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는 가장 거대한 백일몽
2016년 10월 01일 18시 38분  조회:4486  추천:0  작성자: 죽림

나의 시 나의 방법-황폐한 현실에서 불안한 몸으로 
이상옥(시인 * 창신대교수) 


나의 시 쓰기는 근자에 들어서 변모를 보이는 조짐이다. 첫시집 <<하얀 감꽃이 피던 날>>(1990)과 2시집 <<꿈꾸는 애벌레만 나비의 눈을 달았다>>에서는 시의 호흡이 다소 거칠었던 것 같다. 그것은 황폐한 현실을 바라보는 나의 시안(詩眼)이 충혈되어 있었던 탓이었을 것이다. 

꿈꾸는 애벌레는 
흙냄새를 맡으면서도 
푸른 공기를 마시고 
슬픈 오늘보다 
내일을 산다 
땅을 밟고 다니지만 
마음엔 나래를 달고 

꿈꾸지 않는 애벌레는 
부활 없는 영혼, 
멸망하는 짐승처럼 
오늘을 산다 

나뭇잎에만 앉아 보아도 
알 수 있지 
풋풋한 내음이 
속살까지 스며들고 
새 눈을 달게 되지 
별이고 싶고 
꽃이고 싶고 
오, 파란 꿈 

꿈꾸는 애벌레만 
내일을 산다 
흙에 몸을 기대지 않고 
마음에 나래를 달고 
나비의 눈을 달고 
-<꿈꾸는 애벌레만 나비의 눈을 달았다> 

이 때 나는 '황폐한 현실'을 정면으로 응시하면서, 그것을 이슈화하려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낭만적 의지를 동반한 역설적 구조나 변증법적 통합구조를 선호했던 것 같다. 
인용 시는 94년에 시문학사에서 출간한 2시집 표제시다. 문덕수 선생은 이 시가 "지상과 하늘, 상향(上向)과 하향(下向), 현재와 미래, 현실과 꿈이라는 구조 속에서 뭣인가의 강력한 메시지, 즉 현실지향과 이상지향의 생명 운동을 보여준다. 단선적(單線的) 메시지가 아니라, 상반된 두 세계를 통합하려고 하는 복선적(複線的) 메시지 속에는 갈등, 아픔, 이율배반(二律背反), 모순이 있고 또 그것이 생명의 실상이다. 이 시가 지닌 두 세계는 단절되어 있지도 않고, 또 한 세계를 포기하거나 부정하고 다른 한 세계만을 추구하는 선택 구조도 아니다. 흙냄새와 공기를 공유하려고 하며, 땅과 하늘을 통합한 하나의 세계에서의 삶을 추구하고 있다. 단절과 연속, 선택과 통합, 일원론(一元論)과 이원론(二元論)의 갈등과 긴장을 지닌 역설(paradox)의 구조요, 변증법적 구조라고도 할 수 있다."고 전제하고 "이런 점에서 이상옥(李相玉) 시의 구조는 변화 없는 반복이나 형식적 내왕(來往)이 아니라 모순·상반된 두 인력(引力)의 방향이 부딪쳐 배척하고 다투면서 통합하려고 하는 제3의 명제(命題)를 생산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

 

미완의 오벨리스크*


                  김연숙

불꽃나무 타오르던 나일의 동쪽 아스완
달아오른 화강암의 땅 채석장 터엔
미완의 오벨리스크 누워있다

쏘아지지 않은 화살
깨어나지 않은 태양왕국의
너무 깊은 꿈
그 미끈한 옆구리를
한 발 한 발 걸어가 본다
치솟을 수 있는 정점까지
올라가 본다
41.7미터의 상향의지
―땅과 하늘을 통교하리라

낯선 제국의 한가운데
볼모처럼 서 있는 고왕국의 화살탑들
제국의 힘으로도 반출하지 못한
여기, 가장 거대한 백일몽

매운 꼭지점을 향해 힘 모으던
대지의 심장박동이
환영처럼 증발하는 이 한낮

낙하해도 좋다
잠든 네 위에 서성대며 기념 촬영하는
이 삶의 관광객
우뚝 솟은 네 발치에 피꽃 튀는
한그루, 불꽃 되어 타고 싶다

일어서라, 장엄한 꿈의 증거
수천 년 누워만 있던 너의 직립을
이제 그만, 보고 싶다

*方尖塔

            ―『문학사상』(2004. 2)

