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조광명
2015년 03월 12일 23시 20분  조회:4629  추천:0  작성자: 죽림

 

      중국조선족 시인/ 조광명

 

    중국 길림성 유수시 출생

    1986년부터 문학작품 발표 시작.

    중국 연변작가협회 회원.

    문학상 다수 수상.

  

       대표작: 죽어서 껍질 반 장도 남기지 못할 몸이요, 평생 시 공부에 죽어서 한 줄 시 남기지 못해도 여한은 없을 터.

 

프로필과 대표작

 

               조광명

 

며칠 전정말 문학에 미쳐서문학 이외에는 할 짓이 없어서 문학에만 빠져있는 한 재간둥이 친구가 인터넷에 문학카페를 하나 지어놓고 그 카페에 못난 나를 기어코 소개해 올려준다면서 내 상세한 프로필과 내 대표작 목록그리고 작품 수편 등을 요구해온 적이 있다.

 

작품이야 좋든 나쁘든 발표한 것들이 꽤 되니까 인터넷상에 떠도는 내 작품 중 아무거나 긁어다 올리고픈 대로 올리슈 하고 카페 주인장의 처분에 맡겼지만상세한 프로필과 스스로 대표작이라고 인정되는 작품목록을 적어 보내달라고 하는 데는 많이 난감해질 수밖에 없었다광고가 난무하는 시대가난한 글쟁이일지언정 자기홍보라도 잘해야 싸구려 글이나마 그래도 잘 <팔리>는 거니까 무료로 홍보해주겠다는데 얼마나 좋냐요구하는 대로 보내주면 될 걸 과히 난감해 할 필요까지야 있었냐고 의아해할 분들도 있을 수 있겠으나,그러나 그 친구가 메신저에 적은 구절을 그대로 옮기면 내 난감함을 이해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에도 프로필 달랑 넉 줄입니까이번엔 안됩니다수상작품명이랑 수상연도랑 상세하게 보내야 합니다그리고 대표작품명도 상세히 보내줘야 합니다.

 

어떤가좀 생어거지 투가 아닌가무조건 어떻게 보내야 한다는 <명령> <애교>치고는 너무 내리먹이는 <>어거지가 아닌가.

 

ㅎㅎ속으로 웃었다이 친구 나를 잘 알고 있는 줄 알았는데아직 날 잘 모르고 있군.

그리고 그 웃음 뒤엔 난감할 수밖에 없었다.

 

먼저 프로필부터 짚고 넘어가자.

참말로 내 프로필이란게 달랑 넉 줄밖에 안된다다시 여기에 중복해 적어봤자 정말 달랑 넉 줄그 이상은 더 적을 게 없다.

-1986년부터 문학작품 발표 시작

-수차 수상.

-시집 <좌선어느 30대의 아침출간

-현재 청도 거주.

 

이상이다굳이 행을 나누니까 그나마 넉 줄이지 행을 나누지 않고 이어서 적으면 기껏해야 한 줄 반밖에 안될 것이다.

 

다른 프로필도 아니고문학인으로서의 내가 내 작품 뒤에 적을  프로필로는 이상 넉 줄밖에 정말 더 적을 게 없다그만큼 문학인으로서의 내 글짓기 농사 20여년이 거의 무깍지 농사로 일관해 왔다는 뜻도 되겠으나내 스스로 자신에게 물어 1986년에 처녀작을 발표하기 시작해서 지금까지 내 이름 세 글자를 박아서 발표된 작품이 수량 상으로는 꽤 될 것 같은데정작에 내 기억에 남는 내 작품 속의 글 구절이나 글 제목 같은 건 거의 없으니그나마 처녀작이 발표될 때의 그 설레임이 그 발표연도에 대한 기억으로 이어진 것만 해도 고마울 따름이다.

