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년 01월 24일 00시 57분  조회:4201  추천:0  작성자: 죽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 /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윤동주의 유고시집. 1948년 정음사 간행

개설

B6판. 72면. 작자의 유고시집으로, 초간본은 1948년 정음사(正音社)에서 간행하였다. 정지용(鄭芝溶)의 서문과 강처중(姜處重)의 발문 및 유령(柳玲)의 추모시와 더불어 「서시(序詩)」를 포함한 31편의 시가 3부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시집은 원래 윤동주가 연희전문학교 문과졸업기념(1941)으로 자신이 고른 시 19편을 77부 한정판으로 출판하기 위하여, 우선 자필로 3부를 만들어 이양하(李敭河)와 후배 정병욱(鄭炳昱)에게 각각 한 부씩 주고 한 부는 자신이 간직하였다고 한다. 그 때 이양하가 일제 검열의 통과 여부를 걱정하여 시집 출간을 만류하였기 때문에 보류되었던 것을 광복 후 정병욱의 주선으로 유고 31편을 모아 처음 간행하였다.

원래 이 시집의 제목은 ‘병원(病院)’으로 붙일 예정이었다고 하는데, 정병욱의 회고에 의하면 ‘당시의 세상이 온통 환자투성이’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내용

제1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에는 「자화상」·「소년」·「눈 오는 지도(地圖)」·「또다른 고향」·「별헤는 밤」 등 18편, 제2부 ‘흰그림자’에는 「흰그림자」·「사랑스런 추억」·「쉽게 쓰여진 시」 등 5편, 제3부 ‘밤’에는 「밤」·「유언」·「참회록」 등 7편이 각각 실려 있다.

이후 윤동주의 10주기를 맞아 1955년 정음사에서 간행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아우 윤일주(尹一柱)의 「선백(先伯)의 생애」가 첨가 수록되었다. 1968년 정음사에서 간행한 증보판 시집은 시 66편, 동시 22편, 산문 5편이 5부로 나뉘어 실려 있고, 백철(白鐵)의 「암흑기 하늘의 별」, 박두진(朴斗鎭)의 『윤동주의 시』, 그리고 장덕순(張德順)·문익환(文益煥) 두 사람의 글이 회고 형식으로 실려 있고 연보가 붙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시집에 실린 작품들은 윤동주의 뿌리 깊은 고향 상실 의식과, 어둠으로 나타난 죽음에 대한 강박관념 및 이 모두를 총괄하는 실존적인 결단의 의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윤동주의 작품 경향은 어둠의 색채로 물들어 있고, 밤의 이미지로 가득 차 있을 정도로 절망과 공포, 그리고 비탄 등 부정적 현실이 팽배하고 있다. 이는 윤동주의 현실 인식이 비극적 세계관에 자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동시에, 불변하는 것에 대한 이상과 염원은 일제 암흑기를 이겨나가는 예언적인 시인의 모습을 나타내어준다.

===============///
 

 

故 최영해 정음사 대표 장남 동식씨, 선친 탄생 100주기 맞아 공개

 
 
1.jpg

 
윤동주(1917∼1945) 시인의 유고 시집이자 첫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최초본(사진)이 공개됐다. 이 시집에는 ‘서시’ ‘별 헤는 밤’ ‘십자가’ 등의 시들이 담겨 있다.

이 시집을 펴낸 정음사 최영해(1914∼1981) 대표의 장남 최동식(71) 고려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27일 윤동주 시인의 3주기(1948년 2월 16일) 추도식에 헌정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최초 본을 공개했다. 최 교수는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1894∼1970) 선생의 손자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선친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오랫동안 간직하던 최초본을 공개한다”며 “윤동주 시인의 지인들이 시인의 3주기에 맞춰 시집 출간을 준비했는데 출간이 늦어지자 급히 만든 시집 10권을 추도식에 헌정했다는 얘기를 선친에게서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시집의 본문을 다 만들어 발간일을 1월 30일로 잡았는데 표지 때문에 발간을 못 하고 있다가 동대문시장에서 구한 섬유질로 된 벽지를 마분지에 입혀 표지를 만든 뒤 시집 10권을 급하게 제본해 3주기 추도식에 가져갔다”고 전했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최초본은 같은 해 발간된 초판본과 정지용 시인이 쓴 서문, 본문, 인쇄 및 발행 일자, 속표지 등은 같지만 파란색의 겉표지가 없다. 최 교수는 “초판본은 1000부정도 만든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중 10권만 따로 뽑아서 제본해 3주기 추도식에 가져갔고 나머지는 제대로 된 파란색 표지를 만들어 한 달 후쯤 발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초판본은 당시 보기 드물게 가로쓰기로 되어 있다.

