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人人生
2015년 10월 16일 21시 07분  조회:5429  추천:0  작성자: 죽림
  • 이산가족 최고령 상봉자인 구상연 할아버지가 18일 오후 충남 논산시 채운면 화산리 자택에서 북에 있는 선옥,송자 두딸에게 선물할 꽃신을 들고 있다. [사진 프리랜서 김성태]
    리(이)사가족상봉을 위하여...
    [ 2015년 10월 19일 11시 44분 ]

     

     

    멕시코의 한 저수지 밑에서 400년 된 교회가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
    박인환

     

    서구적 감수성과 분위기를 강하게 풍기면서 어두운 현실을 서정적으로 읊은 후기 모더니즘의 기수로 알려져 있다. 아버지 광선(光善)과 어머니 함숙형(咸淑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1939년 서울 덕수초등학교를 마쳤다. 이어 경기중학교에 입학했다가 1941년 자퇴하고 한성학교를 거쳐 1944년 황해도 재령의 명신중학교를 졸업했다. 같은 해 평양의학전문학교에 입학했으나 해방이 되자 학업을 중단했다. 서울로 와서 '마리서사'라는 서점을 경영하면서 여러 시인들과 사귀었고, 서점을 그만두고는 〈자유신문〉·〈경향신문〉 기자로 근무했다. 6·25전쟁이 일어나자 육군 소속 종군작가단에 참여하고 피난지 부산에서 김규동·이봉래 등과 '후반기' 동인으로 활동했다. 1955년 대한해운공사에서 일하면서 미국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심장마비로 30세의 젊은 나이에 죽었다.

     

    1946년 〈국제신보〉에 시 〈거리〉를 발표해 문단에 나온 뒤 〈남풍〉(신천지, 1947. 7)·〈지하실〉(민성, 1948. 3) 등을 발표하고, 1949년 김수영·김경린·양병식 등과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이라는 합동 시집을 펴냈다. 모더니즘 시를 지향했던 '후반기'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시 〈검은 강〉·〈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목마와 숙녀〉 등을 발표했는데, 이들 시는 8·15해방직후의 혼란과 6·25전쟁의 황폐함을 겪으면서 느꼈던 도시문명의 불안과 시대의 고뇌를 감성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특히 "한 잔의 술을 마시고/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와/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로 시작되는 〈목마와 숙녀〉는 그의 시의 특색을 잘 보여주면서도 참신하고 감각적 면모와 지적 절제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1955년 희곡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를 번역해서 공연하기도 했다. 시집으로 생전에 〈박인환 시선집〉(1955)이 나왔고, 이어 〈목마와 숙녀〉(1976) 등이 발행되었다. 죽기 1주일 전에 지었다는 〈세월이 가면〉은 뒤에 노래로 만들어져 널리 불리고 있다.


     

    김수영

     

    1941년 선린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가서 동경상과대학 전문부에 입학하였다.

     

    1943년 징집을 피해 귀국하여, 1944년 가족과 함께 만주 길림성(吉林省)으로 이주하였다. 그곳에서 교원생활과 연극운동을 하였다. 광복 후 연희전문학교 영문과 4년에 편입하였으나 중퇴하였다.

     

    북한의 남침으로 미처 피난하지 못한 그는 북한군에 징집되었다가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 그뒤 미군통역생활도 하고 평화신문사 문화부차장 등 여러 직장을 전전하였으나, 1956년 이후부터는 시작과 번역에만 전념하다가 교통사고로 사망하였다.

     

    그의 작품활동은 1945년 문예지 ≪예술부락 藝術部落≫에 시 <묘정(廟庭)의 노래>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뒤 김경린(金璟麟)·박인환(朴寅煥)·임호권(林虎權)·양병식(梁炳植) 등과 함께 합동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1949)을 간행하여 모더니스트로 각광을 받았다.

     

    이 때의 시들은 <공자의 생활난>(1945)·<가까이할 수 없는 서적>(1947)·<아메리카타임지>(1947)·<웃음>(1948)·<이[虱]>(1947)·<토끼>(1949) 등이 있다.

     

    초기에는 모더니스트의 일반적 경향인 현대문명과 도시생활을 비판적으로 노래했으나, 서구사조를 뒤쫓는 일시적이고 시사적인 유행성에 탐닉하지 않고 새로운 시대의 전진로를 개척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서구취향의 모더니스트의 자기극복과정을 보여준다.

     

    1950년대 후반부터는 모더니스트들이 지닌 관념적 생경성을 벗어나 격변하는 시대 속에서 겪어야 했던 지적 방황과 번민을 풍자적이며 지적인 언어로 시화하였다. 1959년에 간행된 ≪달나라의 장난≫은 이 시기의 시적 성과를 수록한 첫 개인시집이다.

     

    수록된 대표적 작품들은 <달나라의 장난>(1953)·<헬리콥터>(1955)·<병풍>(1956)·<눈>(1957)·<폭포>(1957) 등을 꼽을 수 있다. 1950년대의 지적 번민 속에서 성숙해온 그가 본격적인 자신의 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된 것은 1960년의 4월의거이다.

