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일본 시인 - 미야자와겐지
2018년 12월 18일 22시 44분  조회:5071  추천:0  작성자: 죽림
 
출생 1896. 8. 27, 일본 이와테 현[岩手縣] 하나마키[花卷]
사망 1933. 9. 21, 하나마키
국적 일본

요약 미야자와겐지 / 일본 시인·동화작가.

 
미야자와 겐지(Miyazawa Kenji)
미야자와 겐지(Miyazawa Kenji)

ⓒ MChew/wikipedia | Public Domain

일본문학사상 중앙문단과 거의 관계가 없었던 이색적인 작가로, 시·동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인물로 인정받고 있다. 1918년 모리오카 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한 뒤, 지질 토양비료 연구에 종사했다. 특히 히에누키 군[稗貫郡]의 토성(土性) 조사는 뒤에 그의 활동에 중요한 의미를 주었다.

한편 생가는 열렬한 정토진종(淨土眞宗) 집안으로 그도 어렸을 때부터 불교 경전을 접해왔는데, 중학시절 법화경을 읽고 감동을 받아 1920년 니치렌종[日蓮宗]의 신앙단체로서 다나카 지가쿠[田中智學]가 주재하는 고쿠추카이[國柱會]에 가입했다. 종교의 차이로 부모와의 대립은 깊어만 갔으며 1921년 무단 상경해 문필이나 교정으로 생계를 이어가며 포교활동에 종사했다.

그는 농림학교 재학시절부터 단카[短歌]를 짓고 산문 습작을 하기도 했으며, 졸업 후에는 동화도 몇 편 썼다. 1921년 12월 히에누키 농학교의 교사가 되었고 이듬해 11월 사랑하는 여동생 도시의 죽음을 겪었으며, 1926년 3월까지 계속 이 학교의 교사로 있었다. 이 시기, 특히 전반기는 그의 문학이 화려한 꽃을 피운 시기였는데, 대표적인 작품은 시집 〈봄과 수라 春と修羅〉(1924)와 동화 〈주문이 많은 요리집 注文の多い料理店〉(1924)에 실린 작품들이다.

농학교 교사시절 후반부터 농민들의 빈곤한 생활에 직면하게 된 그는 1926년 3월 하나마키로 돌아갔다. 거기서 젊은 농민들에게 농학이나 예술론을 강의하는 한편, 벼농사 지도를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했다. 그러나 건강상태가 악화되어 병석에 눕게 되었으며 자신의 농업기술로는 농민들을 가난에서 구할 수 없다는 자각에서 비롯된 절망, 농민들의 도회지인에 대한 반감 등에 부딪혀 좌절감은 더욱 깊어만 갔다. 1933년 급성폐렴으로 37세에 요절했다. 만년에 나온 동화로는 걸작 〈은하철도의 밤 銀河鐵道の夜〉·〈구스코 부도리의 전기 グスコ-ブドリの 傳記〉 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83 詩의 세계속에는 지상과 천상이 한 울타리에 있다... 2016-10-20 0 4213
1682 詩란 삶이 이승사자를 찾아가는 과정속의 울음이다... 2016-10-20 0 3977
1681 "말똥가리" 스웨덴 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6-10-20 0 4802
1680 폴란드 녀류시인 - 비수아바 심보르스카 2016-10-20 0 4869
1679 고대 그리스 녀류시인 ㅡ 사포 2016-10-20 0 4905
1678 고대 그리스 맹인 음유시인 - 호메로스 2016-10-20 0 5580
1677 神들은 문학과 취미의 부문에 속하다... 2016-10-20 0 4933
1676 최초로 음악가가 "노벨문학상"을 걸머쥐다... 2016-10-19 0 5359
1675 <밥> 시모음 2016-10-19 0 3795
1674 詩를 쓸 때 꼭 지켜야 할것들아... 2016-10-19 0 4143
1673 詩란 백지위에서 나를 찾아가는 려행이다... 2016-10-18 0 4199
1672 락서도 문학적 가치를 획득할 때... 2016-10-17 0 4620
1671 詩란 낡아가는 돌문을 천만년 들부쉬는 작업이다... 2016-10-17 0 4423
1670 모든 문학예술은 련속성안에 있다... 2016-10-17 0 4262
1669 죽음은 려행이며 려행은 곧 죽음인것이다... 2016-10-17 0 4145
1668 시인으로서 살것인가 아니면 살인자로서 살것인가... 2016-10-16 0 4726
1667 한춘시인이여! 하늘나라에서 편히 쉬소서... 2016-10-16 0 4134
1666 마지막 단어라는것은 없다... 2016-10-16 0 3893
1665 무질서는 세계를 만들어낸다... 2016-10-16 0 3903
1664 동시 창작론 / 유경환 2016-10-16 0 4150
1663 동시 창작론 / 신현득 2016-10-16 0 4354
1662 미국 최후의 음유시인 - 월트 휘트먼 2016-10-16 0 5880
1661 모더니즘 대표적 영국 시인 - T.S.엘리엇 2016-10-16 0 7067
1660 詩란 언어비틀기가 오로지 아니다... 2016-10-16 0 4964
1659 詩는 태초부터 노래말, "활자감옥"속에 갇힌 문학 도망치기 2016-10-16 0 4077
1658 솔솔 동시향기 흩날리는 동시인 ㅡ 강려 2016-10-14 0 3650
1657 중국조선족 제2세대 대표적 시인 - 리상각 2016-10-14 0 4343
1656 詩에게 말을 걸어보다... 2016-10-14 0 3996
1655 음유시인 전통의 뛰여난 후계자 ㅡ 노벨문학상 주인 되다... 2016-10-14 0 5033
1654 詩란 막다른 골목에서의 정신과의 싸움이다... 2016-10-14 0 4050
1653 詩란 꽃씨앗을 도둑질하는것이다... 2016-10-14 0 3890
1652 난해한 말장난의 詩가 "최고의 현대시"인가?!... 2016-10-14 0 3894
1651 숟가락 시모음 2016-10-12 0 4173
1650 시인들이 이야기하는 詩모음 2016-10-12 0 4327
1649 명태 시모음 2016-10-12 0 6316
1648 어머니 시모음 2016-10-12 1 5467
1647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2016-10-12 0 4286
1646 영남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들은 많아도 詩를 쓰는 놈은 딱 하나 영남 뿐! 2016-10-12 0 3709
1645 중국 조선족 시단의 기화이석 - 한춘시론 2016-10-12 0 3678
1644 詩의 독해(讀解)는 천파장 만파장이다... 2016-10-12 0 3817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