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구분 | 교과 | 단원 |
---|---|---|
중학교 |
|
문학의 갈래 |
고등학교 |
문학 |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우리나라의 시조는 고려 시대부터 불리기 시작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창작되고 있는 문학 장르입니다. 그러니까 천 년 가까운 긴 세월 동안 시조를 짓고 불러 온 것이지요. 그 긴 역사만으로 시조는 가히 세계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해서 고려 말에 그 형식이 완성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시조가 발생한 고려 중엽에는 사대부들이 등장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바탕으로 정치를 펼치려던 사람들이었지요. 훗날 이성계가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하는 데에 크게 기여했던 이들도 바로 고려 중엽에 등장한 신진 사대부들이었습니다.
신진 사대부들은 자신들만이 가지고 있는 유교적인 이념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문학 형식이 필요했습니다. 당시에는 고려 가요와 비슷하게 귀족들 사이에서 불리어지던 경기체가가 있었지만 그 성격이 향락적이어서 유교 이념을 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발생한 것이 시조였습니다. 시조는 초장—중장—종장의 형식으로 작가의 생각을 간결하고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한자가 아닌 우리말 위주로 표현할 수 있기에 향유층이 넓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사대부의 유교 이념을 펼치기에 매우 적절한 형식이었던 것이지요.
그렇다면 시조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요? 시조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먼저 민요가 발전하여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한 향가가 사라지면서 만들어졌을 거라는 설도 있습니다. 10구체 향가의 형식이 4구—4구—2구로 되어 있어서 시조의 초장—중장—종장으로 발전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지요. 더군다나 향가의 마지막 2구 첫 음보가 감탄사 ‘아아’, ‘아으’ 등으로 되어 있는데 그것이 시조의 종장 첫 3음절로 변화했다고 보기도 합니다.
여러 학설 중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학설은 고려 가요가 형식적인 변화 과정을 거쳐 시조로 발전했다고 보는 것입니다. 고려 가요 중에서 「만전춘」은 다른 고려 가요와 달리 3음보가 아니라 4음보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시조의 4음보 율격과 같습니다. “얼음 위에 / 댓잎자리 보아 / 임과 나와 / 얼어 죽을망정”은 그 실례가 되는 것이지요. 그렇지만 아무래도 시조는 다양한 기존 장르의 영향을 고루 받아서 성립되었다고 보는 게 가장 타당할 것입니다.
고려 시대 시조는 주로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시조를 지은 이들이 대부분 신진 사대부였기 때문이지요. 특히 임금과 왕조에 대한 충성을 표하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정몽주는 고려 왕조의 충신으로서 허물어져 가는 고려 왕조를 개혁하여 나라를 바로 세우고자 했지요.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이 자기편으로 삼고자 했으나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유교적인 이념을 몸소 실천하며 고려 왕조에 충성을 다합니다. 결국 정몽주는 이방원의 철퇴를 맞고 선죽교에서 죽음을 맞이했지요. 이처럼 시조는 유교적 이념을 실천하고자 했던 사대부에 의해 지어졌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조가 융성한 진짜 이유는?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