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난설헌
동의어
경번(景樊), 난설헌(蘭雪軒), 초희(楚姬) 다른 표기 언어
許蘭雪軒
시대 |
조선 |
출생일 |
1563년(명종 18) |
사망일 |
1589년(선조 22) |
유형 |
인물 |
직업 |
여류문인 |
대표작 |
난설헌집 |
성별 |
여 |
분야 |
문학/한문학 |
본관 |
양천(陽川) |
요약 1563(명종 18)∼1589(선조 22).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
개설
-
생애와 활동사항
< >작품세계저서개설본관은 양천(陽川). 본명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 호는 난설헌. 강원도 강릉(江陵) 출생. 아버지는 엽(曄), 오빠는 봉(篈), 남동생은 균(筠)이다. 현상(賢相) 공(珙)의 혈통을 이은 명문가문으로 유명한 문장가와 학자를 배출했다.
엽이 첫 부인 청주 한씨(淸州韓氏)에게서 성(筬)과 두 딸을 낳고 사별한 뒤에 강릉 김씨(江陵金氏)광철(光轍)의 딸과 혼인해 봉·초희·균 3남매를 두었다.
생애와 활동사항
허난설헌은 문장가문에서 성장해 어릴 때에 오빠 봉과 동생 균의 틈바구니에서 어깨너머로 글을 배웠다. 아름다운 용모에 문학적 자질까지 뛰어나 8세에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梁文)」을 지어서 신동이라는 말을 들었다. 또 균에게 시를 가르쳤던 이달(李達)에게 한시 수업을 받았다.
허난설헌은 15세 무렵에 안동(安東) 김씨(金氏) 성립(誠立)과 혼인했으나 원만한 부부생활을 하지 못했다. 남편은 급제한 뒤에 관직에 나갔고 가정의 즐거움보다 기녀들과의 풍류를 즐겼다. 거기에 시어머니와 사이가 좋지 못하여 고독한 삶을 살아야했다.
사랑하던 남매를 잃은 뒤에 설상가상으로 뱃속의 아이까지 잃는 아픔을 겪었다. 또한, 친정집에서 옥사(獄事)가 있었고, 동생 균마저 귀양 가는 비극이 연속됐다. 삶의 의욕을 잃고 책과 한시로 슬픔을 달래며 불우하게 살다 1589년 27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작품세계
조선사회의 모순과 계속 닥쳐온 가정의 문제들 때문에, 허난설헌의 시 213수 가운데에 세상을 떠나 신선세계로 들어가고 싶은 내용을 담은 시가 128수나 된다. 그만큼 신선사상에 심취했으며 삶에 대해 회의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국한문가사로는 「규원가(閨怨歌)」와 「봉선화가(鳳仙花歌)」가 있다. 그러나 「규원가」는 허균의 첩 무옥(巫玉)이 지었다고도 하고 「봉선화가」는 정일당김씨(貞一堂金氏)가 지었다고도 한다.
저서
허난설헌의 작품은 상당히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임종 때 그의 유언에 따라 모두 소각됐다고 전한다. 한편, 동생 허균이 허난설헌의
작품 일부를 명나라 시인 주지번(朱之蕃)에게 주었고 1606년(선조 39) 그녀가
별세한 후 18년 뒤에 최초로 중국에서 간행되었다.
한편, 『난설헌집』은 1711년에는
일본인 분다이(文台屋次郎)가 간행해 일본 열도에서도 애송됐다.
///@@
3불행을 자탄하면서 아깝게 요절한 비운의 천재여류시인 허난설헌
난설헌(蘭雪軒)은 그의 호이고 본명은 허초희(許楚姬)다. 강릉의 오문장가(五文章家)로 알려진 초당 허엽(草堂 許曄)의 딸이요, 악록 허성(岳麓 許筬), 하곡 허봉(荷谷 許篈)의 여동생이며, 홍길동전의 작가로 유명한 교산 허균(蛟山 許筠)의 누이이다. 사대부가에서 곱게 자랐고, 어려서부터 뛰어난 재능을 인정받아 오라비들과 차별 없이 글공부를 했다고 한다. 그 당시 딸에게 번뜻한 이름을 붙여주고 잘 가르쳤던 것으로 보아 여성에게도 너그러웠던 비교적 열린 가풍의 집안이었던 것 같다.
초당두부로 유명한 초당마을에는 그의 아버지 초당선생과 그의 자녀 4남매가 살았던 생가 터가 있고 근래에 조성된 허난설헌공원이 있다. “강릉에 오거들랑 맛만 찾지 말고 멋도 찾으라.”는 말이 있다. 동해의 맑은 바닷물로 만든 전통두부만 찾지 말고 난설헌을 비롯한 오문장가의 문학의 멋도 즐기라는 말이다.

