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진정한 "시혁명"은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안받침되여야...
2016년 11월 15일 00시 23분  조회:3403  추천:0  작성자: 죽림
우리에게도 사조가 받침된 시조가 올가?
2015년 02월 01일 00시 16분                           /작성자: 허동식
    중세기 동방한자문화권의 성세를 대당제국문화번영이라고 말하기를 좋아하는 중국인들이 많아졌다.그러면서 애들에게 무조건 <당시300수>를 공부시키고 암기시키고… 
   <당시300수>는 대당문화의 집약반영이라고 말할수도 있겠다. 그런데 <당시300수>를 죽게죽게 공부한 어느 애가 늘여놓는 말이 <흥,당시300수? 아무것도 아니던데, 그저 궁녀들 궁중생활이 여차여차하게 고독하고 괴롭고, 변강을 지키는 군인들 어떻게 어떻게 힘들고, 친구들이 상봉하고 또 리별하고, 그런 3가지를 내놓고는 아무것도 아니던데!>
    당시가 중문특세를 이용하여 이미지 시작들을 엄청난 고봉에 끌어올린것은 의심할바가 없지만 우에 곁들인 애의 말처럼 <아무것도 아니던데>라는 평을 받을수도 있는 일이다. 적어도 현대인의 시각으로 살펴보면, 당시의 내용이 전반적으로는 어딘가는 빈약하다는 판단이 될수도 있겠다.
   대당문화가 대단하기는 하였지만 필경은 사상문화령역에서 문예부흥과 같은 위대한 업적을 만들지는 못했다.때문에 당시문화는 세계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자리가 크게 오돌차지는 못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현재 우리 시단에서 소위 시혁명을 형식적인 면에서만 지꿎게 추구하는 분들이 계시는듯도 하다.그들이 추구하는 시조(詩潮)는 어딘가 빈약하다.
   진정한 시조는 거대한 사조가 안받침된다.다만 시형식과 관련된 시혁명이라 할지라도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없이는 거품으로 흘러버릴수가 있겠다.
  시가 아름다움을 창출하는 예술이라고는 하지만 시는 어디까지나 인간의 시다. 시는 어디까지나 생각할줄을 아는 인간의 시다. 우리는 거대한 사조의 변두리에도 닿지못하고 있고,지어는 아직도 습관된 사유속에 갇혀 있을수도 있으므로 우리의 시조가 행보가 이처럼 힘든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23 미국 시인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2016-12-04 0 6136
1922 미국 시인 - 랠프 윌도 에머슨 2016-12-04 0 3957
1921 [쉼터] - 원소 "주기률표"와 어머니 2016-12-03 0 10458
1920 시인, "시편", 그리고 독서 2016-12-03 0 4401
1919 영국 첫 녀성 계관시인 - 캐롤 앤 더피 2016-12-03 0 4281
1918 영국 랑만파 계관시인 - 윌리엄 워즈워스 2016-12-03 0 5271
1917 미국 계관시인 - 테드 쿠서 2016-12-03 0 4353
1916 미국 첫 라틴계 계관시인 - 후안 펠리페 에레라 2016-12-03 0 6571
1915 <<뇌의학계>> 미국 계관시인 - 오리버 색스 2016-12-03 0 3702
1914 미국 계관시인 - W.S 머윈 2016-12-03 0 3777
1913 19세기 미국 가장 독창적인 시인 - 에드거 앨런 포(포우) 2016-12-03 0 9853
1912 미국 시인 - 로버트 핀스키 2016-12-03 0 4295
1911 미국 흑인 혼혈 녀성계관시인 - 나타샤 트레세웨이 2016-12-03 0 5190
1910 미국 계관시인 - 필립 레빈 2016-12-03 0 4352
1909 詩人은 절필할줄도 알아야... 2016-12-03 0 5496
1908 나이지리아 시인 - 월레 소잉카 2016-12-01 0 6222
1907 미국 계관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2-01 0 5290
1906 詩는 기존의 삶의 설명서가 아니라 새로운 삶의 설계도이다... 2016-12-01 0 4125
1905 스페인 시인 - 후안 라몬 히메네스 2016-11-30 0 4608
1904 요절한 천재 시인 시세계를 알아보다... 2016-11-30 0 5278
1903 詩人은 자기자신의 령혼을 련금할줄 알아야... 2016-11-30 0 3584
1902 스페인 시인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2016-11-30 0 6095
1901 서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 2016-11-30 0 6592
1900 중남미 수녀 시인 - 소르 후아나 이녜스 데 라 크루스 2016-11-30 0 6335
1899 노르웨이 시인 - 비에른 스티에르네 비에른손 2016-11-30 0 5724
1898 아이슬란드 시인 - 스노리 스튀르글뤼손 2016-11-30 0 6738
1897 미국 國歌 "성조기" 작사가, 시인 - 프랜시스 스콧 키 2016-11-30 0 6634
1896 <라면> 시모음 2016-11-30 0 4491
1895 詩人은 일상의 삶을 詩처럼 살아야 한다... 2016-11-30 0 3944
1894 詩는 시인이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가 아니다... 2016-11-30 0 4228
1893 현대 환상 문학의 대가 아르헨티나 시인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2016-11-29 0 6629
1892 자연과 인생을 노래한 일본 "김삿갓 방랑 시인" - 마쓰오 바쇼 2016-11-29 1 8507
1891 조선시대 비운의 천재 녀류시인 - 허난설헌 2016-11-29 0 5075
1890 중남미 문학을 대표하는 멕시코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6-11-29 0 6086
1889 詩人은 神이 준 언어를 잘 련금술할줄 알아야... 2016-11-29 0 3931
1888 어머니, 100원, 그리고 모성애... 2016-11-28 0 4213
1887 시인, 시, 그리고 돈... 2016-11-28 0 5525
1886 문학예술인, 삶, 그리고 비극... 2016-11-28 0 4179
1885 시의 건초더미에서 찾은 "바늘" 2016-11-28 0 4394
1884 시인, 시쓰기, 그리고 시암송... 2016-11-28 0 3604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