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 101] - 7...
2020년 02월 02일 00시 19분  조회:2515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고대 국가도
"애국가"를 불렀나요?

 

 

분야 고전 시가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교과 단원

중학교

 

문학의 가치와 중요성

고등학교

국어Ⅰ

문학과 사회적 소통

나라마다 그 나라를 상징하는 노래가 있잖아요? 고대에도 애국가 같은 노래가 있었을까요?

고대 국가도 애국가를 불렀나요?

국가의 안정을 기원하는 노래, 「안민가」

신라 시대에도 <애국가>처럼 공적인 목적을 지닌 노래가 있었습니다. 물론 이 노래가 <애국가>처럼 모든 신라인들에게 불렸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노래의 가사라든가 창작 의도를 보면 <애국가>처럼 국가의 번영과 안녕을 바라는 마음에서 창작된 것만큼은 틀림없습니다.

제목은 ‘안민가()’인데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노래라는 뜻입니다. 함께 감상해 볼까요?

군()은 아비여,
신()은 사랑하실 어머니여,
민()은 어린아이라고 한다면
민()이 사랑을 알 것입니다
구물거리며 살아가는 백성
이들을 먹여 다스리어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갈 것인가 한다면
나라 안이 유지됨을 알 것입니다
아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한다면
나라 안이 태평할 것입니다

충담사, 「안민가」

「안민가」는 신라 경덕왕 때에 승려 충담사가 지어 부른 것입니다. 이 노래가 만들어진 것은 정치 · 사회적 분위기와 관계가 깊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경덕왕 시절에는 하늘에 두 개의 해가 뜨는 등 천재지변이 백성의 삶을 위협하고 귀족들이 정치 권력을 얻기 위해 서로 다투는 등 정치 · 사회적 위기 상황이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경덕왕은 이러한 위기를 벗어나고자 충담사에게 노래를 지어 부를 것을 요청했는데 이에 충담사가 지은 작품이 바로 「안민가」입니다.

승려가 전하는 유교적 메시지?

신라가 불교를 신봉하는 나라이고 지은이가 승려이기는 하지만 작품의 성격은 유교적입니다. 경덕왕은 당시 귀족 세력을 억누르고자 중국식 제도와 학문을 따랐다고 하는데 이런 과정에서 유교의 통치 이념을 널리 퍼뜨리려 했다고 합니다. 시에 언급된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는 유교 경전 『논어』의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비는 아비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는 말을 인용한 것이지요. 또한 이 작품은 임금을 아버지, 신하를 어머니, 백성을 자식으로 비유하고 있는데 이는 임금과 신하와 백성이 가족적인 사랑과 유대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이처럼 이 노래는 목적성이 매우 강한 작품입니다. 우리나라의 <애국가>가 우리 민족의 발전과 번영을 기원하듯이 「안민가」는 나라가 태평해지고 백성들의 삶이 나아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부른 노래였지요. 충담사는 승려였지만 국가의 장래를 위해 「안민가」라는 유교적인 작품을 창작했던 것입니다.

하늘에 해가 두 개 떠서 부른 노래, 「도솔가」

신라 향가 중에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목적성을 띤 노래를 한 편 더 소개하자면 「도솔가」를 들 수 있습니다. 「도솔가」 역시 신라 경덕왕 시절에 지어진 노래입니다.

어느 날 하늘에 해가 두 개가 뜨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해가 두 개 뜬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전혀 맞지 않는 이야기이지요. 아마도 천재지변을 과장하여 표현한 것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징적인 의미가 담겨 있을 것입니다. 보편적으로 해가 임금을 상징하니, 해가 두 개라는 말은 정치 권력이 분열되어 있는 상황을 의미할 것입니다.

