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저항시인 윤동주에게 "명예졸업장"을...
2017년 02월 13일 18시 36분  조회:2845  추천:0  작성자: 죽림
韓·日 시민들,
윤동주 명예졸업장 추진
(ZOGLO) 2017년2월13일 
윤동주(뒷줄 오른쪽)가 1942년 일본 릿쿄대 유학생 시절
잠시 귀국해 고종사촌 형인 송몽규(앞줄 가운데) 등 지인들과 함께 찍은 사진.


일본 릿쿄대와 도시샤대가 일제강점기의 크리스천 ‘저항 시인’ 윤동주(1917∼1945)에게 명예졸업장을 수여토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릿쿄대학윤동주추도회 한국사무소 소장인 유시경 대한성공회 교무원장은 2월 12일 “윤동주는 처음 유학 생활을 했던 릿쿄대 뿐만 아니라 이후 편입한 도시샤대학 모두 졸업을 하지 못했다”면서 “그의 탄생 100주년과 추도회 설립 10주년을 맞이한 올해 한·일 시민들과 함께 ‘윤동주 명예졸업장 수여’ 방안을 양 대학 측에 정식으로 제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동주는 1941년 말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를 졸업한 뒤 이듬해 초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해 6월까지 도쿄 릿쿄대 문학부(영문과)를 다니다가 중퇴한 뒤 10월 교토 도시샤대 영문학과에 편입했다. 두 곳 다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미션스쿨이다. 

1943년 7월 귀국을 준비하던 그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붙잡혀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후쿠오카 형무소에 투옥된 윤동주는 광복의 기쁨을 누리지 못한 채 1945년 2월 16일 옥사했다.

일본 유학 당시 윤동주가 남긴 시는 릿쿄대 시절, 서울의 친구에게 편지와 함께 보낸 시 ‘쉽게 씌어진 시’ 등 다섯 편이 전부였다. 이후 작품들은 일본 경찰에 압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릿쿄대 교목을 지낸 유 교무원장은 “윤동주의 첫 유학지가 릿쿄대였지만 10년 전만해도 그런 사실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면서 “윤동주 추도회를 만들어 매년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2010년부터는 한국 유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면서 윤동주와 학교를 알리고 한·일 양국간 교류도 이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 교무원장은 이어 “양 대학이 함께 윤동주에게 명예졸업장을 수여하는 일은 한·일 양국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며, 관계를 회복하고 나아가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명예졸업장 추진 제안은 오는 19일 릿쿄대에서 열리는 윤동주 탄생 100주년 추모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이뤄진다. 

당일 행사는 추모예배와 함께 ‘시와 음악으로 엮는 윤동주의 생애’ 등의 순서가 이어진다. 47년 경력의 배우인 마츠오카 미도리 등을 비롯해 양국의 고등학생들이 나서 윤동주의 시 등을 낭독한다. 앞서 윤동주 기일인 16일에는 그의 고향인 중국 룽징의 명동교회에서, 오는 26일에는 미국 뉴욕 플러싱제일교회에서도 추모 공연이 이어질 예정이다.
/국민일보

윤동주 시인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

'윤동주 추모의 밤' 행사가 일본에서 처음 열린다. 


서울시인협회는 16일 오후 도쿄 한국YMCA호텔에서 한국 시인 서른여덟 명, 일본 문인 스무 명 등 모두 150여 명이 모여 고인의 생애를 기리고 작품세계를 조명한다고 10일 밝혔다. 윤동주 탄생 100주년과 사망 72주년을 기념해 그가 일본으로 건너와 처음 2주간 머물렀던 한국YMCA를 추모 장소로 정했다. 

양국 문인들은 고인에 대한 강연과 시 낭독을 한다. 유자효 시인, 김재홍 문학평론가, 가톨릭대학 우에무라 다카시 교수, 르포작가 유재순, 허형만 목포대 명예교수 등이다. 17일과 18일에는 도쿄와 교토에서 윤동주의 행적을 탐방하고 시비에 헌화한다. 