강릉 초당마을 5문장가 생가와 기념관
유명한 인물에게는 으레 출생설화가 따르듯이 그에게도 출생설화가 있다. 강릉 경포대에서 해안도로를 따라 북으로 좀 올라가면 사천해수욕장이 있는 사천면 사천진리에 조그마한 야산이 있고 그 산 봉우리 숲속에 난설헌의 외할아버지가 살았던 집 애일당(愛日堂)터가 있다. 백두대간의 중심에 불끈 솟은 오대산 줄기 하나가 동해로 내려오다가 잦아지면서 뱀처럼 뻗어 나와 아직 용이 되지 못한 교룡(蛟龍)의 형국이라고 하는 교산(蛟山)이 있다. 그 교룡의 머리 부분에 애일당이 있었고 허균의 호 교산도 여기에서 유래한 것이다.
애일당은 허균의 외조부 김광철(金光轍)이 벼슬길에서 물러나와 명당자리인 이곳에 집을 짓고 동해에서의 해돋이를 바라보면서 애일당이라고 이름했다. 장차 용이 될 인물이 날 터라고 믿은 김광철은 명당의 정기를 빼앗길까 봐 사위와 딸이 찾아와도 각방을 쓰게 하였는데 그래도 어느 틈엔가 교룡의 정기는 강릉김씨에게서 양천허씨에게로 넘어가 태어난 외손이 난설헌이요 허균이라고 한다. 용이 되지 못한 교룡의 정기를 받아서일까? 그들 모두 용이 될 번했지만 말로는 비참했다.

강릉 사천의 애일당 터 애일당 터의 교산시비
그가 조선시대의 여성으로서 세상에 이름을 떨쳤던 것은 신사임당처럼 부덕을 가춘 현모양처로서도 아니고 율곡 같은 아들을 길러내서도 아니었다. 그는 여덟 살에 광한전 백옥루 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樑文)이라는 시를 써서 세상선비들을 깜짝 놀라게 했고,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은 이름조차 내놓을 수 없던 시절에 난설헌이라는 이름으로 주옥같은 시를 끊임없이 써 나갔다. 아깝게도 27세에 죽으면서 모두 불태웠지만 그대로 두었으면 한 방 가득했을 것이라는 것이 그의 동생 허균의 말이었다고 한다.
그이 시가(媤家)에 있던 시는 그의 유언대로 모두 불태워지고 친정에 있던 시만 일부가 남았으며, 그의 동생 허균이 천재적인 기억력으로 되살려낸 시들을 합하여 한 권의 시집을 엮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여성의 이름으로 시집을 낼 수 없었다. 후에 중국의 대학자 주지번(朱之蕃)이 명나라의 사신으로 우리나라에 왔고, 허균이 그를 영접하는 원접사(遠接使)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강릉 경포대를 안내하는 자리에서 누이 난설헌의 시집을 보였다.

강릉 경포대의 주지번 친필 현판 난설헌 시비

강릉 초당마을 허난설헌공원 5문장가 시비
주지번이 조선에 이런 여류시인이 있었느냐고 탄복을 하면서 그 시집을 가지고 중국에 가서 ‘허난설헌시집’으로 발간했는데 베스트셀라가 되어 낙양의 지가(紙價)를 올렸다고 한다. 중국에서 애송되던 그의 시는 일본으로 전해져18세기 초에 시집으로 발간되었으며 일본인들에게도 인기가 높았다고 한다. 그토록 중국과 일본에까지 널리 알려진 불세출의 여류시인이었지만 그의 일생은 불행했다.
그 자신이 ‘여자로 태어난 것, 조선에 태어난 것, 김성립의 아내 된 것’을 삼불행(三不幸)이라 하여 평생의 한으로 여겼다고 하듯이 여성을 사람답게 대접하지 않는 사회에서 온갖 제약 속에 자기능력, 자기포부를 한껏 발휘하지 못했고, 남편마저 탐탁지 않았으며, 며느리로서도 사랑을 받지 못했다. 남편은 5대가 문과(文科)에 급제한 안동김씨 명문가의 자제였지만 그 자신은 여러 번 과거에 낙방한 끝에 겨우 병과(丙科: 모두 33명을 뽑는데 성적순으로 甲科 3명, 乙科 7명, 丙科 23명으로 하여 최초 보직에 차별을 두었다.)로 합격하는 등 재능도 그렇고 사람도 장부답지는 못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자기가 남자였다면 단번에 장원급제를 하였을 것이고, 문명(文名) 높은 친정오라비들과 비교가 되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과거 공부한다고, 또는 과거보러 간다고 가정에 등한히 하기도 하고, 당시 부유층 선비들에게 흔히 있었던 기방출입도 잦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들보다 글 잘하는 며느리, 남편을 존경하여 하늘 같이 떠받들지 않는 며느리가 시부모의 눈에 꼽게 보일 리 없었을 것이다. 남편과 화목하지 못하고 시부모에게 밉보인 며느리의 시집살이가 편안할 이 없었다.
