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일본 시인 - 미야자와겐지
2018년 12월 18일 22시 44분  조회:5070  추천:0  작성자: 죽림
 
출생 1896. 8. 27, 일본 이와테 현[岩手縣] 하나마키[花卷]
사망 1933. 9. 21, 하나마키
국적 일본

요약 미야자와겐지 / 일본 시인·동화작가.

 
미야자와 겐지(Miyazawa Kenji)
미야자와 겐지(Miyazawa Kenji)

ⓒ MChew/wikipedia | Public Domain

일본문학사상 중앙문단과 거의 관계가 없었던 이색적인 작가로, 시·동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인물로 인정받고 있다. 1918년 모리오카 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한 뒤, 지질 토양비료 연구에 종사했다. 특히 히에누키 군[稗貫郡]의 토성(土性) 조사는 뒤에 그의 활동에 중요한 의미를 주었다.

한편 생가는 열렬한 정토진종(淨土眞宗) 집안으로 그도 어렸을 때부터 불교 경전을 접해왔는데, 중학시절 법화경을 읽고 감동을 받아 1920년 니치렌종[日蓮宗]의 신앙단체로서 다나카 지가쿠[田中智學]가 주재하는 고쿠추카이[國柱會]에 가입했다. 종교의 차이로 부모와의 대립은 깊어만 갔으며 1921년 무단 상경해 문필이나 교정으로 생계를 이어가며 포교활동에 종사했다.

그는 농림학교 재학시절부터 단카[短歌]를 짓고 산문 습작을 하기도 했으며, 졸업 후에는 동화도 몇 편 썼다. 1921년 12월 히에누키 농학교의 교사가 되었고 이듬해 11월 사랑하는 여동생 도시의 죽음을 겪었으며, 1926년 3월까지 계속 이 학교의 교사로 있었다. 이 시기, 특히 전반기는 그의 문학이 화려한 꽃을 피운 시기였는데, 대표적인 작품은 시집 〈봄과 수라 春と修羅〉(1924)와 동화 〈주문이 많은 요리집 注文の多い料理店〉(1924)에 실린 작품들이다.

농학교 교사시절 후반부터 농민들의 빈곤한 생활에 직면하게 된 그는 1926년 3월 하나마키로 돌아갔다. 거기서 젊은 농민들에게 농학이나 예술론을 강의하는 한편, 벼농사 지도를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했다. 그러나 건강상태가 악화되어 병석에 눕게 되었으며 자신의 농업기술로는 농민들을 가난에서 구할 수 없다는 자각에서 비롯된 절망, 농민들의 도회지인에 대한 반감 등에 부딪혀 좌절감은 더욱 깊어만 갔다. 1933년 급성폐렴으로 37세에 요절했다. 만년에 나온 동화로는 걸작 〈은하철도의 밤 銀河鐵道の夜〉·〈구스코 부도리의 전기 グスコ-ブドリの 傳記〉 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23 김립 시모음 2016-10-30 0 5854
1722 대만 현대시 흐름 알아보기 2016-10-30 0 4282
1721 구름도 가고 순경도 가고 남은건 나와 나의 그림자와... 2016-10-30 0 3413
1720 대만 모더니즘 선도자 - 예웨이롄 2016-10-30 0 3610
1719 대만 녀성시인 - 옌아이린(옌艾琳) 2016-10-30 0 3711
1718 대만 시인 - 余光中 2016-10-30 0 3952
1717 나를 오리신고는 침선으로 나를 꿰매셨다... 2016-10-30 0 3478
1716 "동주" - 그는 가깝고 그리운 한 사람이다... 2016-10-29 0 4198
1715 5 + 7 + 5 = 17 2016-10-28 0 4307
1714 깨여나보니 유명해져 있었다... 2016-10-28 0 4187
1713 ...바로 탐욕이다... 2016-10-28 0 3897
1712 새들은 왜 록색별을 떠나야만 하는가... 2016-10-28 0 3834
1711 우리가 언젠가는 "사막의 꽃뱀"이 될지도 모른다... 2016-10-28 0 3969
1710 어느 날 페허 잔해속에서 원자로 화석을 발굴하라... 2016-10-28 0 4401
1709 詩人은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저항하라... 2016-10-28 0 4113
1708 詩는 희곡을 "언어예술의 집"으로 건축하는 벽돌이다... 2016-10-28 0 3498
1707 詩와 비평은 쌍두마차이다... 2016-10-28 0 3871
1706 비평가의 詩, 詩人의 비평,- 립장을 바꿔보다... 2016-10-28 0 3398
1705 詩란 "내가 나의 감옥"에서 뛰쳐나가기이다... 2016-10-28 0 4510
1704 詩란 유일무이한 그릇에 유일무이하게 헌것을 새롭게 담는것... 2016-10-28 0 3695
1703 "시를 읽지 않는 사람들"도 사랑하는 시인 -니자르 카바니 2016-10-28 0 4016
1702 아랍의 詩는 손가락에서 흘러나오는 눈물... 2016-10-28 0 4819
1701 詩적 상상력을 중첩, 확대하는것은 실체(체험)를 바탕하기... 2016-10-27 0 4026
1700 현대시의 난해한 벽을 허물어보기 2016-10-26 0 4251
1699 불온한 상상력들이 광란의 춤사위에 나으다 2016-10-26 0 4126
1698 눈뿌리가 아플 정도의 포스터모더니즘의 한계 2016-10-26 0 3998
1697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는 언어가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와 련관된다... 2016-10-26 0 4795
1696 즐거움의 순간과 죽음의 망령은 삶의 련속이다... 2016-10-25 0 4330
1695 詩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2016-10-25 0 4112
1694 詩 같은 수필, 수필 같은 시를 쓰라... 2016-10-25 1 3995
1693 詩란 태음신과 같은 현무(玄武)로서 시첩(詩帖)속에 잘 가두기를... 2016-10-23 0 4084
1692 詩어는 꽃잎에 닿자 나비, 꿀벌이 되다... 2016-10-21 0 3966
1691 詩리론은 하나의 울타리로서 늘 시인을 괴곱게 한다... 2016-10-21 0 4879
1690 詩여, 독침이 되라... 2016-10-21 0 3956
1689 詩의 첫행은 시인과 독자가 만나는 최초의 순간이다... 2016-10-21 0 4233
1688 한국 현대시사 최초의 선시리론자 - 김종한 2016-10-21 0 4218
1687 냄새가 나는 "조감도"(鳥瞰圖)냐, "오감도(烏瞰圖)냐... 2016-10-21 0 4448
1686 다시 떠올리는 정지용 시모음 2016-10-21 0 3793
1685 훌륭한 詩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진다... 2016-10-21 0 4203
1684 詩作에서 "창조적 변용"아냐, "몰상식적 표절"이냐가 문제면 문제 2016-10-20 0 5130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