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대만 녀성시인 - 옌아이린(옌艾琳)
2016년 10월 30일 20시 56분  조회:3791  추천:0  작성자: 죽림
 

타이완 여성 시인

칠월의 필라리아(filaria) 외 2편

-한 여자의 귀월(鬼月)을 기억하며

옌 아이린

 

 

 

칠월에 일어난 모든 일들은

정오의 태양보다

더 뜨겁게 나를 태운다.

 

몸 안의 수분이,

땀으로  경혈로  눈물로

나를 떠나간다.

그러나 내겐 고통을 축적할 방법이

없다. 잠을 잊은 밤의 매 순간마다

내 눈은 바닥이 깨진 그릇처럼

이런 액체와 시간을 따라

흘러간다.

 

칠월에, 누가 나를 떠나가는가?

그 사람은 또 내게 가까이 다가와 말한다.

「당신을 얼마나 깊이 사랑해야 좋을지 몰라서 그래요.

제가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걸 용서해주세요.」

그의 고백을 다 듣고 나서,

나는 자신을 빗자루로 만들어

집 안 여기저기를

쓸기 시작한다.

맨 구석부터 오래된 세월의 부스러기들을

쓸어내기 시작한다.

나는 또 내 손을 두 장의 걸레로 만들어

수정 탁자와 유리 장을 닦기 시작한다.

침실의 화장대와 욕실의 거울을

결혼사진과 아이가 태어난 뒤의 삶을 담은 사진을 닦기 시작한다.

이런 저런 것들이 전부 더러워져 있다.

하지만 걸레를 비틀어 짜면, 손에서 흘러나오는 것은

찝찔한 눈물이다.

 

액체로 된 모든 것들이,

마침내 내 몸을 빠져나와

흘러간다.

 

칠월, 아, 얼마나 뜨거운 칠월인가

내 몸은 말라서 텅 비어버린다.

미라처럼 깨끗하게

그 사람이 집으로 돌아갈 때,

아직 살아 있는 내가

사실은 이미 처량한 귀신이라는 것을 알아챌 수 있을까?

 

                                                          -2008년 『유사문예(幼獅文藝)』9월호에 발표

 

 

 

봄에 가을 치마를 입다                 

     

 

 

삼월에,

나는 구불구불 산 속의 작은 길로 들어서,

길가에 줄지어 늘어선 망초들이 나를 향해 손을 내미는 것을 본다

망초들은 내 검은 외투의 방향을 막고 있다.

망초들이 말한다:「더는 앞으로 가지 마세요.

그곳은 온통 가을이에요.

당신은 겨울에 차가운 깨끗함을 잘 못 지나왔어요.

게다가 봄은 방금 산 밑에 도착했다고요.

하지만 가을은, 지난해부터 줄곧 우울해하더니,

지금까지 이곳을 배회하면서 가지 않고 있어요.」

나는 말라비틀어진 망초 꽃을 어루만지며,

담묵(淡墨) 같은 미소로 가볍게 화선지를 건너뛴다.

「저는 가을에 태어난 영혼이거든요.」

 

걸음을 옮기는 신발에 지난해의 낙엽과 썩은 풀이 잔뜩 달라붙고,

검은 외투는 요염한 자줏빛 가시나무에 한 쪽 자락이 걸려버린다.

마음속 일들이 달라붙기라도 한 듯,

그녀는 놀라서 소리를 지른다.

「어째서 아직도 이곳에 겨울이 만연한 걸까요?」

나는 미안한 표정으로 그 가운데 한 송이를 딴다.

「그럼 나를 봄을 부르는 편지로 삼지 않을래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눈앞에 얼마나 좋은 대답이 깔려 있는지,

산 계곡에 가득한 자줏빛 가시나무들이 일제히 화답한다.

 

온몸에 아름다움이 가득해진다.

 

그런 다음에,

내가 외투를 벗고

봄 속으로 걸어 들어가는 것을

누가 보았을까?

 

주: 2009년 1월, 나는 신주(新竹) 국립예술원예구 안에 있는 산 언덕길을 두 시간 남 짓 한가하게 걸으면서 가을과 겨울, 봄 세 계절의 생태를 한꺼번에 체험했다.