설상가상으로 친정아버지가 외지에서 병으로 객사를 하더니 자기가 가장 따랐던 바로 위의 둘째 오빠 허봉이 귀양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또한 객사를 했다. 그보다 먼저 자기의 아린 딸과 아들이 차례로 죽었다. 친정의 몰락, 자식들의 죽음이 병이 되었을까. 뱃속의 아이마저 유산을 하더니 드디어 스물일곱의 꽃다운 나이에 자기가 죽고 말았다. 천재는 단명하고 미인은 박명하다던가. 애석할 따름이다. 그는 건강을 잃고 점차 쇠약해가면서 자기의 죽음을 예감이라도 했을까. 죽음을 예언이라도 하듯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푸른 바닷물이 구슬바다에 스며들고 碧海浸瑤海
푸른 난새는 채색 난새에 기대었구나 靑鸞倚彩鸞
부용꽃 스물일곱 송이 芙蓉三九朶
붉게 떨어져 달빛 서리 위에 차구나 紅墮月霜寒
구슬바다와 채색 난새는 모두 시선세계의 바다요 새다. 그 예언이 적중이라도 하듯 난설헌은 부용꽃 스물일곱 송이가 지듯이 27세의 나이로 선경(仙境; 신선이 사는 세계)으로 떠났다. 이보다 앞서 딸을 잃고 다음해에 아들 희윤(喜胤)이를 잃었을 때 그 아픔을 다음과 같이 읊었다.

경기도 광주 지월리의 난설헌 묘 오빠 허봉이 쓴 난설헌 아들 희윤묘비
아들에게 곡한다. (哭子) 난설헌
지난해는 사랑하는 딸을 잃었는데 去年喪愛女
올해는 사랑하는 아들을 앞세웠구나 今年喪愛子
슬프디 슬픈 광릉 땅이여 哀哀廣陵土
두 무덤이 마주보고 솟아 있도다 雙墳相對起
백양나무엔 소슬한 바람이 부는데 蕭蕭白楊風
도깨비불 소나무 가래나무 사이에 밝구나 鬼火明松楸
지전을 사르며 너희 혼을 부르고 紙錢招汝魂
한 잔 술을 너희 무덤 앞에 붇는다 玄酒奠汝丘
너희 넋은 응당 오누이임을 알테니 應知弟兄魂
밤마다 서로 좇으며 어울려 놀겠지 夜夜相追遊
뱃속에 아기가 있다 하나 縱有服中孩
어찌 장성하기를 바랄 수 있으리오 安可冀長成
황대사를 읊조리고 浪吟黃臺詞
피눈물로 울음 삼키며 슬퍼한다 血泣悲呑聲
젊은 어머니 난설헌은 작년에 딸이 죽고, 올해 또 아들이 세상을 떠나는 일을 겪는다. 어린 자식들의 무덤이 마주 보고 있는 광릉 땅은 그에게 슬픔의 땅일 수밖에 없다. 그는 백양나무에 바람이 불고 소나무와 가래나무 사이에 희미한 도깨비불이 너울거리는 무덤가에 도착하여 자식들을 위해 제사를 지낸다. 지전을 사르며 혼을 부르고 망자를 위로하는 한 잔 술을 붓는다.
자식들의 혼백이 서로 어울려 노는 모습을 상상하고 다시 한 번 슬픔에 잠기면서 뱃속에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였지만 과연 이 아이는 탈 없이 잘 클 수 있을까 불안해하며 황대사(黃臺詞; 중국 당나라 황제 고종의 아들이 차례로 죽어간 것을 슬퍼한 시)의 고사를 떠올리며 자식을 앞세운 비통함과 회한을 이기지 못해 숨죽여 운다.

난설헌의 곡자 시비
비운의 천재 여류시인 허난설헌(許蘭雪軒)
 |
夢遊廣桑山(몽유광상산)
雪軒
碧海浸瑤海(벽해침요해) 푸른 바다가 옥 바다에 스며들고
靑鸞倚彩鸞(청란기채란) 푸른 난새 고운 난새 어울려 있네.