  <단평>
   나는 김연숙의 「미완의 오벨리스크」를 읽으면서 현대인들의 잃어버린 아득한 신화를 생각했다. 거대화되고 신격화된 물질문명이 신화를 대신하고 있는 이 시대에, 현대인에게는 더 이상 태양을 향해서 쏠 꿈의 화살이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시인은 이 시를 통해서 현대인들이 잃어버렸던 ‘오벨리스크’라는 장엄한 꿈의 화살을 재발견해 내고 있다. 
  오벨리스크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태양신을 섬기기 위해서 상징적으로 세워놓은, 끝이 뾰족한 사각형 석탑을 말한다. 이 유물은 본래 서방세계가 아프리카를 식민화하기 위해서 약탈경쟁에 나섰던 16세기 이전에는 대부분 이집트에 있던 것들이었는데, 서구 열강들의 약탈에 의해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으로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 아마 이들 나라들은 오벨리스크를 자국의 주요 요충지에 세워둠으로써, 태양처럼 빛나는 권력과 영광을 이루려 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오벨리스크’는 승리와 영광과 최고 권력의 상징이면서 동시에 약탈과 식민지 정책으로 얼룩진 근대사를 상징하는 건축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시인은 이집트 남부 나일강 동쪽 아스완 채석장터에 미완인 채 관처럼 누워있는 ‘오벨리스크’를 보면서, 잃어버렸던 고대인의 꿈과 물신화된 현대인들의 욕망이라는 엇갈린 단면을 읽어내고 있다. 이 시의 2연에서 시인이  ‘오벨리스크’를 “쏘아지지 않은 화살/ 깨어나지 않은 태양왕국의/ 너무 깊은 꿈”으로 읽고 있는 것은, 이 시가 <더 이상 꿈이 존재하지 않는 땅에서의 꿈 찾기>라는 역설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인은 아스완 지역에 있는 이 오벨리스크가 완성되었더라면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오벨리스크로 기록되었을지도 모르지만, 미완의 것이기 때문에 세계 열강들에 ‘볼모’로 잡히지 않은 채  “제국의 힘으로도 반출”하지 못한 “가장 거대한 백일몽”으로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즉, 과거에는 위대한 태양신의 상징이었던 것이 지금은 한낱 관광 상품으로 전락했지만, 시인은 미완의 오벨리스크를 통해서 현대 물질문명이 이룩해 낼 수 없었던, 아직 이룩되지 않은 인류의 미완의 꿈을 읽고 싶은 것이다. 사실 인간이 지니고 있는 꿈이란 ‘완성’보다는 ‘미완’이기 때문에 더 값어치가 있는 것이지도 모른다. 그것은 ‘미완’이야말로 그 안에 무궁무진한 가능성으로서의 꿈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오벨리스크’가 단지 고대의 잃어버린 꿈만을 상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시에서의 ‘오벨리스크’는 꿈을 잃은 현대문명과 현대인의 상징이면서 동시에 시인 자신의 표상인 것이다. 그리하여 시인은 꿈을 잃어버린 채 아스완 채석강에 수천 년 동안 죽은 듯 누워있는 ‘미완의 오벨리스크’인 자신과 현대인들을 향해 외친다. 이제 그만 일어서라고,  너의 직립이 보고 싶다고.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23 미국 시인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2016-12-04 0 6294
1922 미국 시인 - 랠프 윌도 에머슨 2016-12-04 0 4146
1921 [쉼터] - 원소 "주기률표"와 어머니 2016-12-03 0 10886
1920 시인, "시편", 그리고 독서 2016-12-03 0 4642
1919 영국 첫 녀성 계관시인 - 캐롤 앤 더피 2016-12-03 0 4465
1918 영국 랑만파 계관시인 - 윌리엄 워즈워스 2016-12-03 0 5486
1917 미국 계관시인 - 테드 쿠서 2016-12-03 0 4618
1916 미국 첫 라틴계 계관시인 - 후안 펠리페 에레라 2016-12-03 0 6742
1915 <<뇌의학계>> 미국 계관시인 - 오리버 색스 2016-12-03 0 3870
1914 미국 계관시인 - W.S 머윈 2016-12-03 0 3966
1913 19세기 미국 가장 독창적인 시인 - 에드거 앨런 포(포우) 2016-12-03 0 10177
1912 미국 시인 - 로버트 핀스키 2016-12-03 0 4524
1911 미국 흑인 혼혈 녀성계관시인 - 나타샤 트레세웨이 2016-12-03 0 5429
1910 미국 계관시인 - 필립 레빈 2016-12-03 0 4621
1909 詩人은 절필할줄도 알아야... 2016-12-03 0 5721
1908 나이지리아 시인 - 월레 소잉카 2016-12-01 0 6461
1907 미국 계관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2-01 0 5540
1906 詩는 기존의 삶의 설명서가 아니라 새로운 삶의 설계도이다... 2016-12-01 0 4452
1905 스페인 시인 - 후안 라몬 히메네스 2016-11-30 0 4948
1904 요절한 천재 시인 시세계를 알아보다... 2016-11-30 0 5517
1903 詩人은 자기자신의 령혼을 련금할줄 알아야... 2016-11-30 0 3769
1902 스페인 시인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2016-11-30 0 6416
1901 서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 2016-11-30 0 6877
1900 중남미 수녀 시인 - 소르 후아나 이녜스 데 라 크루스 2016-11-30 0 6640
1899 노르웨이 시인 - 비에른 스티에르네 비에른손 2016-11-30 0 5938
1898 아이슬란드 시인 - 스노리 스튀르글뤼손 2016-11-30 0 6961
1897 미국 國歌 "성조기" 작사가, 시인 - 프랜시스 스콧 키 2016-11-30 0 6861
1896 <라면> 시모음 2016-11-30 0 4712
1895 詩人은 일상의 삶을 詩처럼 살아야 한다... 2016-11-30 0 4156
1894 詩는 시인이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가 아니다... 2016-11-30 0 4453
1893 현대 환상 문학의 대가 아르헨티나 시인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2016-11-29 0 6864
1892 자연과 인생을 노래한 일본 "김삿갓 방랑 시인" - 마쓰오 바쇼 2016-11-29 1 8754
1891 조선시대 비운의 천재 녀류시인 - 허난설헌 2016-11-29 0 5368
1890 중남미 문학을 대표하는 멕시코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6-11-29 0 6355
1889 詩人은 神이 준 언어를 잘 련금술할줄 알아야... 2016-11-29 0 4312
1888 어머니, 100원, 그리고 모성애... 2016-11-28 0 4420
1887 시인, 시, 그리고 돈... 2016-11-28 0 5846
1886 문학예술인, 삶, 그리고 비극... 2016-11-28 0 4483
1885 시의 건초더미에서 찾은 "바늘" 2016-11-28 0 4557
1884 시인, 시쓰기, 그리고 시암송... 2016-11-28 0 3885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