                                

 

***** ...시평 카페 회원 여러분!

 옌 아이린 시인은 우리 시평 회원들과 친숙한 타이완의 여성 시인입니다. 3년 전 속초에서 아시아 시 낭송대회를 열었을 때 먼 길을 와서 아주 매력적으로 시를 낭송했습니다. 그 사람이 눈 오는 오늘 양평 용문산 동쪽에 혼자 보고 싶어집니다. 저는 멀리 있는 사람을 생각할 때 시가 오는 것 같습니다. 저 하늘에서 눈 송이 송이가 소리없이 이 지상으로 내려오는 것처럼 말입니다. 

 여러분, ...자주 만나 뵙겠습니다.  - 고형렬 드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03 중국 조선족 문단 "문화독립군"들 2016-11-11 0 3563
1802 "은진"과 동주 2016-11-11 0 3974
1801 "명동"과 동주 2016-11-11 0 3564
1800 詩人은 삶이란 진액을 증류해서 뽑아내는 련금술사이다... 2016-11-11 0 3258
1799 詩를 배우려는 초학자에게 보내는 편지 2016-11-11 0 3540
1798 詩란 의지와 령혼의 몸부림이다.../ 시의 흥취 10 2016-11-11 0 3448
1797 토템문화를 알아보다... 2016-11-11 0 3748
1796 가사창작할 때 <<아리랑>>을 람용하지 말자... 2016-11-10 0 3822
1795 개성이 없는 예술작품은 독자들의 호감을 살수 없다... 2016-11-10 0 3289
1794 가사창작도 예술품 제작이다... 2016-11-10 0 3853
1793 가사가 대중성이 없이 독서적인 향수를 느낄수 있어도 좋다... 2016-11-10 0 3868
1792 시조짓기에서 3장6구는 완결된 뜻의 장(章)을 이루어야... 2016-11-10 0 3784
1791 詩作할 때 민족의 정서와 녹익은 가락을 집어 넣어라... 2016-11-10 0 3810
1790 심련수, 27세의 짧은 생애에 근 250여편의 문학유고 남기다... 2016-11-10 0 3973
1789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2016-11-10 0 3682
1788 일기책에 늘 단시를 적으라... 2016-11-10 0 3576
1787 詩는 그래도 탁마해야 제맛이 난다... 2016-11-10 0 3511
1786 세우는데는 석삼년, 허물어 버리는데는 "단 하루 아침" 2016-11-10 0 3664
1785 노루 친 막대기를 석삼년, 아니 30년 더 넘어 우려먹다... 2016-11-10 0 3945
1784 중국 조선족 문학사에서 첫 "단행본아동작가론" 해빛 보다... 2016-11-10 0 3589
1783 詩人은 시시비비, 진진허허의 대문을 여는 도인이다... 2016-11-10 0 4170
1782 詩人이라 하여 모두가 詩人인것은 아니다... 2016-11-10 0 3703
1781 늦둥이 시인 하이퍼시집 낳다... 2016-11-10 0 4380
1780 중국 조선족 문단 생태문학을 알아보다... 2016-11-10 0 3755
1779 참된 문학은 머물러있는 문학, 가짜문학은 흘러가는 문학 2016-11-10 0 3906
1778 중국 조선족 시조문학을 파헤쳐보다... 2016-11-10 0 4062
1777 리상각 / 김관웅 / 조성일 / 허동식 2016-11-10 0 4119
1776 중국 조선족 록의 왕 - 최건도 음유시인 아니다?... 옳다...! 2016-11-10 0 3738
1775 윤동주의 시는 현실적 모순의 내면적인 목소리이다... 2016-11-10 0 4109
1774 "내 령혼이 내 말 속으로 들어간다"... 2016-11-09 0 4079
1773 詩는 감각과 정신을 제거한 무아에서 령감을 얻어 詩作해야... 2016-11-09 0 3479
177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시에 젖은 아이들은 아름답다... 2016-11-07 0 4277
1771 詩는 삶의 구석구석에 숨어 있다... 2016-11-07 0 4030
1770 그는 그람이라는 칼을 집어 두 사람 사이에 놓았다... 2016-11-07 0 4148
1769 거대한 장서더미속에서 맹인으로 보낸 인생의 후반부 빛났다... 2016-11-07 0 3910
1768 詩는 말을 넘어서 상징과 음악성속에 존재한다... 2016-11-07 0 5631
1767 최고의 작품은 최대의 상상에서 생긴다... 미국 포우 2016-11-07 0 4393
1766 가장 오랜전 <<령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者 - 플라톤...?...! 2016-11-07 0 3804
1765 중국 당나라 녀류시인 - 설도 2016-11-07 0 4026
1764 중국 유명한 시인들을 알아보기 2016-11-07 0 3829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