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世界 색점선

[세계국제] - 치마냐... 바지냐... 바지냐... 치마냐...
2020년 01월 18일 21시 54분  조회:2771  추천:0  작성자: 죽림
 
이유리의 그림 속 여성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 ‘책 읽는 소녀’

옷이 길들인 여성의 역사
코르셋부터 드레스, 교복까지
의존적 행동 만드는 의상들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 <책 읽는 소녀>, 1769년경, 캔버스에 유채, 워싱턴 국립미술관.

10대 시절 매일 입고 다녔던 교복을 떠올리면 곤혹스러웠던 기억만 남아 있다. 잠자코 있어도 땀이 뻘뻘 나던 여름날, 답답한 브래지어도 더운데 그 위에 꼭 러닝셔츠를 입어야 했다. 브래지어가 비치면 안 된다는 게 이유였다. 설상가상으로 내가 입던 하복은 칼라가 어깨 전체를 덮는 세일러복 스타일. 교실에 에어컨이 없던 그 시절, 선풍기 몇 대로 어떻게 버텼는지 아득하기만 하다. 등·하교를 할 때도 고역은 이어졌다. 하복 상의가 너무 짧아서 버스 손잡이를 잡기가 곤란했기 때문이다. 계단을 오르내릴 때도 치마 안 속옷이 보일까 봐 노심초사였다. 속옷 노출을 막으려 속바지를 입었는데, 그 속바지가 보일 것 같으니 조심하라는 말까지 들었다. 다 귀찮아서 치마 아래로 체육복 바지를 입으면, 이번에는 단정치 못하단다. 더워도 무조건 참고, 뛰지도 말고, 속옷이 보일까 전전긍긍하는 조신하고 순종적인 여학생, 그것이 학교가 원하는 내 모습이었다. 그리고 교복은 그 여성상을 구현하도록 채찍질하는 독한 훈련 조교였다.

신발끈도 묶을 수 없게 한 옷들

옷이 여성의 행동을 길들인 역사는 생각보다 유래가 깊다.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1732~1806)의 <책 읽는 소녀>는 미술 문외한에게도 익숙한 그림이다. 쿠션을 등에 받치고 오른손으로 책을 쥐어 든 소녀의 옆모습이 한껏 진지하다. 그런데 소녀는 왜 이렇게 작은 책을 읽고 있을까. 이 그림뿐 아니라 18세기 독서하는 여성을 묘사한 그림에서 그녀들은 약속이나 한 듯 작고 얇은 책을 들고 있다. 의문은 영문학자 린달 고든의 말을 통해 풀린다. 고든은 영국 작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1759~1797)의 전기에서 이렇게 적었다. “여자들은 배와 등을 판판하게 하고 가슴이 더욱 풍만해 보이도록 고안된, 단단한 고래수염으로 만들어진 코르셋을 입어야 했다. 고래수염 틀로 살을 감싸지 않은 여자는 외설적이라는 손가락질을 받아야 했다. 코르셋은 여자들의 움직임을 제약했다. 몸을 굽힐 수 없었기에 책을 읽으려면 손으로 세워 들어야 했다.” 이 설명대로라면 소녀는 볼록한 소매, 이리저리 접힌 치맛자락, 목에 두른 풍성한 주름의 칼라렛 띠, 무엇보다 가슴과 복부를 사정없이 누르는 코르셋의 방해를 받아가며 책을 읽고 있는 셈이다. 그런 그녀에게 작고 가벼운 책은 최선이었다.

이 시기 여성복은 몸을 옥죄고, 행동을 제약하는 감옥과 다름없었다. 슈미즈, 코르셋, 여러 겹의 패티코트, 스타킹 등 열 가지가 넘는 속옷을 챙겨 입은 뒤 바닥에 질질 끌릴 정도로 긴 드레스를 걸친 여자. 그녀가 혼자 뭘 할 수 있겠는가? 이렇게 무겁고 꽉 끼는 의복 탓에 여성은 일거수일투족을 타인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일례로 코르셋을 착용한 여성은 몸을 앞으로 숙일 수 없기에 다른 이에게 신발 끈을 묶어달라고 해야 했다. 물건을 떨어뜨렸을 때 당황한 듯 두리번거리며 남성이 주워 줄 때까지 부채만 파닥거린 것도 같은 이유다. 옷을 입고 벗을 때조차 혼자서는 불가능해 타인의 도움이 필요했다. 이러한 일상 속에서 여성들은 순종적이고 의존적인 여성상을 자연스레 학습할 수밖에 없었으리라. 영국 소설가 버지니아 울프의 말처럼 “우리가 옷을 입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옷이 우리를 입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가부장제가 바라는 바이기도 했다.

