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막걸리 시>> 노벨문학상 ???...
2015년 06월 02일 21시 54분  조회:5013  추천:0  작성자: 죽림

한민족 대표적인 전통주 막걸리가
프랑스 와인이나
영국의 위스키,
독일의 맥주에 버금가는 명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인을 감동시킬 만한 막걸리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 점에서 
막걸리를 노래한 시, 14수를 뽑아 정리해보았다.

 

인류 전통인문학의 정수인 시, 그 중에서도 한민족 전통주류시 통일 관점에서 각자가 노벨문학상 심사관 입장이 되어 시간를 초월해서 막걸리에 관한 시 한수를 골라 노벨문학상을 수여하고 막걸리 연극, 뮤지컬이나 영화를 제작하여 전 세계순회공연하면서 브로드웨이, 헐리우드에 진출, 전통적 막걸리를 세계적인 명품주로 만들어 간다면 과연 어떤 막걸리 시를 한 편 뽑아 주제로 삼아야 할지 상호비교 판단하면서 감상해도 좋을 것이다.

 

 

*막걸리 - 천상병 시인

나는 술을 좋아하되 
막걸리와 맥주밖에 못 마신다. 

막걸리는 
아침에 한 병(한 되) 사면 
한 홉짜리 적은 잔으로 
생각날 때만 마시니 
거의 하루 종일이 간다. 

맥주는 
어쩌다 원고료를 받으면 
오백 원짜리 한 잔만 하는데 
마누라는 
몇 달에 한 번 마시는 이것도 마다한다. 

세상은 그런 것이 아니다. 
음식으로 
내가 즐거움을 느끼는 때는 
다만 이것뿐인데 
어찌 내 한 가지뿐인 이 즐거움을 
마다하려고 하는가 말이다. 

우주도 그런 것이 아니고 
세계도 그런 것이 아니고 
인생도 그런 것이 아니다. 

목적은 다만 즐거움인 것이다 
즐거움은 인생의 최대목표이다. 

막걸리는 술이 아니고 
밥이나 마찬가지다 
밥일 뿐만 아니라 
즐거움을 더해주는 
하나님의 은총인 것이다. 

 

*막걸리 예찬 - 전병철 시인 

토종이다 
텁텁한 정 
질리지 않는 모습 
한 번 넘어갈 때마다 
모든 갈증과 스트레스가 
순식간에 꿀꺽 
수수한 차림새로 자리한 곳에서 
더욱 다져지는 어긋난 사이도 
본드같이 붙게 하는 
토종이다 
결코 변함없는 원앙 같은 금실(琴瑟)이다.



*막걸리 예찬  - 유응교 시인

양주가 좋다하나 맥주보다 못하고 
맥주가 좋다하나 소주만 못하더라. 
막걸리 마시고 보니 그 중에 제일일세. 

논밭에 일하다가 허리 펴고 둘러앉아 
양주를 마실 건가 맥주를 마실 건가 
그래도 막걸리 한 잔 천하에 일미일세. 

치즈로 양주 들고 멸치로 맥주 들고 
특별난 안주 없이 그대로 마시지만 
푸짐한 막걸리 안주 세상에 최고일세. 

넥타이 고쳐 매고 격식을 갖추면서 
점잖게 마주앉아 양주를 마시지만 
막걸린 풀어헤치고 마셔야 제격일세.


*막걸리 頌 - 김동호 시인 
  
소주가 불이라면 막걸리는 흙이다
화끈하게 목을 태우는 맛은 소주가 났지만
아무래도 나는 흙 체질, 막걸리 편이다.
감치는 맛이라고는 하나도 없이
텁텁하게 흐려 있어 요즘 아이들은
목 고개를 넘어 胃의 마을에 도착하기도 전에
평가절하 하려 드는 것 같지만
胃를 거쳐 腸, 장을 거쳐
전국 방방곡곡에 이를 때까지
한번 기다려 보라
흐림 속의 맑음과
텁텁함 속의 개운함이 地氣를 닮아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고
밤새도록 풍류와 담소를 쏟아도
시의 가슴 화로는 아침까지 뜨겁기만 하다.
밥 대신 먹을 수 있는 술이
이 세상에 막걸리 말고 또 있을까
오늘도 나는 해가 실풋하면 이십일 세기
전 세계의 젊은이들을 뜨락에 불러놓고
맛과 영양이 고루 섞인 우리의 술
사람의 체질을 꼭 닮은 우리의 술
동동주 막걸리를 함께 들며
세계의 평화를 아리랑으로 푼다.
국경 너머엔 
늙은 알코올 중독자들이 구름처럼 모여
부러운 듯이 부러운 듯이
우리를 바라보고 있는 동안.