芙蓉三九朶(부용삼구타) 스물 일곱 송이 부용화
紅墮月霜寒(홍타월상한) 붉은 꽃 떨어지니 달빛만 차갑도다.
☜ 부용(芙蓉/ 꽃말 : 섬세한 아름다움) |
조선시대 비운의 천재 여류시인 허난설헌(許蘭雪軒)은 특별한 지병(持病)도 없었는데
스물일곱 살(27歲) 되던 해 3월, 목욕재계(沐浴齋戒)한 후
고운 옷으로 갈아입고
今年乃三九之數(금년내삼구지수) 금년이 바로 三九수에 해당되니
今日霜墮紅(금일상타홍) 오늘 서리에 붉은 꽃이 떨어지네.
라 쓰고 홀연히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위의 시 몽유광상산(夢遊廣桑山)은 23세 때 꿈속에서 광상산(廣桑山/신선이 사는 곳)을 거닐고
깨어난 후 쓴 시라고 하는데 자신의 임종일(臨終日)을
예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시에서 옥 바다 요해(瑤海)는 도교(道敎)에서 말하는 신선들이 사는 북두계(北斗界)에 있는 바다로
요(瑤)는‘옥구슬이 잘랑거리는 의미’이니‘옥구슬 바다’라는 의미겠다.
즉 이승세계와 저승세계의 만남을 의미하는 것이다.
청란(靑鸞)과 채란(彩鸞)의
어울림도 같은 의미다.
삼구타(三九朶)는‘삼구의 꽃다발’이니‘삼구는 이십 칠’이라,
꽃송이 스물일곱 송이를 의미하므로
자신의 죽을 나이(27세)를 예언하고 있으니 신기하다.
허난설헌(許蘭雪軒/1563~1589/조선 명종, 선조)은 신사임당(申師任堂/1504~1551/조선 연산군, 명종)보다
50여 년 후의 사람으로 두 사람 모두 강릉(江陵) 출생으로
보기 드문 여류 천재였다.
신사임당은 율곡(栗谷 李珥)이라는 걸출한 학자를 낳아 지금까지 세인의 관심과
존경을 받고 있지만 허난설헌은 그 천재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27세로
요절(夭折)한 비운의 천재였다.
난설헌의 아버지 엽(曄)은 유명한 문장가와 학자를 배출한 명문 양천허씨가문(陽川許氏家門) 출신으로
첫 부인 청주한씨(淸州韓氏)를 사별하고 두 번째 부인으로
강릉김씨(江陵金氏)와 결혼하였는데 봉(崶), 초희(楚姬), 균(筠) 세 자녀를 둔다.
난설헌의 본명은 초희(楚姬), 자(字)는 경번(景樊), 호(號)가
난설헌(蘭雪軒)으로 강릉시 초당동(草堂洞)에서 태어났다.
조선 중기인 당시 여자가 호(號)와 자(字)를
썼다는 것이 특이하다.
난설헌은 15세 되던 해 안동김씨 성립(誠立)과 결혼하여 두 남매를 낳았으나 어려서 돌림병으로 잃고
뱃속의 아이도 유산하여 자식 복이 없었는데 남편의 끊임없는 외도,
녀자가 시(詩)를 쓴다고 구박하는 시어머니의 시기(猜忌)와
무지(無知)에 끝없이 시달렸다.
거기다 오빠 봉(葑)이 유배(流配) 중 금강산에서 객사하고 동생 균(筠)마저 역모(逆謀)에 휘말려 귀양을 가는 등 불운이 계속되자
삶의 의욕을 잃고 시를 지으며 나날을 보내다가 자신이 쓴 시를 모두 불 태워 버리고
수물아홉으로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소설 ‘홍길동전’을 쓴 동생 균(筠)은 자신이 보관하고 있던 시와
즐겨 암송하던 누님의 시를 모아 ‘난설헌집(蘭雪軒集)’이라는
시집을 출간한다.
허씨 남매는 적출(嫡出)이 아니고 서출(庶出)이었기에 난설헌의 시집살이가
쉽지 않았을 것이고, 조선시대 신분제도를 비판한 ‘
홍길동전’도 그러한 배경에서 씌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균(筠)이 ‘난설헌집’을 중국 명나라에서 온 사신 주지번(朱之蕃)에게
보여주자 크게 감동하여 중국으로 가져가
‘許蘭雪軒集’을 중국에서 출간(1606)하여 크게 인기를 얻었고,
후일 일본의 분다이지로(文臺屋次郞)에 의하여
일본에서 출간(1711)되어 크게 인기를 얻었다고 한다.
