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로인협회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청록파시인 - 조지훈
2015년 04월 17일 22시 30분  조회:4919  추천:0  작성자: 죽림

 

 

 

경북 영양의 주실마을은 실학자들과의 교류로 일찍 개화한 마을이면서도

일제 강점기에는 창씨개명을 하지 않았던

지조 있는 선비의 마을로 알려져 있다.

 

 

 

 

 

 

 

주실마을은 조지훈의 고향이며

호은종택은 조지훈 생가이다.

 

 

 

 

 

 

조지훈은 1920년에 호은종택에서 출생하였으나

부친을 따라 1936년에 상경할 때까지 성장기를 본가에서 보냈다.

이곳은 원형에 가깝게 복원한 조지훈 생가, 방우산장이다.

 

방우산장(放牛山莊)은 조지훈이 생전에 '방우산장기'라는 수필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집에 붙인 이름이다.

 

 

 

 

 

 

 

주실마을의 지훈문학관은 청록파 시인이자 지조론의 학자 조지훈을 기리기 위해

2007년에 건립한 문학관이다.

 

 

 

 


 

청록파 시인 조지훈 (1920 ~ 1968), 본명은 동탁.

 

<소월과 영랑에서 비롯하여 서정주와 유치환을 거쳐 청록파에 이르는

한국 현대시의 주류를 완성함으로써

20세기의 전반기와 후반기를 연결해준 큰 시인입니다.

 

1939년 '문장'지의 추천을 받고 문단에 데뷔한 이래,

해방 후 김동리 등과 함께 청년문학가협회를 창립,

문학의 순수성과 민족문화운동에 힘썼습니다.

박목월,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의 한 사람이었으며

'승무', '풀잎 단장', '역사 앞에서', '봉황수' 등

250여 편의 시를 남겼습니다.>

 

 

 

 

 

 

 

 

 

 

조지훈문학관에는 그의 삶과 정신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한쪽 벽면에는 조지훈의 삶을 보여주는 사진들이 빼곡하다.

보통 저 당시 가난했던 문학가들은 남겨진 사진이나 자료들이 많지 않은데

조지훈은 부자였기 때문에 사진도 많고 자료들도 거의 그대로 전해진다고 한다.

 

 

 

 


헤드폰을 끼고 조지훈의 육성 시낭송을 들을 수 있는 곳.

 

 

 

 

 



조지훈의 부인 김난희 여사가 붓글씨로 쓴 조지훈의 '완화삼' 시








지훈문학관 뒤편에 조성된 '지훈시공원'에는

조지훈 동상과 20여개의 시비가 건립되어 있다.

 

 

 

 

 


조지훈의 대표시인 '승무'

 

승무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이 접어 올린 외씨버선이여

.

.

.

 

 

 

 

 




낙화

 

꽃이 지기로소니
바람을 탓하랴

주렴 밖에 성긴 별이
하나 둘 스러지고

귀촉도 울음 뒤에
머언 산이 다가서다.

촛불을 꺼야하리
꽃이 지는데

꽃 지는 그림자
뜰에 어리어

하이얀 미닫이가
우련 붉어라.

묻혀서 사는 이의
고운 마음을

아는 이 있을까
저허하노니

꽃이 지는 아침은
울고 싶어라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63 민족과 현대시 2015-06-12 0 4019
562 시적 자기 희생 2015-06-12 0 4499
561 시의 정신 2015-06-12 0 4220
560 자유시의 정착 2015-06-12 0 4571
559 전통시가 형식의 붕괴 2015-06-12 0 4921
558 한국의 현대시 2015-06-12 0 4311
557 천재 시인 - 李箱 김해경 2015-06-08 0 4676
556 <시장> 시모음 2015-06-08 0 4475
555 <6월> 시모음 2015-06-08 0 4969
554 담배는 웬 담배ㅠ? 2015-06-05 0 4459
553 詩 - 칼 . 맑스 = 칼 . 마르크스 = 칼 . ' 막 '쓰 2015-06-04 0 5829
552 <서울> 시모음 2015-06-04 0 4941
551 한설 시넋두리 2015-06-02 0 4567
550 <<막걸리 시>> 노벨문학상 ???... 2015-06-02 0 5009
549 연변 동시 한바구니 2015-06-02 0 4748
548 동시와 한석윤 2015-06-02 0 4133
547 동시인 한석윤 시비 2015-06-02 0 6044
546 김광섭 시인을 아시나ㅠ? 2015-06-01 0 4933
545 성북동 비둘기 2015-06-01 0 5477
544 상상력과 詩 2015-05-31 0 4746
543 시인 -리호원 2015-05-31 0 4707
542 석화 / 시창작 강의록 2015-05-21 0 6933
541 최룡관 동시론 4 2015-05-20 0 4939
540 최룡관 동시론 3 2015-05-20 0 4661
539 최룡관 동시론 2 2015-05-20 1 5132
538 최룡관 동시론 1 2015-05-20 0 5084
537 이승훈 시론 5 2015-05-20 0 4509
536 이승훈 시론 4 2015-05-20 0 4732
535 이승훈 시론 3 2015-05-20 0 4868
534 이승훈 시론 2 2015-05-20 0 4827
533 이승훈 시론 1 2015-05-20 0 4830
532 시쓰기에서 의성어, 의태어 활용법 2015-05-20 0 5726
531 시쓰기에서 이미지에 대하여 2015-05-20 0 6033
530 여러 빛깔의 동시 알아보기 2015-05-20 0 5574
529 윤삼현 시창작론 2015-05-20 0 5692
528 문삼석 동시론 2015-05-20 0 4879
527 우리 민족의 정형시 - 시조 쓰는 방법 2015-05-20 0 5927
526 유명한 동시 모음 (클릭해 보세ㅛ@@) 2015-05-20 0 9444
525 동시 작법 모음(클릭해 보기) 2015-05-20 1 5711
524 영상시 모음 2015-05-20 0 6097
‹처음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