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년 01월 24일 00시 57분  조회:4196  추천:0  작성자: 죽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 /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윤동주의 유고시집. 1948년 정음사 간행

개설

B6판. 72면. 작자의 유고시집으로, 초간본은 1948년 정음사(正音社)에서 간행하였다. 정지용(鄭芝溶)의 서문과 강처중(姜處重)의 발문 및 유령(柳玲)의 추모시와 더불어 「서시(序詩)」를 포함한 31편의 시가 3부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시집은 원래 윤동주가 연희전문학교 문과졸업기념(1941)으로 자신이 고른 시 19편을 77부 한정판으로 출판하기 위하여, 우선 자필로 3부를 만들어 이양하(李敭河)와 후배 정병욱(鄭炳昱)에게 각각 한 부씩 주고 한 부는 자신이 간직하였다고 한다. 그 때 이양하가 일제 검열의 통과 여부를 걱정하여 시집 출간을 만류하였기 때문에 보류되었던 것을 광복 후 정병욱의 주선으로 유고 31편을 모아 처음 간행하였다.

원래 이 시집의 제목은 ‘병원(病院)’으로 붙일 예정이었다고 하는데, 정병욱의 회고에 의하면 ‘당시의 세상이 온통 환자투성이’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내용

제1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에는 「자화상」·「소년」·「눈 오는 지도(地圖)」·「또다른 고향」·「별헤는 밤」 등 18편, 제2부 ‘흰그림자’에는 「흰그림자」·「사랑스런 추억」·「쉽게 쓰여진 시」 등 5편, 제3부 ‘밤’에는 「밤」·「유언」·「참회록」 등 7편이 각각 실려 있다.

이후 윤동주의 10주기를 맞아 1955년 정음사에서 간행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아우 윤일주(尹一柱)의 「선백(先伯)의 생애」가 첨가 수록되었다. 1968년 정음사에서 간행한 증보판 시집은 시 66편, 동시 22편, 산문 5편이 5부로 나뉘어 실려 있고, 백철(白鐵)의 「암흑기 하늘의 별」, 박두진(朴斗鎭)의 『윤동주의 시』, 그리고 장덕순(張德順)·문익환(文益煥) 두 사람의 글이 회고 형식으로 실려 있고 연보가 붙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시집에 실린 작품들은 윤동주의 뿌리 깊은 고향 상실 의식과, 어둠으로 나타난 죽음에 대한 강박관념 및 이 모두를 총괄하는 실존적인 결단의 의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윤동주의 작품 경향은 어둠의 색채로 물들어 있고, 밤의 이미지로 가득 차 있을 정도로 절망과 공포, 그리고 비탄 등 부정적 현실이 팽배하고 있다. 이는 윤동주의 현실 인식이 비극적 세계관에 자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동시에, 불변하는 것에 대한 이상과 염원은 일제 암흑기를 이겨나가는 예언적인 시인의 모습을 나타내어준다.

===============///
 

 

故 최영해 정음사 대표 장남 동식씨, 선친 탄생 100주기 맞아 공개

 
 
1.jpg

 
윤동주(1917∼1945) 시인의 유고 시집이자 첫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최초본(사진)이 공개됐다. 이 시집에는 ‘서시’ ‘별 헤는 밤’ ‘십자가’ 등의 시들이 담겨 있다.

이 시집을 펴낸 정음사 최영해(1914∼1981) 대표의 장남 최동식(71) 고려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27일 윤동주 시인의 3주기(1948년 2월 16일) 추도식에 헌정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최초 본을 공개했다. 최 교수는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1894∼1970) 선생의 손자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선친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오랫동안 간직하던 최초본을 공개한다”며 “윤동주 시인의 지인들이 시인의 3주기에 맞춰 시집 출간을 준비했는데 출간이 늦어지자 급히 만든 시집 10권을 추도식에 헌정했다는 얘기를 선친에게서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시집의 본문을 다 만들어 발간일을 1월 30일로 잡았는데 표지 때문에 발간을 못 하고 있다가 동대문시장에서 구한 섬유질로 된 벽지를 마분지에 입혀 표지를 만든 뒤 시집 10권을 급하게 제본해 3주기 추도식에 가져갔다”고 전했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최초본은 같은 해 발간된 초판본과 정지용 시인이 쓴 서문, 본문, 인쇄 및 발행 일자, 속표지 등은 같지만 파란색의 겉표지가 없다. 최 교수는 “초판본은 1000부정도 만든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중 10권만 따로 뽑아서 제본해 3주기 추도식에 가져갔고 나머지는 제대로 된 파란색 표지를 만들어 한 달 후쯤 발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초판본은 당시 보기 드물게 가로쓰기로 되어 있다.