이때 일기를 맡아보던 신하가 경덕왕에게 스님이 꽃을 뿌리며 정성을 들이면 재앙을 물리칠 수 있다고 충고합니다. 이에 경덕왕은 신하의 충고를 받아들여 때마침 그곳을 지나가는 승려 월명사에게 기도문을 지어 부르게 합니다. 월명사는 기도문 대신 향가를 지어 불렀는데 그것이 바로 「도솔가」입니다.

오늘 이에 산화()의 노래 불러
뿌리온 꽃아, 너는
곧은 마음의 명을 심부름하옵기에
미륵 좌주를 모셔라!

월명사, 「도솔가」

작품의 내용은 단순합니다. 꽃을 뿌리며 곧은 마음의 자세를 지니고 미륵 부처님을 모시자는 것이지요. 미륵 부처에게 국가의 안녕을 빌었던 것입니다. 월명사가 왕에게 시를 지어 바친 후 정말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해 하나가 사라져서 세상은 다시 일상으로 되돌아왔다고 합니다. 이 노래 역시 집단과 사회의 안녕을 위해 지어 부른 목적성이 매우 강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채로운 신라 향가의 모습

4구체 향가

신라 향가에는 이 밖에도 다양한 주제를 다룬 작품들이 존재했습니다. 먼저 4구체 향가인 「서동요」는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설화를 바탕으로 창작되었으며, 「풍요」는 민요로서의 성격이 강합니다. 「헌화가」는 절벽 위에 피어 있는 꽃을 수로부인을 위해 꺾어 바친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지요.

8구체 향가

4구체 향가가 두 번 반복된 형태인 8구체 향가는 「모죽지랑가」와 「처용가」가 있습니다. 「모죽지랑가」는 죽지랑이라는 화랑을 추모하면서 그의 낭도가 지어 부른 노래이며, 「처용가」는 아내를 범한 역신을 노래를 불러 물리쳤다는 처용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10구체 향가

10구체 향가에는 죽은 누이를 추모하며 부른 「제망매가」, 서쪽에 떠 있는 달에게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원왕생가」, 기파랑이라는 화랑을 찬양하며 부른 「찬기파랑가」, 신하가 자신을 알아봐 주지 않는다며 왕을 원망하며 부른 「원가」, 이 외에도 「우적가」, 「혜성가」 등 다양한 주제를 지닌 작품들이 있었습니다.

신라 향가는 당대에 수많은 작품들이 창작되어서 진성여왕 때에는 『삼대목』이라는 향가집까지 출간될 정도였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삼대목』은 오늘날까지 전해지지 않고 있지요. 만약 그 책이 남아 있다면 신라 시대 향가의 모습을 더 정확하게 알 수 있었을 것입니다.

뜬금있는 질문

「처용가」에 등장하는 처용은 어떤 사람이었나요?

처용에 대한 기록은 『삼국유사』에 남아 있습니다.

어느 날 왕이 개운포(지금의 울주)에서 놀다가 돌아가려 하였다. 낮에 물가에서 쉬고 있는데,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깔려 길을 잃고 말았다. 왕이 괴이하게 여겨 신하들에게 물으니 일관(날씨를 보는 관직)이 아뢰었다.

“동해() 용의 조화입니다. 마땅히 좋은 일을 해 주어 풀어야 할 듯합니다.”

그래서 왕은 일을 맡은 관원에게 명하여 용을 위해 절을 세우도록 하였다. 왕이 명령을 내리자 구름과 안개가 걷혔기 때문에 그곳을 개운포라 불렀다.

동해의 용이 기뻐하며 일곱 아들을 거느리고 왕 앞에 나타나 덕()을 찬양하며 춤을 추고 음악을 연주하였다. 그중 한 아들이 왕을 따라 서울로 들어와 정사를 도우니, 이름은 처용()이라 하였다. 왕은 아름다운 여자로 처용의 아내를 삼아 머물도록 하고, 관직도 주었다.

