립다 말을 할가 하니 그리워 그냥 갈가 그래도 다시 더 한번... 2018-03-29 0 2428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