파리의 여성 바지 착용 금지 조례

그래서였을 것이다. 최초의 여성용 바지가 등장했을 때 사회가 경기에 가까운 반응을 보였던 것은. 1851년 여성운동가 아멜리아 블루머(1818~1894)는 불편한 드레스가 여성들의 신체와 정신을 구속한다는 생각에 자신의 이름을 딴 여성용 바지 ‘블루머’를 만들었다. 그런데 남성들의 반발이 예상보다 거셌다. 여성의 바지 착용을 ‘남성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곧 비난이 쏟아졌다. 런던의 잡지 <펀치>는 “남편들은 아내가 블루머를 입지 못하도록 당장 금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남편들이 드레스를 입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브래지어를 안 했다는 이유로 한 연예인을 괴롭힌 것과 비슷한 신경질적인 반응이었다. 이러한 반발에도 드레스라는 족쇄에서 탈출하려는 여성의 시도는 계속됐다. 그 분수령은 자전거였다. 19세기 말 자전거가 유행하며 여성들도 자전거를 타기 시작했는데, 드레스 자락이 바퀴에 말려 들어가 다치는 일이 많았다. 그제야 남성들은 여성의 바지 착용을 ‘안전을 위해’ 마지못해 묵인했다.

페데리코 잔도메네기, <자전거 만남>, 1878년, 캔버스에 유채, 프랑스 렌미술관.

파리에서 활동한 이탈리아 화가 페데리코 잔도메네기(1841~1917)는 이러한 여성복의 극적인 변화를 포착해 화폭에 담았다. 파리의 공원에서 블라우스에 검은색 바지를 입은 여인이 신나게 자전거 페달을 밟고 있다. 여전히 짙은 색 스타킹이나 레이스업 부츠로 다리를 가려야 했지만, 코르셋으로 조인 드레스보다 훨씬 편한 모습이다. 이처럼 바지는 여성들에게 해방의 상징이었으나, 그 때문에 남성들은 여성의 바지 착용을 불편한 눈으로 보았다. 프랑스에서는 그 흔적이 얼마 전까지 남아 있었다. ‘파리 여성의 바지 착용 금지 조례’(1800년부터 시행)가 그것이다. 비록 사문화된 지 오래지만, 파리 여성들이 바지를 입을 때 경찰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규정이 놀랍게도 2013년까지 잔존했다. “문제의 조례는 여성이 남자와 똑같이 옷을 입는 것을 막아 여성의 사회 진출을 제한하려는 취지로 제정된 것”이라는 프랑스 여성인권장관의 설명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코르셋 착용부터 치마 교복까지, 가부장제 사회는 옷을 통해 여성에게 인형처럼 ‘가만히 있으라’는 주문을 주입해온 것일지도 모르겠다.

몇 년만 지나면 내 딸도 중학생이 되어 교복을 입는다. 배정될 학교의 교복이 어떤지 찾아보니 예상대로 치마다. 전보다 여학생의 바지 교복 착용을 허용하는 학교가 늘어나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다. 여전히 치마를 원칙으로 하는 학교가 훨씬 많기 때문이다. 탈코르셋 열풍이 사회를 휩쓸고 있지만, 유독 학교는 무풍지대인 것 같다. 자유를 가르치려면 여학생에게 바지를 허하기를. 민주를 가르치려면 옷을 통해 여학생을 통제하려는 욕구부터 거두기를. ‘파리 여성의 바지 착용 금지 조례’가 있었다는 사실이 놀라운 것처럼, ‘여학생의 바지 착용 금지’ 규정이 21세기 학교에도 있었다는 게 곧 우스운 일이 되지 않겠는가.