     

    여기서 그는 평등한 삶을 실현하고자 하는 자유를 위한 혁명에서 시적 열정을 얻는다. 강렬한 현실비판의식과 저항정신에 뿌리박은 시적 탐구는 그로 하여금 1960년대 참여파 시인들의 전위적 구실을 담당하게 했다.

     

    이 때의 대표작품으로 <푸른 하늘을>(1960)·<후란넬저고리>(1963)·<강가에서>(1964)·<거대(巨大)한 뿌리>(1964)·<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1965)·<엔 카운터지(誌)>(1966)·<풀>(1968)을 들 수 있다.

     

    그는 현실의 억압과 좌절 속에서 일어서고자 하였던 1960년대의 대표적인 시인의 한 사람이며 현실참여의 생경하지 않은 목소리를 보여줌으로써 1970년대는 물론 1980년대까지 강력한 영향을 미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1958년 제1회한국시인협회상을 수상했다. 죽은 뒤 출판된 시집으로는 ≪거대한 뿌리≫(1974)·≪달의 행로를 밟을지라도≫(1976)와 산문집 ≪시여, 침을 뱉어라≫(1975)·≪퓨리턴의 초상≫ 등이 있다.

     

    저서·역서로는 ≪20세기 문학평론≫(柳玲·蘇斗永共著, 1953)·≪카뮈의 사상과 문학≫(金鵬九共譯, 1958)·≪현대문학의 영역≫(Tate,A. 原著, 李相沃共譯, 1962) 등이 있다.

     

    프로필 사진


    총 획득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23 미국 시인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2016-12-04 0 6357
1922 미국 시인 - 랠프 윌도 에머슨 2016-12-04 0 4180
1921 [쉼터] - 원소 "주기률표"와 어머니 2016-12-03 0 10907
1920 시인, "시편", 그리고 독서 2016-12-03 0 4689
1919 영국 첫 녀성 계관시인 - 캐롤 앤 더피 2016-12-03 0 4524
1918 영국 랑만파 계관시인 - 윌리엄 워즈워스 2016-12-03 0 5556
1917 미국 계관시인 - 테드 쿠서 2016-12-03 0 4664
1916 미국 첫 라틴계 계관시인 - 후안 펠리페 에레라 2016-12-03 0 6805
1915 <<뇌의학계>> 미국 계관시인 - 오리버 색스 2016-12-03 0 3884
1914 미국 계관시인 - W.S 머윈 2016-12-03 0 4013
1913 19세기 미국 가장 독창적인 시인 - 에드거 앨런 포(포우) 2016-12-03 0 10203
1912 미국 시인 - 로버트 핀스키 2016-12-03 0 4564
1911 미국 흑인 혼혈 녀성계관시인 - 나타샤 트레세웨이 2016-12-03 0 5488
1910 미국 계관시인 - 필립 레빈 2016-12-03 0 4682
1909 詩人은 절필할줄도 알아야... 2016-12-03 0 5771
1908 나이지리아 시인 - 월레 소잉카 2016-12-01 0 6537
1907 미국 계관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2-01 0 5584
1906 詩는 기존의 삶의 설명서가 아니라 새로운 삶의 설계도이다... 2016-12-01 0 4492
1905 스페인 시인 - 후안 라몬 히메네스 2016-11-30 0 5032
1904 요절한 천재 시인 시세계를 알아보다... 2016-11-30 0 5570
1903 詩人은 자기자신의 령혼을 련금할줄 알아야... 2016-11-30 0 3837
1902 스페인 시인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2016-11-30 0 6465
1901 서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 2016-11-30 0 6920
1900 중남미 수녀 시인 - 소르 후아나 이녜스 데 라 크루스 2016-11-30 0 6712
1899 노르웨이 시인 - 비에른 스티에르네 비에른손 2016-11-30 0 5996
1898 아이슬란드 시인 - 스노리 스튀르글뤼손 2016-11-30 0 7019
1897 미국 國歌 "성조기" 작사가, 시인 - 프랜시스 스콧 키 2016-11-30 0 6923
1896 <라면> 시모음 2016-11-30 0 4743
1895 詩人은 일상의 삶을 詩처럼 살아야 한다... 2016-11-30 0 4185
1894 詩는 시인이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가 아니다... 2016-11-30 0 4497
1893 현대 환상 문학의 대가 아르헨티나 시인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2016-11-29 0 6942
1892 자연과 인생을 노래한 일본 "김삿갓 방랑 시인" - 마쓰오 바쇼 2016-11-29 1 8810
1891 조선시대 비운의 천재 녀류시인 - 허난설헌 2016-11-29 0 5420
1890 중남미 문학을 대표하는 멕시코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6-11-29 0 6390
1889 詩人은 神이 준 언어를 잘 련금술할줄 알아야... 2016-11-29 0 4383
1888 어머니, 100원, 그리고 모성애... 2016-11-28 0 4465
1887 시인, 시, 그리고 돈... 2016-11-28 0 5916
1886 문학예술인, 삶, 그리고 비극... 2016-11-28 0 4520
1885 시의 건초더미에서 찾은 "바늘" 2016-11-28 0 4579
1884 시인, 시쓰기, 그리고 시암송... 2016-11-28 0 3948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