 

그리고 수상 경력도 몇 번은 있지만그건 내 글이 잘 나서 보다도 못난 글을 이쁘게 봐주고 뽑아준 편집선생님들과 평심위원들의 선택의 덕분이지스스로 정작 내 자신의 글을 다른 사람들의 글과 비겨봐서 과연 내 글이 잘되어서 상을 탔구나 하고 생각해 본적은 한 번도 없다그리고 사실 말이지 우리 문단이란 게 작가협회 회원증을 그 무슨 명찰처럼 소지하고 있는 사람은 수 백 명 되는 줄로 알지만정작 글 농사에 매달려 열심히 우리 문자로 밭이랑을 가꾸는 작업에 땀 쏟는 이는 통틀어 몇 명 안 되는 것도 사실이니글 농사 몇 년 열심히 지으면 그게 기특해서 이런 저런 상을 설치한 문예지에서 격려의 차원에서 상을 한 두 번 주는 것도 사실 아닌가정말 작품이 뛰어나서 수상한 분들에게 모욕이 되는 망발일지 모르지만내 경우에는 아직 문학에 제대로 입문도 못한 놈이 하도 문학 문학 하면서 열성을 부리니까 그게 기특하고 안쓰러워서 편집선생님들과 평심위원들이 격려의 차원에서 상이라는 영광을 안겨주었겠지 하고 생각할 뿐이다행운으로만 생각하는 것이다지나면 그만영원으로 이어지지 않는 게 행운 아닌가.

 

그 행운을 수차례 받아 안았을 때의 고마운 마음은 간직하고 있어야 하겠지만그러니까 수차 수상했던 기억은 있지만대체 어느 작품으로 언제 수상했던 지는 사실 잘 기억에 남아있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그걸 기억하고 있어선 뭘 하랴결국은 별거 아닌 게 상에 걸렸던 것을혹자는 이것을 내 건방짐으로 타매할 지도 모르겠으나 건방짐이라 해도 할 말이 없다.

 

기억하고 있지 못하는 데 어쩌랴.

기억할 필요도 없어서 아예 기억하지 않고 있었는데 어쩌랴.

 

혹시 수상도거리호가 되어 해 마다 수 십 개 문학상을 혼자 도맡아 수상하는 정도라면 장부책 관리하듯 전문 따로 수상경력을 적어놓는 기록부 같은 걸 만들어서 일이삼사 하고 빠뜨리지 않고 적어놓는 열성을 부릴 수도 있겠으나 이건 가뭄에 콩 나듯 몇 년에 어쩌다 한 번씩 수상의 영광을 지니는 것이니 굳이 그런 기록부 같은 걸 만들 일도 없다그렇다면 기억에 의존해야 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그런데내 기억이란 게 자기 핸드폰 번호도 제대로 기억을 못해서 혹간 누가 내 핸드폰 번호를 물어오면 멍 하고 한참 머릿속을 뒤집어야 하군 하는 나의 <아다마수준이니 어찌하랴...<건방지>게 그 소중한 문학상에 관한 상세한 정보 같은 것들은 기억의 뒷골목으로 시집보내버리고 말고 있는 자신을 이렇게 변명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감사합니다 하고 받아와 놓고는 어느 구석에 처박아놓고 있는 지도 모르는 상패 혹은 수상증서들을 다 뒤져서 일일이 재확인 작업을 진행해서 상세한 프로필 작성 작업을 하기에도 귀찮으니 위에서처럼 달랑 넉 줄밖에 더 적을 게 없는 것이다.

 

그런데사실 말이지 내 주제이면 넉 줄이면 충분하지 않은가그만큼 사회상에 지명도도 없고어깨에 짊어지고 있는 어떤 화려한 타이틀 같은 것도 없는 놈이니 텅 빈 놈은 텅 빈 대로 짧은 프로필로 살면 그만이 아닌가정말 어데 나가서 내가 조광명이요 고래고래 소리질러봤자 어니가 그 조광명이냐 하고 알은체 해줄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고반갑다고 달려와 손잡고 흔들어줄 사람도 거의 없을 것이니빈 깍지 인생은 빈 깍지 인생답게 빈 껍질 같은 넉 줄이래도 너무 충분하지 않은가그나마 고마운 거지내 이름자 세 글자 뒤에 그 넉 줄이라도 적을 게 있다는 게죽어서 한 줄기 연기로 사라지고 말 줄 알지만혹시 마지막으로 흩날리는 그 연기라도 아쉬워하는 그 누군가가 있을 거라면그 누군가가 종이에 <시를 쓰기 위해 이 세상에 왔다가 시 한 줄도 남기지 못하고 가는 불쌍한 인간아!>하는 글줄이라도 적어서 함께 불태워 연기로 날려 보내줄 거라면 미리 고마워서 절이라도 드리고플 뿐이다.

 

그리고대표작에 관해서다.