그의 아내는 매우 아름다웠으므로 역신(질병을 옮기는 신)이 그를 흠모하여 사람으로 변하여 밤에 그의 집에 몰래 가서 잤다. 처용이 밖에서 집으로 돌아와 잠자리에 두 사람이 있는 것을 보고, 곧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났다. 노래는 이러하다.

“서울 밝은 달에 밤들도록 노니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가로리 넷이러라 둘은 내 것이고 둘은 뉘 것인고 본디 내 것이다만 앗음을 어찌하리꼬.”

이때 역신이 앞에 꿇어앉아 말하기를, “제가 공의 부인을 부러워하여 지금 그를 범하였는데, 공이 노여움을 나타내지 않으니, 감동하고 맹세코 지금 이후로는 공의 모습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삼국유사』에 등장한 처용은 이처럼 동해 용왕의 아들로 그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처용은 누구였을까요? 후대 사람들은 그가 신라의 호족 출신 중에 한 명일 것이라고도 하고, 신라에 출입하던 아라비아 상인일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합니다. 현재 민간에 전래되는 처용탈을 보면 호족보다는 아라비아 상인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지요.

[네이버 지식백과] 고대 국가도 애국가를 불렀나요?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90 [시공부 101] - 32... 2020-04-04 0 3371
1489 언어 - 마음의 소리, 문자 - 마음의 그림 2020-04-03 0 3718
1488 [시공부 101] - 31... 2020-03-28 0 3606
1487 [시공부 101] - 30... 2020-03-28 0 3407
1486 [시공부 101] - 29... 2020-03-28 0 3441
1485 [시소사전] - 서사시 2020-03-09 0 3966
1484 [시공부 101] - 28... 2020-03-08 0 3420
1483 [시공부 101] - 27... 2020-03-08 0 3157
1482 [시공부 101] - 26... 2020-03-08 0 3920
1481 [시공부 101] - 25... 2020-03-07 0 3191
1480 [시공부 101] - 24... 2020-03-07 0 3278
1479 [시공부 101] - 23... 2020-03-07 0 2705
1478 [시공부 101] - 22... 2020-03-01 0 3289
1477 [시공부 101] - 21... 2020-03-01 0 2883
1476 [시공부 101] - 20... 2020-03-01 0 3175
1475 [시공부 101] - 19... 2020-02-28 0 2973
1474 [시공부 101] - 18... 2020-02-28 0 3054
1473 [시공부 101] - 17... 2020-02-28 0 2749
1472 [시공부 101] - 16... 2020-02-25 0 2805
1471 [시공부 101] - 15... 2020-02-25 0 2903
1470 [시공부 101] - 14... 2020-02-25 0 2706
1469 [시공부 101] - 13... 2020-02-22 0 3019
1468 [시공부 101] - 12... 2020-02-22 0 2487
1467 [시공부 101] - 11... 2020-02-22 0 3066
1466 [시공부 101] - 10... 2020-02-04 0 3174
1465 [시공부 101] - 9... 2020-02-04 0 3113
1464 [공부공부공부] - "이(머릿니)타령" 2020-02-02 0 2869
1463 [공부공부공부] - "서캐타령" 2020-02-02 0 2544
1462 [시공부 101] - 8... 2020-02-02 0 2816
1461 [시공부 101] - 7... 2020-02-02 0 2515
1460 [시공부 101] - 6... 2020-02-02 0 2772
145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저작권보호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02 0 2885
1458 [그것이 알고싶다] - "판도라" 2020-02-01 0 4355
1457 시와 그림, 그림과 시 2020-01-30 0 3998
1456 시와 문장부호 2020-01-30 0 2803
1455 [시공부 101] - 5... 2020-01-30 0 2928
1454 [시공부 101] - 4... 2020-01-30 0 2806
1453 [시공부 101] - 3... 2020-01-30 0 2530
1452 [시공부 101] - 2... 2020-01-30 0 2820
1451 [시공부 101] - 1... 2020-01-30 0 2639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