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3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 101] - 18...
2020년 02월 28일 23시 03분  조회:3227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고려 가요가 남녀상열지사라면, 조선의 시가는?

 

 

분야 고전 시가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교과 단원

중학교

 

문학 작품의 맥락

고등학교

국어Ⅱ

한국 문학의 전승과 흐름

고려 가요를 가리켜 남녀상열지사라고 했던 것처럼 조선 시대 사대부의 노래에는 충신연주지사라는 말이 따라붙는 것 같아요. 이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싶어요.

고려 가요가 남녀상열지사라면, 조선의 시가는?

임금을 사모하여 부르는 노래

충신연주지사는 한자로 ‘’라고 적습니다. 한자를 풀이하면 충성스러운 신하가 임금을 사모하는 노래라는 뜻이지요. 대개의 충신연주지사에서 임금은 남성으로, 신하는 여성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는 임을 그리워하는 주체가 여성으로 그려질 때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충신연주지사의 시작은 대개 고려 시대 정서가 지은 「정과정」을 손꼽습니다. 이 작품은 고려 시대 때 지어졌지만 향가와 비슷하다고 하여 향가계 여요(고려 가요)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내 임을 그리워하여 울고 있으니
산 접동새와 나는 비슷합니다
옳지 않으며 거짓인 것을
지는 달과 새벽 별이 알 것입니다.
넋이라도 임과 한곳에 살고 싶어라, 아아

정서, 「정과정」 중에서

정서는 고려 시대 인종의 처남으로 왕의 사랑을 받았으나 의종 때 역모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받아 귀양을 갔습니다. 3행의 “옳지 않으며 거짓인 것을”이라는 구절은 모함을 당했음을 암시합니다. 의종은 정서에게 곧 다시 부를 것이라며 위로했지만 정서는 이후 20여 년 동안 부름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에 정서가 자신의 억울함과 더불어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애절하게 표현한 노래가 「정과정」입니다. 이와 같이 임금과 떨어져서 임금을 사모하며 부른 노래가 충신연주지사입니다.

정서의 「정과정」 이후 충신연주지사는 사대부들의 대표적인 노래가 되었습니다. 자연을 노래한 송순의 「면앙정가」마저도 마지막 구절은 ‘이 몸이 이렇게 지내는 것도 또한 임금의 은혜다’라고 되어 있는데 이 역시 충신연주지사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지요.

충신연주지사의 대표작, 「사미인곡」

충신연주지사의 대표 작품은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을 들 수 있습니다. 정철은 송순의 가사 「면앙정가」에 영향을 받아 「성산별곡」이라는 가사를 썼던 인물입니다. 그가 지은 「사미인곡」과 그 속편 「속미인곡」의 의미는 미인을 사모하다, 혹은 그리워하다라는 것인데, 여기서 미인은 ‘아름다운 사람’을 일컫는 말인 동시에 임금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했습니다.

「사미인곡」은 송강 정철이 관직에서 물러나 전남 담양 창평에 머물면서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별한 임을 그리워하는 여인의 심정에 비유하여 표현한 작품입니다. 당시 정철이 창평에 머무른 까닭은 과열된 붕당 정치로 인해서 귀양살이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동인과 서인이 첨예하게 갈등하던 시절이었는데 정철은 당시 서인의 대표 격으로 벼슬살이와 귀양을 반복하고 있었지요. 정철은 귀양살이를 하는 동안 임금에 대한 충직한 마음과 벼슬에 나아가지 못하는 초조한 마음을 동시에 표현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작품의 구조는 서사—본사—결사로 나뉘는데 본사는 다시 봄, 여름, 가을, 겨울로 그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계절에는 이별한 임에게 보내는 시적 화자의 정성이 담긴 사물들이 제시되어 있지요. 결사 부분을 현대어로 풀이해 살펴보겠습니다.

하루도 열두 때, 한 달도 서른 날, 잠시라도 임 생각을 하지 말자. 이 시름을 잊고자 하니 마음속에 맺혀 있어 뼛속까지 사무쳤으니, 편작 같은 훌륭한 의사가 열 명이 온다 한들 나의 병을 어찌하랴. 아, 내 병이야 임의 탓이로다. 차라리 죽어서 호랑나비가 되리라. 꽃나무 가지마다 가는 곳마다 앉아 있다가, 향기 묻은 날개로 임의 옷에 옮아가 앉으리라. 임께서 나인 줄 모르셔도 나는 임을 쫓으려 하노라.

정철, 「사미인곡」 중에서

사랑하는 임을 잊고자 하지만 잊을 수가 없는데 그 까닭은 임에 대한 그리움이 뼛속까지 사무쳐 있기 때문입니다. 임을 향한 충성스러운 마음은 변함없다는 것을 문학적으로 표현한 것이지요. 죽어서 호랑나비가 되더라도 임을 따르겠다는 구절 또한 임금에 대한 충절을 나타냅니다.

