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주성화
2015년 03월 12일 22시 24분  조회:5132  추천:0  작성자: 죽림


현재 한국 한림대 언론정보학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주성화 시인의 시집 <숲에 떨어지는 해와 빛을 잃어가는 무리 >가 한국학술정보출판사에서 출간되였다. 

   <무한히 고맙다. 햇빛의 은혜의 영원함을 의심할 바 없어 늘 감격에 사무친다. 지금쯤 생명은 또 한 마디 늘어나고 있을 거다. 푸른 잎새를 통하여 나는 하늘의 높이를 가늠하여 보며 내일 아침에 반짝일 눈물 같은 이슬을 그 하늘에 담아본다. 투명하고 또 세상의 생김새처럼 둥그런 아름다움의 조각이겠다. >고 말하고 있는 주성화 시인은 

  오랜 기자생활을 해온 사람으로서 그만의 독특한 통찰력으로 이 세상을 가슴에 담아두고 또한 거기에서 느낀 바를 철학적 깊이가 있는 시로 독자들에게 선물하는 시인이다. 

   주성화 시인은 또한 최근 <중국 조선인 이주사>를 출간하였다.



 
주성화 시인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1권) 출간
 
 
2009.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중국 연변역사학회’의 기획과 한국재외동포재단의 후원 하에 주성화 시인이 수집하고 편찬한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1권)이 지난 3월 중순에 한국학술정보(주)에서 출간하였다.

 

총 4권으로 기획된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은 건국 전 중국조선족의 이주, 사회, 문화, 교육, 위생, 종교, 경제, 금융, 교통, 투쟁, 민속 등 각 분야를 포함하고 있어 역사분야뿐만 아니라 중국조선족 전반 사회 연구에 가치 높은 사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올해 10월 한국학술정보에서 제2권을 출판할 예정이다.

 

중국 연변대학 김병민 총장은 추천사에서 “19세기 60년대 조선북부 지방의 흉년을 계기로 조선인의 중국으로의 대량 이주가 시작되어 현재 중국조선족은 이미 150여년의 이주 역사를 갖고 있다”며, “지난 세기 20~40년대 사진은 지금처럼 생활 향수의 수단이 아니라 기념 적이고 기록적인 의의가 차분하였고 또 고달픈 생활난과 전쟁, 자연재해로 인한 잦은 이동, 그 후에는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정치연건 등 여러 요인으로 하여 오늘날 당시 사진의 발굴과 정리는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하고 나서, 앞으로도 ‘중국조선인사진첩’이 “조상들의 진실한 삶의 기록을 통하여 후세에게 역사의식을 심어주고 새로운 삶의 가치를 재정립하고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조선족의 오늘과 미래에 대하여 발전방양을 제시하고 문화가 있는 민족으로 거듭나기 위한 사명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주성화 시인은 연변대학교 수학학부 졸업생으로, 한국 한림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 석사과정을 마치고,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현재 인터넷 해란강닷컴 주필.

 

주성화 시인의 저서로는 ‘연변인구연구’, ‘연변인구통계자료집’, ‘연변조선족자치주지’인구편, ‘중국조선인 이주사’, ‘숲에 떨어지는 해와 빛을 잃은 무리’(시집), ‘중국문화풍경’ 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03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육필원고 고향에서 품다... 2017-01-27 0 3682
2002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4) 2017-01-25 0 4316
2001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3) 2017-01-25 0 4983
2000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2) 2017-01-25 0 4360
1999 저항시인, 아동문학가 윤동주 재조명되다... 2017-01-25 0 3872
1998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 2017-01-25 0 4813
1997 [자료] - 윤동주 하숙집 옛터 2017-01-24 0 3740
1996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01-24 0 5917
1995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2)... 2017-01-24 0 4786
1994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 2017-01-24 0 5405
1993 [쟁명] - 불멸의 영원 - "윤동주 현상"... 2017-01-24 0 3673
1992 [쟁명] - 윤동주 한민족 시인... 2017-01-24 0 3978
1991 [쟁명] - 윤동주 조선족 是是非非... 2017-01-24 0 3438
1990 [쟁명] - 윤동주의 조선족 시인설... 2017-01-24 0 3670
1989 정지용과 윤동주 2017-01-22 0 4099
198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계기로 "동주"를 재다시 바로알기 2017-01-22 0 3856
1987 현대시의 아버지, 민족과 우리 말 수호자 - 정지용시인 2017-01-22 0 5078
1986 "윤동주 연구가" ㅡ 오무라 마스오 日本人 학자 2017-01-22 0 3858
1985 윤동주 탄생 100주년에 붙여... 2017-01-22 0 4436
1984 암울한 시대에 묵묵히 위대한 문학을 이루어낸 시인 윤동주 2017-01-22 0 4339
1983 그 언제나 늙지 않는 그 이름 "동주" 2017-01-22 0 3788
1982 "윤동주시인은 결코 죽지 않았다..." 2017-01-22 0 4233
1981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01-21 0 3768
1980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2017-01-09 0 4046
1979 불러도 대답없을,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싶은 동주! 몽규!... 2017-01-09 0 4735
1978 윤동주 시집 제목을 워낙 "병원"이라 붙일가 했단다... 2017-01-09 0 6183
1977 "서정시 동서고금 속마음 모두 하나" 2017-01-08 0 4342
1976 시인은 시대와 력사의 고통을 노래해야... 2017-01-06 0 4108
1975 대가, 천재, 명인, 그리고 病이 명작 만들다... 2017-01-06 0 4250
1974 리투아니아 음유시인 - 마이로니스 2017-01-02 0 4376
1973 칠레 시인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2017-01-02 0 4568
1972 이탈리아 시인 - 단눈치오 2017-01-02 0 6566
1971 영국 시인 - 에디스 싯웰, o. 싯웰, s. 싯웰 2017-01-01 0 5847
1970 "반디불" 저자 조룡남 원로시인 "반디불나라"로 가다... 2016-12-27 0 4146
1969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6-12-27 0 5750
1968 몽골 시인 - 째.바트바타르 2016-12-26 0 4219
1967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12-26 0 4850
1966 뿌리는 중국, 줄기는 대만, 가지와 잎은 미국 2016-12-25 1 5446
1965 "중국의 솔제니친" - 北島 시인 2016-12-25 0 4252
1964 중국 가장 전위적인 예술가 - 최건(음유시인) 2016-12-25 0 4878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