중국 시인들은 누구나 품에 난설헌집을 품고 다니는 것이 유행이었으며,
중국의 어느 유명한 여류시인은 ‘아~! 나는 왜 스물 일곱에 죽지 못하는가... ’라고 한탄하였다고도 한다.
또 슬픈 일 중의 하나는 동생 허균(許筠)은
광해군 때 역모(逆謀)에 연루되어 저자거리에서 참수(斬首)되었다고 하니
천재 집안의 몰락이 너무도 안타깝다.
허난설헌의 시는 총 213수가 전한다고 하는데
이 중에 도교(道敎)의 신선사상(神仙思想)을 바탕으로 한 신선시(神仙詩)가
128수나 된다고 하니 현실세계를 뛰어 넘어
이상세계를 표방하는 신선사상이 당시 주변 정황과 맞물려 난설헌의 정신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 것 같다.
오언고시(五言古詩) 15수, 칠언고시(七言古詩) 8수, 오언율시(五言律詩) 8수,
칠언율시(七言律詩) 13수, 오언절구(五言絶句) 24수,
칠언절구(七言絶句) 142수 등이 전한다고 한다.
널리 알려진 것으로 채련곡(採蓮曲/연밥 따는 노래), 빈녀음(貧女吟/가난한 처녀의 노래),
규원(閨怨/규방에서 흘리는 원한의 눈물),
감우(感遇/어리석었네), 곡자(哭子/아들을 잃고 통곡함),
규정(閨情/여자의 정), 기부강사독서(寄夫江舍讀書/멀리서 공부하는 남편에게),
야야곡(夜夜曲/깊은 밤의 노래), 산람(山嵐/산 아지랑이),
춘우(春雨/봄비) 등이 있다.
난설헌의 생가가 있는 강릉시 초당동(경포대 호수 옆)은
현재「허균․허난설헌 기념관」과 기념공원으로
조성되어 있고 해마다 제사를 올린다.
哭子(곡자) 허난설헌(許蘭雪軒 )
지난해 사랑하는 딸을 여의고 해는 사랑하는 아들 잃었네.. 슬프고 슬픈 광릉의 땅이여
두 무덤 마주보고 나란히 서 있구나
백양나무 숲 쓸쓸한 바람..
도깨비 불빛은 숲속에서 번쩍이는데 지전(紙錢)을 뿌려서 너의 혼을 부르고
너희들 무덤에 술 부어 제 지낸다
아! 너희 남매 가엾은 외로운 혼은 생전처럼 밤마다 정답게 놀고 있으니
이제 또다시 아기를 낳는다 해도
어찌 능히 무사히 기를 수 있으랴
하염없이 황대의 노래 부르며
통곡과 피눈물을 울며 삼키리..
춘우(春雨/봄비/五言絶句
) 허난설헌(許蘭雪軒 )
春雨暗西池 (춘우암서지) 보슬보슬 봄비는 못에 내리고
輕寒襲羅幕 (경한습라막) 찬바람이 장막 속에 스며들 제
愁依小屛風 (수의소병풍) 시름 못내 이겨 병풍 기대니
薔頭杏花落 (장두행화락) 송이송이 살구꽃 담 위에 지네.
호정(湖亭/鏡浦湖 亭子에서/七言絶句
) 교산(蛟山) 허균(許筠)
烟嵐交翠蕩湖光(연남교취탕호광) 연기 안개 푸른데 호수 빛 넘실거려
細踏秋花入竹房(세답추화입죽방) 가을 꽃 밟고서 죽방으로 들어가네.
頭白八年重到此(두백팔년중도차) 머리 희고 팔 년 만에 다시 와 보니
畵船無意載紅粧(화선무의재홍장) 그림배에 홍장 싣고 갈 뜻이 없구나.
애도시(哀悼詩) 교산(蛟山) 허균(許筠)
옥(玉)이 깨지고 별이 떨어지니 그대의 한 평생 불행하였다.
하늘이 줄 때에는 재색을 넘치게
하였으면서도
어찌 그토록 가혹하게 벌주고, 속히 빼앗아 가는가?
거문고는 멀리 든 채 켜지도 못하고좋은 음식 있어도 맛보지 못하였네.
난설헌의 침실은 고독만이 넘치고
난초도 싹이 났건만 서리
맞아 꺾였네.
하늘로 돌아가 편히 쉬기를
뜬세상 한순간 왔던 것이 슬프기만 하다.
홀연히 왔다가 바람처럼
떠나가니
한 세월 오랫동안 머물지 못했구나.
<누님 허난설헌의 죽음을 애도하여 쓴 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