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와 함께 평생을 살기로...
2016년 01월 21일 23시 02분  조회:5911  추천:0  작성자: 죽림



네 번째 시집 {마음의 수수밭}을 내기 전까지는 전국 방방곡곡을 여행하며 다녔습니다. 관광여행이 아니라 서울에서 살기가 너무 힘이 들면 살아서 돌아오려고 한 여행도 있었고, 여행을 가서 정말로 살아서 못 돌아오면 안 돌아와도 좋다는 두 가지 생각을 가지고 여행을 떠났습니다. 그 때의 여행이 나한테는 고행이었고 내 삶의 수행으로 삼았습니다. 방방곡곡을 떠돌아다닐 때의 경험이 {마음의 수수밭} 속에 많이 깃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마음의 수수밭}에 가장 애착이 갑니다.


어떤 일이 내 생명보다 더 소중하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래도 내가 죽고 나면 이 시는 남아 있을 것 아닙니까. 이렇게 해서 다섯 번째 시집까지 나왔는데 생각해 보면 시의 길에는 에누리도 덤도 없습니다. 그래서 시라는 것이 예수의 고난을 상기시키잖아요. 왜냐하면 부활의 환희도 십자가의 수난 뒤에 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실은 그 정도로 글쓰기가 힘들다는 것입니다.

이 글쓰기의 궁극은 불교에서 말하는 소신공양(燒身供養)이고 그 결과는 등신불(等身佛)이지 않겠습니까. 그만큼 시에 대해서 어떤 오체투지(五體投肢)를 해야 합니다. 자기 몸을 완전히 바닥에 엎드려서 낮춰야 됩니다. 치열하더라도 겸허하게 치열해야 합니다.

자기 시가 조금 잘 써진다고 해서 턱을 쳐들고 못 쓰는 사람을 무시하면 발전이 안 됩니다. 그러니까 겸허한 마음으로 치열하게 시를 써 나가야 됩니다. 말하자면 이렇게 힘든 시하고도 나는 한몸이 되어서 정말 평생을 살고 싶습니다. 아무리 괴롭더라도 말입니다. 그건 왜 그런가 하면 시와 같이 있으면 내가 진실 곁에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진실하고 배가 맞는다는 확실한 느낌이 옵니다. 그래서 나는 평생을 시와 같이 살기로 했습니다.


어느 시인은 시를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맨몸으로 철조망을 통과한 사람들의 등판과 같다.' 이성복 시인의 이 말을 들으니까 내게 전율이 오더군요. 이제 시를 쓰는 자체도 우리들 삶의 문제잖아요.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는 노력의 하나라면 희망이 너무 넘쳐도 시가 안 되고 절망에 너무 질식해도 시가 되지 않습니다. 부정과 긍정이 이중적으로 교차하는 그 자리에 꽃이 핍니다.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면 안 됩니다. 자기 폐쇄성에 빠지고 맙니다.


어느날 내가 한강을 지나가는데 아이들이 연날리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연을 보는 순간 '아, 시를 저기에 비교해도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연도 가오리연과 방패연이었습니다. 가오리연은 가볍기 때문에 공중으로 올라가는 시간은 굉장히 빠릅니다.
하지만 굉장히 까붑니다. 요리조리 공중을 까불다가 결국은 균형을 잃고 땅바닥에 꽂히고 맙니다. 반면 방패연은 아주 의젓합니다. 그래서 올라갈 때는 굉장히 힘이 듭니다. 상승 속도가 무척 느리지만 한번 공중으로 올라갔다고 하면 자기 스스로 균형을 잡습니다. 그래서 꽂히는 일 없이 아주 의젓하게 하늘을 가릅니다. 가오리연과 방패연은 외형부터 다르고 몸집은 비교도 안 됩니다.