그 친구에게 제발 믿어주쇼 하고 빌었다정말 나에게는 내 마음에 들어 내가 기억할 정도로의 대표작이란 게 없다고.

 

-왜 없습니까내가 기억하고 있는 작품만 해도 수두룩한데...

-그건 당신이 기억한 거고난 내 마음에 만족할 정도로 기억하고 있는 작품이 없는 게 사실이니까...

 

 <사실>이란 단어를 쓸 수밖에 없다이렇게 내 언어의 곤궁을 지금 이 글을 쓰면서도 너무 느끼고 있다그러나 사실이란 단어를 대체할 다른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사실-

 

지금까지 글 농사 이십여 년이지만그러나 아직도 문학이 뭔지 깨우치지 못하고 그 구도의 길에 갈팡질팡 하고 있는 게 내란 놈의 꼬락서니다문학과 글쓰기라는 이 도를 깨우치기에 나는 아직 멀었다는 얘기다그런 내게 대표작이란 게 있을 수 있겠는가아직도 나는 술래라는 그 허상을 쫓아 진지하게 놀음에 빠져있는 어린애처럼 문학이라는 이 늪에 빠져 허우적이기만 하는수영도 바로 못하는 풍덩 수준의 초짜인 것이다문학의 초년 입문생에 다름 아니다.

 

살아서 아니라죽어서라도 남들이 영영 기억해 읽어줄 글 한 편이라도 남길 수 있다면 좋겠지만그건 내 허망한 욕망인 줄 안다죽어서 반 장 껍질도 남기지 못할 줄 알면서도 열심히 이 세상을 살고 있는 놈이니죽어서 한 줄 글줄도 남기지 못할 줄 알면서도 아무런 여한이 없이 지금의 내 글짓기 작업에 재미를 느끼고 있을 뿐이다그리고그나마 굳이 대표작이란 게 있을 수가 있다면 그건 내 죽은 뒤에 남들이 인정해줘서 타이틀 붙여주는 거지멀쩡히 살아있을 때 스스로 자기 작품을 대표작이라고 이름붙여 내놓는다는 건 내 주제에는 스스로의 주제파악이 잘되지 않아서 불가한 작업니다.

 

이런 내게 그 친구가 <상세한 프로필> <상세한 대표작 목록>을 요구해 오는 <애교>를 부렸으니 내가 얼마나 난감했겠는가난감했지만나는 <더 이상은 NO>하는 <무정함>을 보여줄 수밖에 없었다나의 그 <무정함>을 그 친구가 건방짐으로 받아들였다 해도 방법 없다.

 

없는 놈이 있는 체 해봤자 털어 먼지밖에 더 없는 걸 나 자신은 잘 아니까.

짧은 나를 스스로 올리춰봤자 일 미터 칠십에도 미치지 못하는 단신인 줄 나는 잘 아니까.

나는 아직도 문학의 길에 아장아장 걸음마 익히는 못난 새끼오리이니까.

 

아장아장이라는 귀여운 단어를 스스로에게 선물하며 구구한 변명을 줄인다.

 

이천구년 사월 칠일 청도 문우재서.

 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

 

 

 

 

  시인이 벽을 만나면

 

               사진/시 조광명

 

 

 

이 시대 가난만큼 널린 시

그 시를 주으러 길에 나섰지

흔한 시들은 길에 가래침처럼 뱉어져서

행인들의 발에 밟히다

공기 속에 먼지로 부유하고

하늘을 땅처럼 날다가

땅을 하늘처럼 내려앉고

 

 

재밌군 재밌어 이 신성한 시의 왕국에

가장 흔한 건 싸구려 시

시인은 맨발의 거지로

녹 쓴 놋쇠숟가락 하나 들고

시를 주 시를 주 밥알보다 천한 시를 주

때 묻은 발에 흰 밥알 하나 태양처럼 묻히고

금방 어둠과 흘레 마친 아침의 태양을

히멀겋게 바라보며

재밌군 재밌어 시가 배가 고팠어

배가 홀쭉한 승냥이처럼, 눈에 파란 불 켜고

오만한 꼬리 도고한 깃발처럼 높이 쳐들고

그래, 모든 사랑하는 것을 노려봐야지

지켜야지, 시인의 몫으로

 

 

이 세상서 가장 위험한 건

추위를 두려워 않는 겨울의 시

배고픔을 두려워 않는 가난의 시

그리고 칼을 두려워 않는 검객의 시

시를 바치리 시대의 제단엔, 항상

칼 대신 시를, 밥 대신 시를, 생화 대신 시를.