*이동 막걸리 -김영천 시인 

막걸리 병 뚜껑을 열자 
마침내 보골보골 차 오른다 
저렇듯 잠시도 기다리지 못하고 
숙성되어 가던, 
늘 서둘러 차 오르던 욕망. 
후후 불어 거품을 걷어내고 
병을 뒤집어 흔든다 
혼돈하듯 뒤섞인 후에야 
겨우 평등해진 의식이나 관념. 
서로의 눈에 제 눈을 맞추고 
그 만큼의 충분한 거리로 
건배를 한다 
우리가 늘 미혹당하던 것들에 
그 잘 삭은 것들에 
문득 취한다


 *막걸리 - 이생 ·시인


인사동 골목에 끼여
막걸리를 마시며 술 이야기를 했다
술이라는 게 뭐냐고
송상욱*이 눈치채고 말했다
막걸리는 누룩내가 약간 섞여야 한다고
나는 속으로 말했다
당신의 냄새가 누룩내 아니냐고
하지만 나도 그도 막걸리를 찾는 것은
아직도 놓치지 않으려는 어머니의 젖꼭지라고


 *막걸리 - 우보 임인규 시인


어머니의 젖줄 같은 
그윽한 정이 
투박하게 배어있는 
진하고 걸쭉한 물 
거머리 뜯기며 
진흙 창 논바닥에서 
열심히 일을 하고 
허리 참 하는 그 시간 
피로와 배고픔을 채워주던 
마술 같은 액체 
가슴은 두근두근 
순이 곁에 서면 
작아지던 내가 
벌컥 벌컥 한잔 들이키고 
"사랑한다"며 
첫사랑을 고백하게 한 
사랑의 미약 
부질없는 삶 
낙수소리 벗삼아 
머리 허연 우정을 싸잡아 
어우렁더우렁 잔 부딪치는 
행복한 노년의 낙 


*막걸리의 추억 - 이문조 시인

고양이 손도 
빌려야 하는 
농번기 

아버지 
심부름으로 
노랑 주전자 들고 
막걸리 사러 간다 

마음씨 좋은 
주인아저씨 
한 주전자 가득 
꾹꾹 눌러 담아준다 

날씨는 덥고 
땀은 비 오듯 
목은 타들어 가고 
입은 자연히 
주전자 주둥이로 간다 

한 모금 두 모금 
빨다 보니 
알딸딸 
정신이 혼미하다 

아버지께 
혼날까 봐 
개울물이라도 
채워야지 

막걸릿잔 앞에 놓고 
아버지 생각에 
목이 멘다.


*아버지의 막걸리 - 이진규 시인


저기 저 구릉 
벚꽃무더기 흐벅진 골 
이쯤에 서서 바라기 하는 
나를, 바라다보는 사향노루 
코끝에 앉은 나른한 봄의 헤픈 속 
어디 어느 자리에서 
그윽이 봄 향기에 취한 
어린 나의 몸뚱어리 흐트러진 날 
그 언덕, 아버지 목 줄기를 
타고 흐르다 몸 꺾어 오르는 
막걸리, 막걸리 냄새 
지금 내 목 줄기를 타고 흘러드는 
저 마술지팡이 끝에서 
뿌려댄 봄 향기 속 
아버지 두 눈과 마주하고 흥타령에 
더-덩-덩 까불대던 어린 몸의 춤 속에 
걸어 나오시는 아버지 
걸어 들어가는 내 몸이 부딪쳐 
사뭇 차 오르다 
흐르는 그렁 진 눈가에 
물의 보라가 일어 
뚝뚝 떨어지는 낙수에 
풀꽃이 
정신을 아득 놓는 시간을 지나 
절은 봄의 발로 건-등-건-등 걸어서 가다 
아주 잊혀 기억을 벗어난 
벚꽃 피어 흐드러진 그 마을 
지금도 
들녘을 지나 둑 언저리 
풀꽃 스러진 자리에선 
뒤꿈치 터져 갈라진 틈으로 
흘러내리고 있을 아버지의 막걸리, 막걸리