나는 가오리연을 조금 나쁜 시에, 방패연을 좋은 시에 비교해 봤습니다. 그리고 연도 날리기 전에 절대로 빨리 날려서는 안 됩니다. 잘 만들어서 띄울 때는 아주 높이 올라가고 오래 하늘을 납니다. 마음이 급해서 빨리 날리려고 하면 실패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연을 날릴 때는 얼레를 잡은 손의 역할이 참 중요합니다. 얼레를 잡고 당길 때 줄을 너무 많이 당기면 끊어지고, 느슨하게 당기면 풀어집니다. 그래서 손으로 당길 때는 당기고 놓아줄 때는 놓아줘야지, 균형을 잘 잡아서 높이 올라가고 하늘을 오래 날 수가 있는 겁니다. 연이 빨리 올라간다고 해서 반드시 높이 올라가는 것만은 아닙니다. 오래 견디는 것도 아닙니다. 


=========================================================================
 
222. 질투는 나의 힘 / 기형도
 
                           
 
 
 
 

 
 
 
 
질투는 나의 힘
 
                                  기 형 도
 
아주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힘없는 책갈피는 이 종이를 떨어뜨리리
그때 내 마음은 너무나 많은 공장을 세웠으니
어리석게도 그토록 기록할 것이 많았구나
구름 밑을 천천히 쏘다니는 개처럼
지칠 줄 모르고 공중에서 머뭇거렸구나
나 가진 것 탄식밖에 없어
저녁 거리마다 물끄러미 청춘을 세워두고
살아온 날들을 신기하게 세어보았으니
그 누구도 나를 두려워하지 않았으니
내 희망의 내용은 질투뿐이었구나
그리하여 나는 우선 여기에 짧은 글을 남겨둔다
나의 생은 미친 듯이 사랑을 찾아 헤매었으나
단 한번도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았노라
 
 
기형도 시집 <입 속의 검은 잎> 중에서
 
 
 
기형도의「질투는 나의 힘」시작 메모
 
저것들이 다 내가 승부해온 것들인가
눈동자, 아름답다, 미(美) - 질투
이것은 무엇인가.
그렇다면 저것은 무엇인가.
너에게 가기위하여 그대
나는 얼마나 무관심하고자 애썼던가
어리석게도 헛소리들, 돌연한 변화가 있었던가, 대결.
아무도 없는 찻집에 들어서다
 
 
 
 
기형도 연보
 
1960년 2월 16일 경기도 옹진군 연평도에서 3남 4녀중 막내로 출생.
 
1965년 부친의 서해안 간척사업에 실패로 유랑하다가 경기도 시흥군 소하리에 정착.
 
1985년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작인 "안개"는 이 마을이 배경이 됨.
 
1967년 시흥국민학교에 입학.
 
1969년 부친이 뇌졸중으로 쓰러져 병석에 눕다. 가계가 힘들어짐.
 
1975년 당시 고등하교 2학년이던 셋째 누이가 불의의 사고로 죽음.
 
1979년 신림중학교을 거쳐 중앙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 연세대학교 정법계열 입학.
       교내 문학동아리 '연세문학회'에 입회, 본격적인 문학수업 시작.
 
1980년 대학문학상인 박영준 문학상(소설부문)에 가작('영하의 바람').
 

1981년 방위병으로 입대, 복무중 안양의 문학동인인 '수리'에 참여.
 
1982년 6월 전역 후 <식목제>가 윤동주문학상(시부문)에 당선.
 

1984년 10월 중앙일보사 입사.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 당선('안개').
       2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신문사 수습을 거쳐 정치부에 배속.
 

1986년 정치부에서 문화부로 옮김. 지속적으로 작품을 발표 주목을 받음.
 
1988년 문화부에서 편집부로 옮김.
 
1989년 3월 7일 새벽(만29세), 종로의 한 극장 안에서 숨진 채 발견.(사인 뇌졸중)
       시작메모로 채워진 푸른 노트, 이국에서 온 몇 통의 편지, 꼼꼼히 줄쳐 읽던 몇 권의 책과
       소화제 알약이 든 가방을 가지고 있었음.
       경기도 안성 소재 천주교 수원교구 묘지에 묻힘.
       5월 유고시집 <입속의 검은 잎> 발간.
 
1990년 3월 산문집 <짧은 여행의 기록> 발간.
 