 

 

아무런 낙서도 씌어있지 않는 벽은

시에 대한 모독,

그 벽에 시인은 침을 뱉어서라도

왜곡된 사랑 그리듯 시를 써야 하리

시인의 몸뚱이보다는 차갑지만

그러나 하늘처럼 흐르며

항상 우리의 운명처럼

떡 버티고 섰는 벽에.

 

 

청도 문우재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23 미국 시인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2016-12-04 0 6198
1922 미국 시인 - 랠프 윌도 에머슨 2016-12-04 0 4019
1921 [쉼터] - 원소 "주기률표"와 어머니 2016-12-03 0 10528
1920 시인, "시편", 그리고 독서 2016-12-03 0 4465
1919 영국 첫 녀성 계관시인 - 캐롤 앤 더피 2016-12-03 0 4346
1918 영국 랑만파 계관시인 - 윌리엄 워즈워스 2016-12-03 0 5335
1917 미국 계관시인 - 테드 쿠서 2016-12-03 0 4416
1916 미국 첫 라틴계 계관시인 - 후안 펠리페 에레라 2016-12-03 0 6632
1915 <<뇌의학계>> 미국 계관시인 - 오리버 색스 2016-12-03 0 3765
1914 미국 계관시인 - W.S 머윈 2016-12-03 0 3840
1913 19세기 미국 가장 독창적인 시인 - 에드거 앨런 포(포우) 2016-12-03 0 9920
1912 미국 시인 - 로버트 핀스키 2016-12-03 0 4359
1911 미국 흑인 혼혈 녀성계관시인 - 나타샤 트레세웨이 2016-12-03 0 5254
1910 미국 계관시인 - 필립 레빈 2016-12-03 0 4415
1909 詩人은 절필할줄도 알아야... 2016-12-03 0 5561
1908 나이지리아 시인 - 월레 소잉카 2016-12-01 0 6328
1907 미국 계관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2-01 0 5399
1906 詩는 기존의 삶의 설명서가 아니라 새로운 삶의 설계도이다... 2016-12-01 0 4244
1905 스페인 시인 - 후안 라몬 히메네스 2016-11-30 0 4739
1904 요절한 천재 시인 시세계를 알아보다... 2016-11-30 0 5383
1903 詩人은 자기자신의 령혼을 련금할줄 알아야... 2016-11-30 0 3679
1902 스페인 시인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2016-11-30 0 6197
1901 서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 2016-11-30 0 6716
1900 중남미 수녀 시인 - 소르 후아나 이녜스 데 라 크루스 2016-11-30 0 6455
1899 노르웨이 시인 - 비에른 스티에르네 비에른손 2016-11-30 0 5839
1898 아이슬란드 시인 - 스노리 스튀르글뤼손 2016-11-30 0 6859
1897 미국 國歌 "성조기" 작사가, 시인 - 프랜시스 스콧 키 2016-11-30 0 6732
1896 <라면> 시모음 2016-11-30 0 4595
1895 詩人은 일상의 삶을 詩처럼 살아야 한다... 2016-11-30 0 4058
1894 詩는 시인이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가 아니다... 2016-11-30 0 4352
1893 현대 환상 문학의 대가 아르헨티나 시인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2016-11-29 0 6746
1892 자연과 인생을 노래한 일본 "김삿갓 방랑 시인" - 마쓰오 바쇼 2016-11-29 1 8599
1891 조선시대 비운의 천재 녀류시인 - 허난설헌 2016-11-29 0 5197
1890 중남미 문학을 대표하는 멕시코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6-11-29 0 6209
1889 詩人은 神이 준 언어를 잘 련금술할줄 알아야... 2016-11-29 0 4053
1888 어머니, 100원, 그리고 모성애... 2016-11-28 0 4305
1887 시인, 시, 그리고 돈... 2016-11-28 0 5648
1886 문학예술인, 삶, 그리고 비극... 2016-11-28 0 4303
1885 시의 건초더미에서 찾은 "바늘" 2016-11-28 0 4472
1884 시인, 시쓰기, 그리고 시암송... 2016-11-28 0 3726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