*막걸리 서 말 - 이춘우·사진작가 시인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은 지 스무 해를 넘긴 
유월 

막내아들 입영통지서 움켜쥐신 
일흔 넘은 아버지 

피비린내나는 산길을 따라 피난 가던 게 
어제 같다시며 
연거푸 뿜어대는 담배연기 속에 
울음이 섞인 줄 알기나 했으랴 

애처로움 달래주려고 
시오리 떨어진 읍내 양조장에서 
막걸리 서 말 사신 아버지 
굽은 허리로 미는 듯 매달린 듯 
리어카 뒤를 잡고 
나를 앞세워 흙길 꼬부랑재 넘었다 

동네 청년들이 둘러앉은 마당 멍석에 
달빛마저 어슴푸레 떨리고 
컬컬한 막걸리 주전자 오가며 
어설픈 유행가 엇박자 가락으로 
목청을 돋우던 나의 입영전야 잔치가 
어제 일만 같은데...


 *막걸리 우리 가락 - 박영희 시인 

이름도 모르는 양주를 마실 때면 
이쁜 노래를 부르고 싶었고 
크라운이라는 이름의 맥주를 마실 때면 
배부른 노래를 부르고 싶었습니다 

저에게 어울리는 소주를 마실 때면 
슬픈 노래들만 저절로 흘러나왔고 
가난한 농사꾼들 
땅 파고 묻어 둔 밀주를 마실 때면 
원망스런 세상사를 노래 부르고픈 심정이었습니다 

이쁜 노래와 배부른 노래는 
저 먼 사람들의 S. O. N. G. 같았고 
슬픔 속에 민요가락은 ㅊ. ㅌ. ㅍ. ㅎ. 같아 
마침내 
슬픔과 원망의 가슴에 뭉치어 
마흔 하나 音에 누웠을 때 
누룩만도 못한 얼씨구가락 지화자가락 

비행기 소리에 주눅이 든 할아비 앞에 
제 어찌 
향기 좋은 술을 마시겠습니까 
컬컬한 가락으로 가슴 북돋아 지켜 온 가락 
장구가락 꽹과리가락 징 - 지잉 가락 
황토색 동색을 이룬 우리 술에 
노랫가락 두들겨야지요 
어헐씨구 지화자 춤을 추어야지요


 *선생님과 막걸리 - 최나혜 시인

해가 중천에 있고 겨울은 시작되었다
네모난 창에 등을 대고 언덕 내리막길을 바라보다가
화들짝 놀랐다
앙상한 미루나무 아래로 걸어 올라오시는 선생님
필경 우리 담임 선생님이셨다
울타리도 죄다 없어진 우리 집을 묻지도 않고 찾아오신 그날
엄마는 신작로 중앙상회까지 내려가 오징어를 사왔다
콩콩 곤두박질 치는 심장은 곤로 속 심지보다 더 뜨거웠다
양조장집에 가서 막걸리를 두 됫박 넘게 받아오고
선생님은 오징어회를 맵지도 않은지 잘도 드셨다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는 거지
나는 선생님이 떠난 후의 각오를 새롭게 했다
또 양은 주전자를 가지고 막걸리를 받아왔다
바닥에 쏟고 몇 번은 입을 대고 빨아먹었다
선생님은 두 번째 주전자마저 다 비우고서야 일어나셨다
무슨 말이 오갔을까
나는 이제 어떻게 되는 걸까
어디로든 도망쳐야 하는데
그날 밤 엄마는 아무말 없었다
그리고 한달 뒤 중학교 입학원서를 내 손에 쥐어주셨다
그날 느이 담임이 와서 가지도 않고 막걸리만 마셨는데
막걸리 잔을 비울 때마다 너는 꼭 공부시켜야 한다고 하더라
지긋지긋한 술
느 아버지도 모자라 이젠 담임까지 와서 술타령이냐