1994년 2월 추모문집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발간.
 
1999년 3월 전집 <기형도 전집>발간.
  ------------------------------------------------------------
 
223. 빈 집 / 기형도
 
           
 
 
 
 
 

 
 
 
빈 집
 
                               기 형 도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밖을 떠돌던 겨울 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
 
 
기형도 시집 <입 속의 검은 잎>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23 미국 시인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2016-12-04 0 6132
1922 미국 시인 - 랠프 윌도 에머슨 2016-12-04 0 3957
1921 [쉼터] - 원소 "주기률표"와 어머니 2016-12-03 0 10452
1920 시인, "시편", 그리고 독서 2016-12-03 0 4360
1919 영국 첫 녀성 계관시인 - 캐롤 앤 더피 2016-12-03 0 4216
1918 영국 랑만파 계관시인 - 윌리엄 워즈워스 2016-12-03 0 5201
1917 미국 계관시인 - 테드 쿠서 2016-12-03 0 4351
1916 미국 첫 라틴계 계관시인 - 후안 펠리페 에레라 2016-12-03 0 6568
1915 <<뇌의학계>> 미국 계관시인 - 오리버 색스 2016-12-03 0 3701
1914 미국 계관시인 - W.S 머윈 2016-12-03 0 3776
1913 19세기 미국 가장 독창적인 시인 - 에드거 앨런 포(포우) 2016-12-03 0 9848
1912 미국 시인 - 로버트 핀스키 2016-12-03 0 4292
1911 미국 흑인 혼혈 녀성계관시인 - 나타샤 트레세웨이 2016-12-03 0 5131
1910 미국 계관시인 - 필립 레빈 2016-12-03 0 4351
1909 詩人은 절필할줄도 알아야... 2016-12-03 0 5431
1908 나이지리아 시인 - 월레 소잉카 2016-12-01 0 6220
1907 미국 계관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2-01 0 5289
1906 詩는 기존의 삶의 설명서가 아니라 새로운 삶의 설계도이다... 2016-12-01 0 4122
1905 스페인 시인 - 후안 라몬 히메네스 2016-11-30 0 4594
1904 요절한 천재 시인 시세계를 알아보다... 2016-11-30 0 5265
1903 詩人은 자기자신의 령혼을 련금할줄 알아야... 2016-11-30 0 3584
1902 스페인 시인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2016-11-30 0 6093
1901 서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 2016-11-30 0 6589
1900 중남미 수녀 시인 - 소르 후아나 이녜스 데 라 크루스 2016-11-30 0 6334
1899 노르웨이 시인 - 비에른 스티에르네 비에른손 2016-11-30 0 5720
1898 아이슬란드 시인 - 스노리 스튀르글뤼손 2016-11-30 0 6727
1897 미국 國歌 "성조기" 작사가, 시인 - 프랜시스 스콧 키 2016-11-30 0 6616
1896 <라면> 시모음 2016-11-30 0 4434
1895 詩人은 일상의 삶을 詩처럼 살아야 한다... 2016-11-30 0 3943
1894 詩는 시인이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가 아니다... 2016-11-30 0 4228
1893 현대 환상 문학의 대가 아르헨티나 시인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2016-11-29 0 6609
1892 자연과 인생을 노래한 일본 "김삿갓 방랑 시인" - 마쓰오 바쇼 2016-11-29 1 8490
1891 조선시대 비운의 천재 녀류시인 - 허난설헌 2016-11-29 0 5000
1890 중남미 문학을 대표하는 멕시코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6-11-29 0 6080
1889 詩人은 神이 준 언어를 잘 련금술할줄 알아야... 2016-11-29 0 3857
1888 어머니, 100원, 그리고 모성애... 2016-11-28 0 4210
1887 시인, 시, 그리고 돈... 2016-11-28 0 5487
1886 문학예술인, 삶, 그리고 비극... 2016-11-28 0 4178
1885 시의 건초더미에서 찾은 "바늘" 2016-11-28 0 4394
1884 시인, 시쓰기, 그리고 시암송... 2016-11-28 0 3538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