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동시야 놀자]- 쫑마리
2016년 03월 07일 21시 54분  조회:4053  추천:0  작성자: 죽림

원앙새 새끼들이 막 둥지를 떠나 물로 가려 하고 있다. 날이 새기 전 새벽녘, 뱀이랑 족제비가 일어나기 전에 온 식구가 얼른 느티나무 속 둥지에서 뛰어내려 냇물로 가야 한다.

한 마리, 두 마리, 세 마리…… 일곱 마리 새끼가 모두 뛰어내렸는데 막내 원앙이만 꾸물대고 오지 않는다. “싸기싸기 내려오니라.” 엄마 원앙이는 자꾸 꾸무럭거리면 떼놓고 간다고 막내에게 겁을 준다. “엄마두 인제 몰러. 오든지 말든지 맘대루 햐.” 엄마 원앙이가 기다리다 못해 최후통첩을 하고 언니 오빠들을 데리고 앞장서자 드디어 막내 원앙이도 풀쩍 뛰어내린다. “엄마 같이 가. 하냥 가자니께.” 하면서.

이소, 떠날 리(離) 둥지 소(巢). 보금자리를 뜻하는 소(巢) 글자는 나무 위에 둥지가 있고 그 위에 새가 세 마리 들어앉아 있는 모양새다. 송진권 시인의 ‘이소’는 새끼 원앙이들이 다 자라 둥지를 떠나는 순간을 아름답게 포착했다. 부모의 보호를 받으며 평화롭게 살던 둥지에서 넓은 세상으로 훌쩍 건너가는 순간이다. 막내를 재촉하는 엄마의 충청도 사투리가 맛깔스럽고, 원앙이들의 행렬이 한 폭의 그림처럼 머릿속에 그려진다.

때가 되면 사람도 둥지를 떠나 홀로 서기를 해야 하는데, 요즘 젊은이들은 둥지를 못 떠나고 맴돈다. 둥지에 머물기엔 너무 커버렸지만 둥지 밖에 알맞은 거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둥지를 나와서도 경계에서 장기간 대기 상태로 있으면서 기약 없는 시도만을 되풀이하는 청춘도 있다. 둥지를 떠나 자기 몫의 한 생을 지내고 나서 지친 몸을 쉬러 안온한 보금자리로 귀소(歸巢)하려 할 때도 막막해진다.

/김이구 문학평론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43 생태문학과 소통해보다... 2016-02-01 0 4827
1042 력사속의 시인 모윤숙... 2016-01-31 0 4820
1041 력사속의 시인 노천명... 2016-01-31 0 5363
1040 詩는 언어를 통해 언어의 구속에서 벗어나야... 2016-01-31 0 5735
1039 예쁜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1-31 0 5811
1038 詩의 재료는 바로 시인 자신 2016-01-31 0 6682
1037 詩씨기에서 동심적 발상을 하라 2016-01-31 0 4922
1036 詩쓰기에서 고정관념 깨고 상상의 날개를 활짝... 2016-01-31 0 4681
1035 독서광 - 책벌레 - 1억1만3천번 읽다... 2016-01-26 0 4923
1034 문덕수시론 2016-01-22 0 5943
1033 詩를 왜 사랑하는가?! 2016-01-22 0 4587
1032 (자료) 중국조선족문학 개요 2016-01-22 0 5297
1031 잊혀진, 잊지말아야 할 조선족천재시인 - 주선우 2016-01-22 0 5312
1030 건국후, 조선족시인으로서 첫 개인시집 출판한 주선우 2016-01-22 0 5521
1029 詩의 시대, 詩의 위기, 詩의 소멸... 2016-01-21 0 5779
1028 詩와 함께 평생을 살기로... 2016-01-21 0 6062
1027 詩는 언어로 짓는 寺院 2016-01-21 0 6002
1026 '2016 신춘문예 童詩 당선작 2016-01-21 0 4529
1025 (자료) - 현대시 흐름 2016-01-21 0 5349
1024 詩를 주문제작해 드리는 시대가 왔다... 2016-01-21 0 4894
1023 윤동주 시인을 좋아하는 리유?- 2016-01-21 0 5129
1022 문학을 기존안에 가두려는것 폭력? 전통시는 死亡? 2016-01-21 0 4334
1021 <론쟁> = 시인는 언어질서 파괴자? / 극단적 "미래파 시"는 사기? 2016-01-21 0 4470
1020 시문학의 현주소? / 오감도! 육감도? 2016-01-21 0 4629
1019 이상한 시나라에서 이상한 시인모임 2016-01-21 0 4380
1018 김철호 詩評/ 최삼룡 ... 김철호론/ 김만석... 2016-01-20 0 4746
1017 시에 안부를 묻다... 김영건 시인 2016-01-20 0 4494
1016 미래파 = 전위예술운동 2016-01-20 0 4369
1015 사전에 없는 말, 장난처럼 꺼낸 말... 2016-01-20 0 4595
1014 <<서정시파>>냐?! <<미래파>>냐!?... 2016-01-20 0 4183
1013 미래파시와 미래파시인은 미래가 있을가... 2016-01-20 0 5176
1012 詩밖의 詩의 낯선 세계에로 들어가 보다... 2016-01-19 0 4589
1011 왜 미래파?... 시, 시인, 독자... 2016-01-19 1 6675
1010 詩를 보면 詩人을 알것 같은, -시의 문을 두드려라... 2016-01-19 1 4469
1009 미래파 시인들과 다시 보는 李箱, 그리고 白石 2016-01-19 0 4684
1008 시, 시인, 그리고 그 가족들 - 이육사시인 형제들 2016-01-18 0 7404
1007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형은 시인, 동생 둘 中 한사람은 소설가, 다른 한사람은 극작가... 2016-01-18 0 6421
1006 시다운 詩, 시인다운 詩人을 찾아보기... 2016-01-17 0 4801
1005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이은상 시인 2016-01-15 0 10173
1004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황지우 시인 2016-01-14 0 5351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