나의 은인 담임 선생님
아마 그때부터 술을 가까이 하신 것일까
슬픔의 강 너머로 나의 선생님이 손짓한다


*서울막걸리 - 정연복 시인 

홀로 마시는 
막걸리도 내게는 
과분한 행복이지만 

벗과 함께 마시는 
막걸리 한 잔은 
더욱 황홀한 기쁨이다 

나를 내 동무 삼아 
집에서 혼자 따라 마시는 
서울막걸리는 
왠지 쓸쓸한 우윳빛 

하지만 벗과 눈빛 맞대고 
서로의 잔에 수북히 부어주는 
서울막걸리는 
색깔부터 확 다르다 

벗과 다정히 주고받는 
투박한 술잔에 담긴 
서울막걸리의 색깔은 

남루한 분위기의 
희뿌연 술집 조명 아래에서도 
왜 그리도 눈부신지 

마치 사랑하는 여인의 
뽀얀 살결 같다

 

 

*막걸리 연가 -시성 김두기 시인

 

 

 

은하수 우유빛깔 어머니 젖이런가

소박한 맛과 향은 아버지 땀이런가

오늘도 배달민초들 달래주는 우리술

 

 

불란서 유명와인 도이치 전통맥주

코리아 쌀 막걸리 뒤질게 뭐가 있나

위스키 발렌타인도 요맛일랑 닮으랴

 

 

인생길 굽이굽이 그 뉘라 위로할 손

탁배기 한잔 술로 맘 빗장 술술 풀어

어울렁 지구촌 시대 놀아보세 더울렁

 

 

무지개 색동마을 벗님아 건배 건배

산 너머 왁자지껄 물 건너 시끌벅적

이 강산 허리띠 풀어 잔치잔치 큰 잔치

 

 

드시게 자네 한잔 마시세 나도 한잔

오가는 술잔 속에 샘솟는 우리들 정

지화자 좋구나 좋아 어화둥둥 내사랑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63 민족과 현대시 2015-06-12 0 4028
562 시적 자기 희생 2015-06-12 0 4507
561 시의 정신 2015-06-12 0 4226
560 자유시의 정착 2015-06-12 0 4584
559 전통시가 형식의 붕괴 2015-06-12 0 4930
558 한국의 현대시 2015-06-12 0 4321
557 천재 시인 - 李箱 김해경 2015-06-08 0 4676
556 <시장> 시모음 2015-06-08 0 4478
555 <6월> 시모음 2015-06-08 0 4989
554 담배는 웬 담배ㅠ? 2015-06-05 0 4467
553 詩 - 칼 . 맑스 = 칼 . 마르크스 = 칼 . ' 막 '쓰 2015-06-04 0 5832
552 <서울> 시모음 2015-06-04 0 4946
551 한설 시넋두리 2015-06-02 0 4570
550 <<막걸리 시>> 노벨문학상 ???... 2015-06-02 0 5013
549 연변 동시 한바구니 2015-06-02 0 4754
548 동시와 한석윤 2015-06-02 0 4146
547 동시인 한석윤 시비 2015-06-02 0 6052
546 김광섭 시인을 아시나ㅠ? 2015-06-01 0 4941
545 성북동 비둘기 2015-06-01 0 5481
544 상상력과 詩 2015-05-31 0 4746
543 시인 -리호원 2015-05-31 0 4717
542 석화 / 시창작 강의록 2015-05-21 0 6936
541 최룡관 동시론 4 2015-05-20 0 4942
540 최룡관 동시론 3 2015-05-20 0 4668
539 최룡관 동시론 2 2015-05-20 1 5133
538 최룡관 동시론 1 2015-05-20 0 5100
537 이승훈 시론 5 2015-05-20 0 4516
536 이승훈 시론 4 2015-05-20 0 4738
535 이승훈 시론 3 2015-05-20 0 4881
534 이승훈 시론 2 2015-05-20 0 4836
533 이승훈 시론 1 2015-05-20 0 4832
532 시쓰기에서 의성어, 의태어 활용법 2015-05-20 0 5731
531 시쓰기에서 이미지에 대하여 2015-05-20 0 6042
530 여러 빛깔의 동시 알아보기 2015-05-20 0 5584
529 윤삼현 시창작론 2015-05-20 0 5703
528 문삼석 동시론 2015-05-20 0 4889
527 우리 민족의 정형시 - 시조 쓰는 방법 2015-05-20 0 5932
526 유명한 동시 모음 (클릭해 보세ㅛ@@) 2015-05-20 0 9452
525 동시 작법 모음(클릭해 보기) 2015-05-20 1 5718
524 영상시 모음 2015-05-20 0 6106
‹처음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