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진정한 "시혁명"은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안받침되여야...
2016년 11월 15일 00시 23분  조회:3409  추천:0  작성자: 죽림
우리에게도 사조가 받침된 시조가 올가?
2015년 02월 01일 00시 16분                           /작성자: 허동식
    중세기 동방한자문화권의 성세를 대당제국문화번영이라고 말하기를 좋아하는 중국인들이 많아졌다.그러면서 애들에게 무조건 <당시300수>를 공부시키고 암기시키고… 
   <당시300수>는 대당문화의 집약반영이라고 말할수도 있겠다. 그런데 <당시300수>를 죽게죽게 공부한 어느 애가 늘여놓는 말이 <흥,당시300수? 아무것도 아니던데, 그저 궁녀들 궁중생활이 여차여차하게 고독하고 괴롭고, 변강을 지키는 군인들 어떻게 어떻게 힘들고, 친구들이 상봉하고 또 리별하고, 그런 3가지를 내놓고는 아무것도 아니던데!>
    당시가 중문특세를 이용하여 이미지 시작들을 엄청난 고봉에 끌어올린것은 의심할바가 없지만 우에 곁들인 애의 말처럼 <아무것도 아니던데>라는 평을 받을수도 있는 일이다. 적어도 현대인의 시각으로 살펴보면, 당시의 내용이 전반적으로는 어딘가는 빈약하다는 판단이 될수도 있겠다.
   대당문화가 대단하기는 하였지만 필경은 사상문화령역에서 문예부흥과 같은 위대한 업적을 만들지는 못했다.때문에 당시문화는 세계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자리가 크게 오돌차지는 못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현재 우리 시단에서 소위 시혁명을 형식적인 면에서만 지꿎게 추구하는 분들이 계시는듯도 하다.그들이 추구하는 시조(詩潮)는 어딘가 빈약하다.
   진정한 시조는 거대한 사조가 안받침된다.다만 시형식과 관련된 시혁명이라 할지라도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없이는 거품으로 흘러버릴수가 있겠다.
  시가 아름다움을 창출하는 예술이라고는 하지만 시는 어디까지나 인간의 시다. 시는 어디까지나 생각할줄을 아는 인간의 시다. 우리는 거대한 사조의 변두리에도 닿지못하고 있고,지어는 아직도 습관된 사유속에 갇혀 있을수도 있으므로 우리의 시조가 행보가 이처럼 힘든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83 중국 당나라 문사 - 류우석 2017-04-21 0 3691
2082 중국 당나라 시인 - 맹호연 2017-04-20 0 5095
2081 세계를 매혹시킨 불멸의 시인들 2017-04-20 0 3598
2080 아프리카 세네갈 시인 - 디오프 2017-04-20 0 3873
2079 독일 랑만주의 서정시인 - 아이헨도르프 2017-04-20 0 4706
2078 프랑스 시인 - 폴 클로델 2017-04-19 0 5571
2077 "당나귀 시인"을 사랑했던 시인들 2017-04-19 0 3427
2076 프랑스 시인 - 프랑시스 잠 2017-04-19 0 4462
2075 독일 시인 - 횔덜린 2017-04-19 0 6417
2074 헝가리 시인 - 브로샤이 2017-04-18 0 3939
2073 프랑스 시인 - 자끄 프레베르 2017-04-18 0 4188
2072 프랑스 초현실주의 시인 - 루이 아라공 2017-04-18 0 5412
2071 프랑스 시인 - 레미 드 구르몽 2017-04-18 0 5372
2070 영국 계관시인 - 테니슨 2017-04-18 0 4284
2069 프랑스 시인 - 로베르 데스노스 2017-04-11 0 4511
2068 프랑스 시인 - 브로샤이 2017-04-11 0 3947
2067 프랑스 시인 - 자크 프레베르 2017-04-11 0 5515
2066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인들 2017-04-10 0 3838
2065 "내 귀는 소라껍질/ 바다소리를 그리워하네"... 2017-04-10 0 5274
2064 프랑스 시인 - 장 콕토 2017-04-10 0 5797
2063 프랑스 시인 - 생 종(존) 페르스 2017-04-10 0 4225
2062 미국 시인 가수 밥 딜런는 누구인가... 2017-04-03 0 4785
2061 노벨문학상 타고 침묵으로 일관하다... 2017-04-03 0 3610
2060 스페인 시인 - 히메네스 2017-04-02 0 3853
2059 스페인 시인 - 미겔 에르난데스 2017-04-02 0 4258
2058 동요 "반달"의 작곡가와 그리고 룡정 2017-04-02 0 3715
2057 영국 계관시인 - 벤 존슨 2017-03-30 0 3450
2056 영국 형이상학파 시인 - 존.던 2017-03-30 0 5832
2055 80세, 공부와 시쓰기가 인생 끝자락의 제일 큰 행복이라고... 2017-03-23 0 3355
2054 77세에 등단, 80세에 詩集 출간... 2017-03-20 0 3683
2053 80세에 첫 詩集... 2017-03-20 0 3614
2052 윤동주의 시는 이 땅의 모든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고있다... 2017-03-18 0 3623
2051 정병욱 큰 보람= "윤동주의 시를 간직했다가 세상에 알린 일" 2017-03-18 0 4649
2050 [고향문단소식]- 화룡 출신 최룡관시백 "하이퍼시창작론" 출간 2017-03-17 0 3287
2049 일본 민주주의 녀류시인 - 이바라키 노리코 2017-03-12 0 4712
2048 천재시인 李箱의 시작품 뮤지컬로 재탄생하다... 2017-03-04 0 3235
2047 프랑스 시인 - 페기 2017-03-01 0 4800
2046 일본 시인 - 혼다 히사시 2017-02-23 0 3924
2045 남아메리카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 칠레 녀류시인 -미스트랄 2017-02-22 0 5695
2044 페루 시인 - 바예호 2017-02-22 0 416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