이유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3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3 "인상주의의 아버지" 프랑스 화가 - 에두아르 마네 2017-01-25 0 2432
292 부조리한 세상의 일그러진 요지경을 햇빛색으로 그리다... 2017-01-25 0 2278
291 "위대한 그림작품이 해외에 팔려 나가지 않도록 박물관에..." 2017-01-25 0 3132
290 미국 추상표현주의 화가 - 잭슨 폴록 2017-01-22 0 4740
289 미국 락서추상화가 - 사이 트웜블리 2017-01-22 0 4783
288 2백萬 달라 상당한 미술작품에 키스하다... 2017-01-16 0 2159
287 미국 락서화가 - 키스헤링 2017-01-16 0 4001
286 "락서 같은 그림이 수백억원?..."=락서화가 장 미셸 바스키아 2017-01-15 0 7329
285 그림과 법, 그림과 음식, 그리고 명화의 세계 2017-01-15 0 2552
284 폐물로 그림을 그린 미술계 선구자 - 장 뒤뷔페 2017-01-15 0 4402
283 러시아적 미국 추상 표현주의 화가 - 마크 로스코 2017-01-15 0 4426
282 자화상은 고독과 고독이 부딪친 정물화이다... 2017-01-15 0 4515
281 저승에서라도 피카소를 보살펴야겠다고 목을 맨 녀인 2017-01-15 0 3399
280 천재 화가 피카소와 금발머리, 귀족 녀인들 2017-01-15 0 4459
279 그림아, 그림아, 억, 억, 어~억 억 "흙수저"들과는 못논다... 2017-01-15 0 3086
278 부부 화가 = 화가 부부 2017-01-15 0 1854
277 [쉼터] - 디자인이 변해가는 형형색색의 횡단보도 모음 2017-01-15 0 2018
276 [쉼터] - 커피로 그림을 그릴수 없다?... 있다!... 2017-01-07 0 1616
275 독일 "절망의 화가" - 뭉크 2017-01-07 0 2369
274 선입견으로 인하여 하고싶은것을 하기가 두렵습니다... 2017-01-07 0 1899
273 표현주의미술의 상륙을 재음미해보기... 2017-01-07 0 1937
272 천재의 화가 고흐의 자연을 다시 보다... 2017-01-07 0 1477
271 력사, 대도시, 벽촌 그리고 등호의 세계 2017-01-04 0 2106
270 천재화가와 "그 총은 누구의 것, 그 총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2017-01-02 0 3978
269 아시아 미술 수집계 "큰손"으로 미술시장 눈 뜨다... 2017-01-01 0 2108
268 이탈리아 누드 초상 화가 - 모딜리아니 2017-01-01 0 6278
267 프랑스 초현실주의 화가 - 앙드레 마송 2017-01-01 0 6157
266 "멋이 죽었구나, 멋쟁이가 갔구나"... 2016-12-31 1 2176
265 [쉼터] - 유명한 시상식과 "격식있는 차림새" 2016-12-30 0 1304
264 전 세계, 전 미술계, 전 시대적, "위작문제" 2016-12-29 0 1891
263 천재적 화가 남편과 "사랑헌신주의" 화가 안해 2016-12-29 0 4176
262 세계에서 제일 비싼 그림 1~20 2016-12-29 0 2037
261 세계에서 가장 비싼 그림 1~10 2016-12-29 0 2421
260 세계 가장 유명한 그림 7매 2016-12-29 0 1686
259 미국 추상표현주의 운동 기수 - 잭슨 폴락 2016-12-29 0 3048
258 [그것이 알고싶다] - 별천지 하늘을 사진으로 어떻게 찍을까? 2016-12-27 0 1868
257 글쓰고 책만들기는 힘들지만 근드리로 책페물하기는 쉽다... 2016-12-26 0 1447
256 [문학예술계소사전] - "팝 아트"란? "팝 아티스트"란? "아트테이너"란? "고스트라이터"란? 2016-12-23 0 2461
255 미국 젊은 사진작가 - 벤 장크 2016-12-19 0 3970
254 희귀한 사진, 신비한 자연, 그리고 록색보호평화주의者 2016-12-19 0 1384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