「사미인곡」의 뒤를 잇다, 「속미인곡」

「속미인곡」은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이 작품 역시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나타낸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사미인곡」과 달리 계절의 변화가 아니라 ‘두 여인의 대화’로 내용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시적 화자는 임과 이별한 서러운 사연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를 듣고 있는 또 다른 여인은 시적 화자의 말에 대해 공감하며 위로하고 있습니다.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이 다른 사람도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임을 작가가 전달하려 했던 것이지요.

마음속에 맺힌 일이 있습니다. 임을 모신 적이 있어서 임의 형편을 내가 잘 아는데, 물같이 연약한 몸이 편하실 때가 몇 날일까? 이른 봄날의 추위와 한여름의 무더위에 어떻게 지내시며, 가을과 겨울은 누가 모셨을까? 아침, 저녁 진지는 예전과 같이 잡수시는가? 기나긴 밤에 잠은 어떻게 주무실까?

정철, 「속미인곡」 중에서

내용이 모두 이별한 임이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걱정하는 것이네요. 비록 임과 이별한 상황이지만 임에 대한 사랑과 충심은 변하지 않았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정철의 임금에 대한 충성된 마음은 기행가사인 「관동별곡」에도 고스란히 나타나있습니다. 정철은 지금의 강원도 지역 관찰사로 부임하고 난 후, 자신이 다스리는 강원도 지역 전체를 유람하며 가는 곳마다 임금과 나라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습니다.

충신연주지사는 조선 사대부들의 대표적인 노래였습니다. 임금에 대한 충절은 유교의 가르침이었기 때문입니다. 이후에도 많은 사대부들이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시조와 가사, 한시로 표현했는데 그것들도 모두 충신연주지사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뜬금있는 질문

충신연주지사에서 시적 화자는 왜 여성으로 설정되어 있나요?

우리 시가 문학에서 여성적 화자를 설정하는 것은 오랜 전통이었습니다. 고대 가요 「공무도하가」, 「정읍사」, 그리고 고려 가요와 기녀들의 시조에는 모두 여성 화자가 등장했지요. 이 여성들은 임과 어쩔 수 없이 이별에 처한 이들이었습니다. 안타깝고 절실한 마음으로 임이 자신을 다시 찾아 주길 바라는 이들의 어조는 깊은 공감을 자극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임금에게 내쳐진 신하가 글로써 공감을 불러일으키려면 안타깝고 절실한 여성적 어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겠지요.

[네이버 지식백과] 고려 가요가 남녀상열지사라면, 조선의 시가는?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90 [시공부 101] - 32... 2020-04-04 0 3504
1489 언어 - 마음의 소리, 문자 - 마음의 그림 2020-04-03 0 3852
1488 [시공부 101] - 31... 2020-03-28 0 3849
1487 [시공부 101] - 30... 2020-03-28 0 3563
1486 [시공부 101] - 29... 2020-03-28 0 3676
1485 [시소사전] - 서사시 2020-03-09 0 4128
1484 [시공부 101] - 28... 2020-03-08 0 3561
1483 [시공부 101] - 27... 2020-03-08 0 3287
1482 [시공부 101] - 26... 2020-03-08 0 4118
1481 [시공부 101] - 25... 2020-03-07 0 3327
1480 [시공부 101] - 24... 2020-03-07 0 3406
1479 [시공부 101] - 23... 2020-03-07 0 2821
1478 [시공부 101] - 22... 2020-03-01 0 3422
1477 [시공부 101] - 21... 2020-03-01 0 3056
1476 [시공부 101] - 20... 2020-03-01 0 3332
1475 [시공부 101] - 19... 2020-02-28 0 3147
1474 [시공부 101] - 18... 2020-02-28 0 3227
1473 [시공부 101] - 17... 2020-02-28 0 2876
1472 [시공부 101] - 16... 2020-02-25 0 2952
1471 [시공부 101] - 15... 2020-02-25 0 3079
1470 [시공부 101] - 14... 2020-02-25 0 2841
1469 [시공부 101] - 13... 2020-02-22 0 3191
1468 [시공부 101] - 12... 2020-02-22 0 2608
1467 [시공부 101] - 11... 2020-02-22 0 3253
1466 [시공부 101] - 10... 2020-02-04 0 3320
1465 [시공부 101] - 9... 2020-02-04 0 3252
1464 [공부공부공부] - "이(머릿니)타령" 2020-02-02 0 2993
1463 [공부공부공부] - "서캐타령" 2020-02-02 0 2705
1462 [시공부 101] - 8... 2020-02-02 0 2959
1461 [시공부 101] - 7... 2020-02-02 0 2635
1460 [시공부 101] - 6... 2020-02-02 0 2944
145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저작권보호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02 0 3024
1458 [그것이 알고싶다] - "판도라" 2020-02-01 0 4565
1457 시와 그림, 그림과 시 2020-01-30 0 4153
1456 시와 문장부호 2020-01-30 0 2979
1455 [시공부 101] - 5... 2020-01-30 0 3131
1454 [시공부 101] - 4... 2020-01-30 0 3028
1453 [시공부 101] - 3... 2020-01-30 0 2674
1452 [시공부 101] - 2... 2020-01-30 0 2964
1451 [시공부 101] - 1... 2020-01-30 0 2780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