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童心童詩}- 텃밭에서(詩를 쉽게 쓰라...)
2016년 04월 02일 23시 31분  조회:5086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를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지 알기 어려울 정도로 두루뭉수리여서 쓴 사람 혼자만 읽고 서랍 속에 넣어두어야 할 시를 읽게 되는 고통은 무척 컸다.” 올해 신춘문예 시 심사평의 한 대목이다.

언제부턴가 문예지의 시들을 보면 ‘어렵게 쓰기’ 경쟁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인 자신은 과연 그 어지러운 언어들을 이해하고 감당하면서 부리고 있는 것인지 의심스러웠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쉬운 시를 쓰는 시인은 누구일까. 서정홍 시인이 아닐까.
동시든 아니든 불문하고 그의 시는 쉽다. 사물을 비틀어서 낯설게 보여주거나 기발한 표현을 구사하려고 하지 않는다. 살아가면서 보고 들은 것과 동네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쓴다. 어려운 구석이 하나도 없다. 시가 되지 않았다고 볼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그는 시란 그런 것이라고 밀고 나간다.

“똑같은 땅에서/똑같은 햇볕 아래/똑같이 자랐”어도 “고구마는 달게/땅콩은 고소하게/고추는 맵게” 제각각 자기 고유의 성질을 지니게 된다. 텃밭에서 여러 작물을 직접 길러보며 느낀 것을 썼을 텐데, 굳이 인간사를 끌어와 그에 대한 비유로 삼거나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시가 ‘자연 관찰’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방울토마토는 둥글게! 감자는 울퉁불퉁하게! 세태를 다룬 시, 산골 마을의 사는 모습을 그린 시도 팍팍하지 않고 부드러운 유머와 넉넉한 여유가 배어있다.

사실 쉬운 시를 쓰기가 더 어렵다.
그만한 내공을 길러야 한다.

문학평론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03 중국 조선족 문단 "문화독립군"들 2016-11-11 0 3565
1802 "은진"과 동주 2016-11-11 0 3983
1801 "명동"과 동주 2016-11-11 0 3566
1800 詩人은 삶이란 진액을 증류해서 뽑아내는 련금술사이다... 2016-11-11 0 3258
1799 詩를 배우려는 초학자에게 보내는 편지 2016-11-11 0 3540
1798 詩란 의지와 령혼의 몸부림이다.../ 시의 흥취 10 2016-11-11 0 3448
1797 토템문화를 알아보다... 2016-11-11 0 3754
1796 가사창작할 때 <<아리랑>>을 람용하지 말자... 2016-11-10 0 3824
1795 개성이 없는 예술작품은 독자들의 호감을 살수 없다... 2016-11-10 0 3291
1794 가사창작도 예술품 제작이다... 2016-11-10 0 3860
1793 가사가 대중성이 없이 독서적인 향수를 느낄수 있어도 좋다... 2016-11-10 0 3868
1792 시조짓기에서 3장6구는 완결된 뜻의 장(章)을 이루어야... 2016-11-10 0 3786
1791 詩作할 때 민족의 정서와 녹익은 가락을 집어 넣어라... 2016-11-10 0 3810
1790 심련수, 27세의 짧은 생애에 근 250여편의 문학유고 남기다... 2016-11-10 0 3974
1789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2016-11-10 0 3682
1788 일기책에 늘 단시를 적으라... 2016-11-10 0 3578
1787 詩는 그래도 탁마해야 제맛이 난다... 2016-11-10 0 3511
1786 세우는데는 석삼년, 허물어 버리는데는 "단 하루 아침" 2016-11-10 0 3668
1785 노루 친 막대기를 석삼년, 아니 30년 더 넘어 우려먹다... 2016-11-10 0 3947
1784 중국 조선족 문학사에서 첫 "단행본아동작가론" 해빛 보다... 2016-11-10 0 3591
1783 詩人은 시시비비, 진진허허의 대문을 여는 도인이다... 2016-11-10 0 4171
1782 詩人이라 하여 모두가 詩人인것은 아니다... 2016-11-10 0 3705
1781 늦둥이 시인 하이퍼시집 낳다... 2016-11-10 0 4386
1780 중국 조선족 문단 생태문학을 알아보다... 2016-11-10 0 3763
1779 참된 문학은 머물러있는 문학, 가짜문학은 흘러가는 문학 2016-11-10 0 3906
1778 중국 조선족 시조문학을 파헤쳐보다... 2016-11-10 0 4064
1777 리상각 / 김관웅 / 조성일 / 허동식 2016-11-10 0 4119
1776 중국 조선족 록의 왕 - 최건도 음유시인 아니다?... 옳다...! 2016-11-10 0 3740
1775 윤동주의 시는 현실적 모순의 내면적인 목소리이다... 2016-11-10 0 4110
1774 "내 령혼이 내 말 속으로 들어간다"... 2016-11-09 0 4080
1773 詩는 감각과 정신을 제거한 무아에서 령감을 얻어 詩作해야... 2016-11-09 0 3479
177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시에 젖은 아이들은 아름답다... 2016-11-07 0 4278
1771 詩는 삶의 구석구석에 숨어 있다... 2016-11-07 0 4031
1770 그는 그람이라는 칼을 집어 두 사람 사이에 놓았다... 2016-11-07 0 4151
1769 거대한 장서더미속에서 맹인으로 보낸 인생의 후반부 빛났다... 2016-11-07 0 3910
1768 詩는 말을 넘어서 상징과 음악성속에 존재한다... 2016-11-07 0 5633
1767 최고의 작품은 최대의 상상에서 생긴다... 미국 포우 2016-11-07 0 4394
1766 가장 오랜전 <<령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者 - 플라톤...?...! 2016-11-07 0 3806
1765 중국 당나라 녀류시인 - 설도 2016-11-07 0 4027
1764 중국 유명한 시인들을 알아보기 2016-11-07 0 3829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