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주성화
2015년 03월 12일 22시 24분  조회:5228  추천:0  작성자: 죽림


현재 한국 한림대 언론정보학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주성화 시인의 시집 <숲에 떨어지는 해와 빛을 잃어가는 무리 >가 한국학술정보출판사에서 출간되였다. 

   <무한히 고맙다. 햇빛의 은혜의 영원함을 의심할 바 없어 늘 감격에 사무친다. 지금쯤 생명은 또 한 마디 늘어나고 있을 거다. 푸른 잎새를 통하여 나는 하늘의 높이를 가늠하여 보며 내일 아침에 반짝일 눈물 같은 이슬을 그 하늘에 담아본다. 투명하고 또 세상의 생김새처럼 둥그런 아름다움의 조각이겠다. >고 말하고 있는 주성화 시인은 

  오랜 기자생활을 해온 사람으로서 그만의 독특한 통찰력으로 이 세상을 가슴에 담아두고 또한 거기에서 느낀 바를 철학적 깊이가 있는 시로 독자들에게 선물하는 시인이다. 

   주성화 시인은 또한 최근 <중국 조선인 이주사>를 출간하였다.



 
주성화 시인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1권) 출간
 
 
2009.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중국 연변역사학회’의 기획과 한국재외동포재단의 후원 하에 주성화 시인이 수집하고 편찬한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1권)이 지난 3월 중순에 한국학술정보(주)에서 출간하였다.

 

총 4권으로 기획된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은 건국 전 중국조선족의 이주, 사회, 문화, 교육, 위생, 종교, 경제, 금융, 교통, 투쟁, 민속 등 각 분야를 포함하고 있어 역사분야뿐만 아니라 중국조선족 전반 사회 연구에 가치 높은 사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올해 10월 한국학술정보에서 제2권을 출판할 예정이다.

 

중국 연변대학 김병민 총장은 추천사에서 “19세기 60년대 조선북부 지방의 흉년을 계기로 조선인의 중국으로의 대량 이주가 시작되어 현재 중국조선족은 이미 150여년의 이주 역사를 갖고 있다”며, “지난 세기 20~40년대 사진은 지금처럼 생활 향수의 수단이 아니라 기념 적이고 기록적인 의의가 차분하였고 또 고달픈 생활난과 전쟁, 자연재해로 인한 잦은 이동, 그 후에는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정치연건 등 여러 요인으로 하여 오늘날 당시 사진의 발굴과 정리는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하고 나서, 앞으로도 ‘중국조선인사진첩’이 “조상들의 진실한 삶의 기록을 통하여 후세에게 역사의식을 심어주고 새로운 삶의 가치를 재정립하고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조선족의 오늘과 미래에 대하여 발전방양을 제시하고 문화가 있는 민족으로 거듭나기 위한 사명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주성화 시인은 연변대학교 수학학부 졸업생으로, 한국 한림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 석사과정을 마치고,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현재 인터넷 해란강닷컴 주필.

 

주성화 시인의 저서로는 ‘연변인구연구’, ‘연변인구통계자료집’, ‘연변조선족자치주지’인구편, ‘중국조선인 이주사’, ‘숲에 떨어지는 해와 빛을 잃은 무리’(시집), ‘중국문화풍경’ 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03 중국 조선족 문단 "문화독립군"들 2016-11-11 0 3524
1802 "은진"과 동주 2016-11-11 0 3930
1801 "명동"과 동주 2016-11-11 0 3543
1800 詩人은 삶이란 진액을 증류해서 뽑아내는 련금술사이다... 2016-11-11 0 3251
1799 詩를 배우려는 초학자에게 보내는 편지 2016-11-11 0 3536
1798 詩란 의지와 령혼의 몸부림이다.../ 시의 흥취 10 2016-11-11 0 3442
1797 토템문화를 알아보다... 2016-11-11 0 3733
1796 가사창작할 때 <<아리랑>>을 람용하지 말자... 2016-11-10 0 3808
1795 개성이 없는 예술작품은 독자들의 호감을 살수 없다... 2016-11-10 0 3270
1794 가사창작도 예술품 제작이다... 2016-11-10 0 3822
1793 가사가 대중성이 없이 독서적인 향수를 느낄수 있어도 좋다... 2016-11-10 0 3863
1792 시조짓기에서 3장6구는 완결된 뜻의 장(章)을 이루어야... 2016-11-10 0 3779
1791 詩作할 때 민족의 정서와 녹익은 가락을 집어 넣어라... 2016-11-10 0 3805
1790 심련수, 27세의 짧은 생애에 근 250여편의 문학유고 남기다... 2016-11-10 0 3966
1789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2016-11-10 0 3678
1788 일기책에 늘 단시를 적으라... 2016-11-10 0 3569
1787 詩는 그래도 탁마해야 제맛이 난다... 2016-11-10 0 3501
1786 세우는데는 석삼년, 허물어 버리는데는 "단 하루 아침" 2016-11-10 0 3657
1785 노루 친 막대기를 석삼년, 아니 30년 더 넘어 우려먹다... 2016-11-10 0 3936
1784 중국 조선족 문학사에서 첫 "단행본아동작가론" 해빛 보다... 2016-11-10 0 3582
1783 詩人은 시시비비, 진진허허의 대문을 여는 도인이다... 2016-11-10 0 4165
1782 詩人이라 하여 모두가 詩人인것은 아니다... 2016-11-10 0 3646
1781 늦둥이 시인 하이퍼시집 낳다... 2016-11-10 0 4378
1780 중국 조선족 문단 생태문학을 알아보다... 2016-11-10 0 3743
1779 참된 문학은 머물러있는 문학, 가짜문학은 흘러가는 문학 2016-11-10 0 3889
1778 중국 조선족 시조문학을 파헤쳐보다... 2016-11-10 0 4051
1777 리상각 / 김관웅 / 조성일 / 허동식 2016-11-10 0 4074
1776 중국 조선족 록의 왕 - 최건도 음유시인 아니다?... 옳다...! 2016-11-10 0 3720
1775 윤동주의 시는 현실적 모순의 내면적인 목소리이다... 2016-11-10 0 4096
1774 "내 령혼이 내 말 속으로 들어간다"... 2016-11-09 0 3965
1773 詩는 감각과 정신을 제거한 무아에서 령감을 얻어 詩作해야... 2016-11-09 0 3474
177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시에 젖은 아이들은 아름답다... 2016-11-07 0 4268
1771 詩는 삶의 구석구석에 숨어 있다... 2016-11-07 0 4000
1770 그는 그람이라는 칼을 집어 두 사람 사이에 놓았다... 2016-11-07 0 4139
1769 거대한 장서더미속에서 맹인으로 보낸 인생의 후반부 빛났다... 2016-11-07 0 3895
1768 詩는 말을 넘어서 상징과 음악성속에 존재한다... 2016-11-07 0 5569
1767 최고의 작품은 최대의 상상에서 생긴다... 미국 포우 2016-11-07 0 4295
1766 가장 오랜전 <<령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者 - 플라톤...?...! 2016-11-07 0 3775
1765 중국 당나라 녀류시인 - 설도 2016-11-07 0 4011
1764 중국 유명한 시인들을 알아보기 2016-11-07 0 3813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