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동시야 놀자]- 쫑마리
2016년 03월 07일 21시 54분  조회:4049  추천:0  작성자: 죽림

원앙새 새끼들이 막 둥지를 떠나 물로 가려 하고 있다. 날이 새기 전 새벽녘, 뱀이랑 족제비가 일어나기 전에 온 식구가 얼른 느티나무 속 둥지에서 뛰어내려 냇물로 가야 한다.

한 마리, 두 마리, 세 마리…… 일곱 마리 새끼가 모두 뛰어내렸는데 막내 원앙이만 꾸물대고 오지 않는다. “싸기싸기 내려오니라.” 엄마 원앙이는 자꾸 꾸무럭거리면 떼놓고 간다고 막내에게 겁을 준다. “엄마두 인제 몰러. 오든지 말든지 맘대루 햐.” 엄마 원앙이가 기다리다 못해 최후통첩을 하고 언니 오빠들을 데리고 앞장서자 드디어 막내 원앙이도 풀쩍 뛰어내린다. “엄마 같이 가. 하냥 가자니께.” 하면서.

이소, 떠날 리(離) 둥지 소(巢). 보금자리를 뜻하는 소(巢) 글자는 나무 위에 둥지가 있고 그 위에 새가 세 마리 들어앉아 있는 모양새다. 송진권 시인의 ‘이소’는 새끼 원앙이들이 다 자라 둥지를 떠나는 순간을 아름답게 포착했다. 부모의 보호를 받으며 평화롭게 살던 둥지에서 넓은 세상으로 훌쩍 건너가는 순간이다. 막내를 재촉하는 엄마의 충청도 사투리가 맛깔스럽고, 원앙이들의 행렬이 한 폭의 그림처럼 머릿속에 그려진다.

때가 되면 사람도 둥지를 떠나 홀로 서기를 해야 하는데, 요즘 젊은이들은 둥지를 못 떠나고 맴돈다. 둥지에 머물기엔 너무 커버렸지만 둥지 밖에 알맞은 거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둥지를 나와서도 경계에서 장기간 대기 상태로 있으면서 기약 없는 시도만을 되풀이하는 청춘도 있다. 둥지를 떠나 자기 몫의 한 생을 지내고 나서 지친 몸을 쉬러 안온한 보금자리로 귀소(歸巢)하려 할 때도 막막해진다.

/김이구 문학평론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63 시인들이여, - 은유를 잡아라... 2016-01-10 0 4786
962 <<시집을 좀 사주자 >>... 2016-01-10 0 4186
961 시인들이여, - 시창작 時 혼신을 다 하라... 2016-01-10 0 4817
960 공부하지 않는 시인들이 문제는 문제로다... 2016-01-10 0 4554
959 시인들이여, - 시작메모를 하라... 2016-01-10 0 4742
958 시인들이여,- 시 첫행에 승부를 걸어라... 2016-01-10 1 4533
957 시인들이여, - 세상의 바보들과 웃어라... 2016-01-10 0 5326
956 名詩 속의 "옥에 티" 2016-01-10 0 5894
955 현대시를 어떻게 읽어야 하나 2016-01-10 0 7790
954 비대상시를 창조하라 2016-01-10 0 7710
953 詩쓰기에서 다양한 어법을 사용하라... 2016-01-10 0 6754
952 창조는 비유적 어법에서 시작된다... 2016-01-10 0 4933
951 시인들이여,- 시의 위기탈출구를 찾아라 2016-01-10 0 5757
950 詩쓰기 뒤집어 쓰기 2016-01-10 2 5938
949 詩에 옳바른 <<이름>> 붙혀주자... 2016-01-10 0 6096
948 詩에서 제목은 왕관 2016-01-10 0 4842
947 詩쓰기에서 2중구조를 잘 틀어쥐라... 2016-01-10 0 4646
946 왕초보시습작자들은 기본에 충실하라... 2016-01-10 0 5340
945 詩란 모방에서 출발?!...!?... 2016-01-10 0 3992
944 詩는 재창조의 산물 2016-01-10 0 3832
943 詩를 쉽게 쓰려면 상상력 키우라... 2016-01-10 0 5059
942 철학서, 력사서 한권을 압축해 시 한편을 쓰라... 2016-01-10 0 5071
941 詩쓰기에서 어려운 시어는 금물 2016-01-10 0 5718
940 詩를 찾아서... 2016-01-10 0 5002
939 詩에서 체험의 진실성 2016-01-10 0 5176
938 詩에서 낚시질 하기... 2016-01-10 0 5580
937 "충격"을 주는 詩를 쓰라... 2016-01-10 0 4508
936 좋은 詩를 쓰고 詩에서 떠나라 2016-01-10 0 6771
935 뻐속에서 쓰는 詩 2016-01-10 0 6553
934 詩작법 질질질... 2016-01-10 0 3973
933 詩작법 마마마... 2016-01-10 0 4584
932 詩작법 추추추... 2016-01-10 0 4810
931 詩작법 쌔애앵... 2016-01-10 0 4772
930 詩작법 팔씹일... 2016-01-09 0 5555
929 詩작법 찰싸닥... 2016-01-09 0 4092
928 詩작법 통통통... 2016-01-09 0 4251
927 詩작법 후ㅜㅠ... 2016-01-09 0 4622
926 詩작법 지라리... 2016-01-09 0 4248
925 詩작법 촐라당... 2016-01-09 0 5559
924 詩작법 걀걀걀... 2016-01-09 0 4526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