민윤기 회장은 "최근 한일관계가 다소 경직됐지만 일본인에게도 사랑받는 윤동주를 통해 우정을 나누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윤동주는 일제강점기에 인간의 삶과 고뇌를 사색하고, 강압에 시달리는 조국의 현실을 가슴 아프게 고민한 시인이다. 일본 유학 시절에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체포돼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45년 2월16일에 사망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10 시는 마음속의 뜻을 말로 조각해내는것... 2018-03-29 0 2593
1009 산문시는 고리끼 "해연의 노래"가 전범(典範)이다... 2018-03-29 0 2407
1008 글 농사는 뼈를 깎는 고행이다... 2018-03-29 0 2501
1007 "한알의 모래속에서 천국을 본다"... 2018-03-29 0 3631
1006 "태초부터 시인이 있었었다"... 2018-03-29 0 2629
1005 "최고의 정신적 보물을 젊은이들과 더불어..." 2018-03-28 0 2243
1004 "문제 그 자체를 사랑하라"... 2018-03-28 0 2549
1003 그대들은 "단발머리"를 떠올려 보았는가... 2018-03-28 0 2699
1002 그대들은 "내 귀에 캔디"를 먹어봤는가... 2018-03-28 0 2742
1001 그대들은 "오르막길"을 톺아봤는가... 2018-03-28 0 2407
1000 그대들은 "1178"를 불러봤는가... 2018-03-27 0 2461
999 그대들은 "그 겨울의 찻집"을 아는가... 2018-03-27 0 2423
998 그대들은 "총맞은것처럼" 아파봤는가... 2018-03-27 0 2783
997 그대들은 "빨간 맛"을 맛보았는가... 2018-03-27 0 2432
996 "보이지 않는것도 있는거야"... 2018-03-27 0 2564
995 "새는 하느님이 만든 가장 고운 악기"... 2018-03-24 0 4459
994 "응아 하면, 엄마 얼굴엔 웃음꽃 피지요"... 2018-03-23 0 2582
993 "골목대장이 된 바람" 2018-03-22 0 2486
992 "아가는 생살을 찢고 열달 은총의 문 나서다"... 2018-03-22 0 2614
991 다리를 천천히 건너는 사람과 다리를 발빨리 건너는 사람 2018-03-20 0 2446
990 [작문써클선생님께] - "과학동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3-19 0 4557
989 "어머니는 모든것을 둥글게 하는 버릇이 있다"... 2018-03-19 0 2563
988 [작문써클선생님께] - 산문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3-19 0 4761
987 미국 시인 - 맥스 어맨 2018-03-19 0 3957
986 {장시} - 강천 려행 떠난 바람 이야기 / 박문희 2018-03-18 0 2671
985 <하늘> 시모음 2018-03-14 0 2396
984 산문시와 러시아 문호 뚜르게네프 2018-03-14 0 2624
983 "겨울이 왔으니 봄도 멀지 않으리"... 2018-03-13 0 2658
982 한편의 가사를 위해 2만편의 시를 쓰다... 2018-03-10 0 4026
981 "나는 너의 심장소리를 듣는다"... 2018-03-10 0 2322
980 노르웨이(스웨덴) 초현실주의 사진작가 - 에릭 요한슨 2018-03-07 0 7407
979 "얘야, 그건 날개가 아니란다"... 2018-03-07 0 3476
978 "백만장자 되는것보다 문맹의 인디언이 되는게 낫다"... 2018-03-06 0 2467
977 "보리밥방귀", 뿡, 뽕, 빵 그립다... 2018-03-05 0 3653
976 {자료} - 우리 조선민족 시단은 다원화 창작으로... 2018-03-04 0 2547
975 {자료} - 우리 조선민족의 시단에 귀한 시인들 있는한... 2018-03-04 0 2277
974 {자료} - 우리 조선민족의 문학의 희망적 사항은... 2018-03-04 0 1998
973 [동네방네] - 독립운동가 문사 송몽규는 죽지 않았다... 2018-03-04 0 3119
972 <고난> 시모음 2018-03-04 0 2739
971 <탐욕> 시모음 2018-03-04 0 4039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