/한승주 기자

=====================///




윤동주 유고 시집 초판본과 증판본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초판본, 1948

아래) 윤동주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55년 정음사 

 


 

 
〈서시〉를 비롯한 19편의 시가 실린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윤동주의 육필 시고집을 그가 죽고 나서 해방 뒤에야 비로소 책으로 출간.
1948년(3주기)에 나온 초판본(왼쪽)과 1955년(10주기)에 나온 증판본

 

 

===============///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초판본 1천300만원 낙찰 - 2



1948년 발간된 윤동주 시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초판본이 지난 21일(2015년 1월), 경매에서 1천300만원에 낙찰됐다.

23일 (2015년 1월), 경매사 코베이에 따르면 정음사에서 발간된 윤동주의 초판본은 시작가 250만원에 경매에 들어가 경합 끝에 1300만원에 낙찰됐다. 

코베이 관계자는 "지난 2013년에도 같은 책의 초판본이 출품돼 390만원에 낙찰된 적이 있지만 이번 출품작은 보존 상태가 훨씬 좋아 높은 가격에 낙찰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경매에선 이광수의 '무정' 5판본이 750만원에 낙찰됐다.

/박태훈 기자 

 

 

================///
 

 

윤동주 원고 원본
윤동주 시 원고 노트 원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70 "우리집마당에 자라는 애기똥풀 알아보는데 아홉해나 걸렸다"... 2018-02-28 0 2292
969 편복 / 리육사 2018-02-28 0 2652
968 어린이의 인생을 지옥으로 연출해내면 엄마가 아니다... 2018-02-26 0 2240
967 詩 = 詩人 = 詩 2018-02-25 0 2475
966 "연변문학은 '고립된 섬'에서 해탈해야 '지옥'에 안간다"... 2018-02-21 0 2440
965 詩가 "잠꼬대 하기", "눈물코물 쥐여짜기" "자화상"되지말기 2018-02-21 0 2580
964 시는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며 직설이 아니라 우설이다... 2018-02-21 0 7714
963 우리 詩가 때벗이 해야 할 리유,- "그리지 않고 그리기" 2018-02-20 0 2612
962 한시 모음 2018-02-20 0 3040
961 <고향> 시모음 2018-02-20 0 2871
960 헝가리 민중시인 - 아틸라 요제프 2018-02-19 0 4091
959 윤동주, 헝가리의 밤하늘가에 샛별로 처음 뜨다... 2018-02-19 0 2408
958 세계문학사 유례없는 20대 천재 시인 - 윤동주 2018-02-18 0 2283
957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2018-02-14 0 2197
956 <숟가락> 시모음 2018-02-11 0 2319
955 <삶=사람=삶> 시모음 2018-02-09 0 2606
954 <삶> 시모음 2018-02-07 0 3292
953 <민들레> 시모음 2018-02-06 0 2288
952 <자연> 시모음 2018-02-06 0 2236
951 배금주의와 향락주의 작품은 실패작 2018-02-03 0 2306
950 <이사> 시모음 2018-02-03 0 3716
949 {쟁명} - 단편 시가 영 詩맛 안나는데 시라 해ㅠ... 2018-02-03 0 2422
948 "공부벌레"는 담장을 뚫고 날아오를수가 있다... 2018-02-03 0 1891
947 <신발> 시모음 2018-02-02 0 2582
946 마음의 휴식이 필요한 요즘, 시를 감상하기.. 2018-02-02 0 2379
945 "한알은 날짐승 주고, 또 한알은 들짐승 먹고 남은 한알은..." 2018-02-01 0 2562
944 <새> 시모음 2018-02-01 0 3757
943 "나는 인생을 증오한다"... 2018-01-30 0 2307
942 과연 당신만의 "십자가"를 짊어질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 2018-01-30 0 2074
941 윤동주 친구, 문익환 다시 알기... 2018-01-29 0 3535
940 <할아버지> 시모음 2018-01-27 0 2515
939 <할머니> 시모음 2018-01-27 0 2320
938 <술> 시모음 2018-01-25 0 2400
937 "자본가는 돼지가 되고 시인은 공룡이 된다"... 2018-01-25 0 2503
936 <개> 시모음 2018-01-23 0 2646
935 무소유와 삶과 죽음과 그리고... 2018-01-23 0 2687
934 "나는 그냥 나 자신이면 됩니다"... 2018-01-19 0 2166
933 인류의 가장 위대한 노래 - 아리랑 2018-01-10 0 3984
932 노래 "아리랑"속에 말못할 "비밀"이 없다?... 있다!... 2018-01-10 0 2553
931 보르헤스 시학 / 한편의 시가 여려편의 번역 시 비교 2018-01-10 0 2822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