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위로
2018년 07월 22일 00시 17분  조회:3109  추천:0  작성자: 죽림

위로 



윤동주 





거미란 놈이 흉한 심보로 병원 뒤뜰 난간과 꽃밭 사이 
사람 발이 잘 닿지 않는 곳에 그물을 쳐 놓았다. 
옥외 요양을 받는 젊은 사나이가 누워서 쳐다보기 바르게ㅡ 

나비가 한 마리 꽃밭에 날아들다 그물에 걸리었다. 
노-란 날개를 퍼득거려도 파득거려도 
나비는 자꾸 감기우기만 한다. 
거미가 쏜살같이 가더니 끝없는 끝없는 실을 뽑아 
나비의 온몸을 감아 버린다. 사나이는 긴 한숨을 쉬었다. 

나이보담 무수한 고생 끝에 때를 잃고 병을 얻은 이 사나이를 위로할 말이ㅡ
거미줄을 헝클어 버리는 것밖에 위로의 말이 없었다. 


===================

 

[해석]

1. 거미의 '흉한 심보'

 - 화자의 감정이입.

 - 거미가 일부러 자신보다 강한 인간의 손을 피하려고 인적 드문 곳에 거미줄 쳐 놓았다고 생각함.

 - 꽃밭에 도달하기 전에 나비를 잡으려고 꽃밭과 뒤뜰 난간 사이에 거미줄을 쳐 놓음

 - 사나이가 누워서 잘 쳐다볼 수 있는 곳에 거미줄을 쳐 놓았다. (비수를 꽃는 행동)

 

2. 사나이가 한숨을 쉬는 이유

 - 사나이는 노-란 나비(본인에 대입)가 꽃밭(이상향)에 도달하길 바랐지만 영악한 거미의 흉한 심보로 인해 허우적 대는 나비를 본인에 대입했다. 감정이입.

 

3. 진짜 화자의 등장과 위로.

 - 진짜 화자는 위로를 섣불리 건내지 않고 거미줄을 헝클어 버리며 젊은 사나이를 위로한다.

 

[감상]

 윤동주 선생님의 상황에 비유한다면 젊은 사나이는 본인, 거미줄과 거미는 일제 강점기, 꽃밭은 독립을 뜻한다. 적절한 비유를 통한 시의 전개가 인상적이다.

 무엇보다도 이 시는 화자에 대한 공감과 위로 능력이 돋보인다. 상대방을 공감해주고 위로해주는 일은 그 누구든 힘들고 어렵다. 그리고 이러한 위로와 공감이 순도 100%가 되기 위해선 '내'가 '아픈 사람'이 되어야 한다. 화자는 나비에 대한 한탄과 거미에 대한 비방보다 그 상황 자체를 없었던 것처럼 만들어주고 있다.

 누군가가 힘들고 지칠 때 '말'로만 표현하지 말고 떄로는 직접 거미줄을 헝클어버리는 '행동'을 보여주는 것은 어떨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7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벽이 올 때까지 2018-07-25 0 3810
1169 윤동주 시집 원 제목 "병원"이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로... 2018-07-25 0 3628
1168 윤동주와 정병욱 가옥 2018-07-24 0 2700
1167 "붓끝을 따라온 귀뚜라미는 홀로의 감방에서도 울어준다"... 2018-07-24 0 3232
1166 윤동주와 이양하 2018-07-24 0 3048
1165 사람이 1년에 800만번 숨을 쉬는데... 2018-07-24 0 2843
116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서운 시간 2018-07-24 0 3545
11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팔복 2018-07-23 0 6113
11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위로 2018-07-22 0 3109
116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미 병들어 2018-07-19 0 2964
1160 윤동주와 윤석중 2018-07-18 0 4278
11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자화상 2018-07-18 0 5964
1158 윤동주 동생 윤일주 2018-07-18 0 3136
1157 우리는 민족혼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2018-07-18 0 2521
1156 "윤동주 수업 늘이자"... 2018-07-17 0 3248
11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우의 인상화 2018-07-17 0 4594
11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로운 길 2018-07-17 0 9576
11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 2018-07-16 0 4768
1152 "리별은 인생의 보석이다"... 2018-07-15 0 2560
1151 "강은 분단과 전쟁의 상처를 말끔히 씻어낸다"... 2018-07-15 0 2574
115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양지쪽 2018-07-15 0 4572
1149 윤동주와 동시인 강소천 2018-07-15 0 3602
1148 [시시비비] - 력사는 력사이다... "선구자의 노래"의 내막?(6)... 2018-07-13 0 3942
1147 송몽규는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자였다... 2018-07-13 0 3634
11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이런 날 2018-07-13 0 3482
1145 윤동주와 "4총사" 2018-07-13 0 3351
1144 "가슴속에 어머니라는 산(山) 하나 들고 있다"... 2018-07-12 0 2505
1143 "나는 어머니의 가슴에 박힌 큰 못이다"... 2018-07-12 0 2561
1142 윤동주 시작품에서 나오는 "레그혼" 2018-07-12 0 3284
114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 1 2018-07-12 0 2471
114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1, 2, 3 2018-07-11 0 3107
1139 윤동주와 숭실학교 2018-07-11 0 3903
113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모란봉 2018-07-10 0 3552
1137 영원하다... 영원할... 영원하리... 2018-07-10 0 3745
113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모란봉에서 2018-07-09 0 2852
1135 "저 바다 건너 배고픈 아이들 배불리는 빵 한덩이 되고싶다"... 2018-07-09 0 2378
1134 윤동주와 문익환 2018-07-09 0 2728
113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리에서 2018-07-09 0 4439
1132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륙첩방(다다미방)" 2018-07-08 0 4282
1131 윤동주와 정지용, 경향신문 2018-07-08 0 2611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