/한승주 기자

=====================///




윤동주 유고 시집 초판본과 증판본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초판본, 1948

아래) 윤동주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55년 정음사 

 


 

 
〈서시〉를 비롯한 19편의 시가 실린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윤동주의 육필 시고집을 그가 죽고 나서 해방 뒤에야 비로소 책으로 출간.
1948년(3주기)에 나온 초판본(왼쪽)과 1955년(10주기)에 나온 증판본

 

 

===============///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초판본 1천300만원 낙찰 - 2



1948년 발간된 윤동주 시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초판본이 지난 21일(2015년 1월), 경매에서 1천300만원에 낙찰됐다.

23일 (2015년 1월), 경매사 코베이에 따르면 정음사에서 발간된 윤동주의 초판본은 시작가 250만원에 경매에 들어가 경합 끝에 1300만원에 낙찰됐다. 

코베이 관계자는 "지난 2013년에도 같은 책의 초판본이 출품돼 390만원에 낙찰된 적이 있지만 이번 출품작은 보존 상태가 훨씬 좋아 높은 가격에 낙찰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경매에선 이광수의 '무정' 5판본이 750만원에 낙찰됐다.

/박태훈 기자 

 

 

================///
 

 

윤동주 원고 원본
윤동주 시 원고 노트 원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90 "자그마한 세계" 2018-06-14 0 2497
10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공상 2018-06-14 0 5037
1088 "비가 온다야 개미야 대문 걸어 잠궈라"... 2018-06-13 0 2510
10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공 2018-06-12 0 4572
1086 "꽃씨가 되여봄은..." 2018-06-12 0 2292
10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래일은 없다 2018-06-11 0 3483
1084 "우리는 '바다'에 관한 시를 쓸줄 모르외다"... 2018-06-11 0 2514
10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삶과 죽음 2018-06-11 1 8902
10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초한대 2018-06-10 0 5238
1081 "할머니가 흘러간 그 시간의 탑이지요"... 2018-06-09 0 2563
1080 중국인민해방군 군가, 조선인민군행진곡 작곡가 - 정률성 2018-06-08 0 5213
1079 동시는 개구쟁이 애들처럼 써라... 2018-06-07 0 2521
1078 "너 이름 뭐니...." 2018-06-07 0 2577
1077 별, 별, 별... 2018-06-06 0 2452
1076 동시창작 다양화를 두고 / 김만석 2018-06-03 0 2621
1075 "삶의 꽃도 무릎을 꿇어야 보인다"... 2018-06-02 0 2486
1074 "나무들이 작은 의자를 참 많이도 만든다"... 2018-06-02 0 2537
1073 "엄마와 아빠는 늘 바쁜 바다랍니다" 2018-05-31 0 2611
1072 "쌍둥밤은 엄마하고 냠냠"... 2018-05-30 0 2433
1071 "소나무는 꿈을 푸르게 푸르게 꾸고 있다"... 2018-05-30 0 2787
1070 "햇살 한 줄기 들길로 산책 나왔다"... 2018-05-28 0 2503
1069 "조선의 참새는 짹짹 운다" 2018-05-26 0 2500
1068 천재시인 李箱의 련작시 "오감도 제15호" 뮤지컬로 태여나다 2018-05-24 0 2780
1067 맹자 명언 2018-05-22 0 3930
1066 노자 도덕경 원문 . 해설 2018-05-22 0 4907
1065 노자(老子) 도덕경 명언 명담 2018-05-22 0 3657
1064 노자 도덕경 명언 모음 2018-05-22 0 6438
1063 중국 노나라 유교 시조 사상가 교육자 - 공구(공자) 2018-05-22 0 6804
1062 중국 춘추시대 현자 - 노담(노자) 2018-05-22 0 4907
1061 "돌멩이를 아무데나 던지지 마세요"... 2018-05-22 0 2471
1060 김철호 / 권혁률 2018-05-16 0 2719
1059 미국 녀류화가 - 그랜드마 모제스 2018-05-04 0 4996
1058 청나라 화가, 서예가 - 금농 2018-05-04 0 4550
1057 청나라 가장 유명한 양주팔괴 서예가들 2018-05-04 0 2715
1056 "사랑의 깊이는 지금은 모릅니다"... 2018-05-04 0 2505
1055 미국 시인 - 칼릴 지브란 2018-05-04 0 4395
1054 박문희 시를 말하다(2) / 최룡관 2018-05-02 0 2898
1053 박문희 시를 말해보다 / 김룡운 2018-05-02 0 3121
1052 "산노루" 와 "숫자는 시보다도 정직한것이었다"... 2018-04-26 0 2671
1051 축구세계, 시인세계... 2018-04-25 0 3307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