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애기의 새벽
2019년 01월 13일 01시 12분  조회:3712  추천:0  작성자: 죽림
 

 

윤동주

/애기의 새벽


우리 집에는
닭도 없단다. 
다만
애기가 젖 달라 울어서
새벽이 된다. 

우리 집에는
시계도 없단다. 
다만
애기가 젖 달라 보채서
새벽이 된다.     


@@
1930년대 식민지의 밤은 깊었다.
집 나간 자식 생각에 새벽 닭이 울었던 시절이다.
그런 닭도 없는 가난이었고 시계도 없는 맨 살림이었다.
다만 아기만이 넉넉지 못한 젖 먹고 자고 나서 울면 그것이 새벽이었다.

오늘날은 너나 없이 시계에 묻혀 살고
시간의 노예가 되었다.
시간만 있고 인간은 어디 가고 없는 것인가.                                         



================================///

@@


닭도 없고 시계도 없던 가난했던 시절에는
애기의 울음이 새벽을 깨웠습니다.
삶은 고달팠지만 사람 사는 멋은 있었습니다.
닭이 있으니 물질적으로 풍족하기는 하지만,
사람들은 닭 소리에 놀라 일어나고 닭을 돌보느라 하루 종일 정신 없이 삽니다.
시계가 있어 새벽을 깨우지만,
사람들은 하루 종일 시계의 노예가 되어버립니다.
시계의 똑딱거리는 경고 소리에 쫓겨 살며, 자신도 시계가 되어버렸습니다.
오늘도 바쁘게 살아가는 시간에, 젖 달라며 보채는 아기 울음 소리가 귓가에 울리며
사람 사는 향취를 추억 속에서 끌어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70 수선화야, 나와 놀자... 2017-06-24 0 2179
569 시의 제목이 때때로 주제를 요약하거나 암시하게 한다... 2017-06-24 0 2402
568 작가들의 책 증정은 타인의 존중이자 자아관리이다... 2017-06-24 0 3213
567 흑토변 시인 한영남, 두만강역 시인 윤청남 시집 "꽃" 피우다... 2017-06-24 0 3143
566 "6월"의 시모음 2017-06-24 0 2512
565 시는 어휘의 빈곤, 경박한 멋부리기, 산만한 이미지 등은 금물... 2017-06-24 0 2237
564 "손에 쥐고 있는것들이 갑자기 사라지는 날이 있다"... 2017-06-24 0 2187
563 시를 읽을 때, 일단 그 시를 읽고 그림을 미리속에 그려라... 2017-06-24 0 2595
562 시인은 지성과 감성, 사고와 감정이 늘 융합통일이 되여야... 2017-06-24 0 2239
56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6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86
56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강원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096
55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황해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76
55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경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689
55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연변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755
55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북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865
55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야생화 이름의 유래... 2017-06-19 0 2420
5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재미있는 식물, 나무이름의 유래... 2017-06-19 0 2655
553 중국 "양주팔괴"의 한사람 - 정판교 2017-06-19 0 4783
552 민들레야, 나와 놀자... 2017-06-19 0 2484
551 시작은 시에 생명이 없는것에 새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이다... 2017-06-19 0 2303
550 망초꽃아, 나와 놀자... 2017-06-18 0 2275
549 시창작에서 고독은 최고의 창작환경이다... 2017-06-18 0 2111
548 시는 언어로 만들어진 그림... 2017-06-18 0 2362
547 [작문써클선생님들께]-프랑스 비행사 작가 생텍쥐페리 명언... 2017-06-16 0 6167
546 제비꽃아, 나와 놀자... 2017-06-16 0 2139
545 인류 최초의 시인은 원시사회에서 신체적 불구자???... 2017-06-16 0 2485
544 세계적 글쟁이들이 글쓰기 조언 41 2017-06-16 0 2387
543 장미꽃아, 나와 놀자... 2017-06-15 0 2355
542 시인은 자기자신의 원고를 "퇴고"할줄 알아야... 2017-06-15 0 2463
541 "오월의 짧은 그림자"야, 섭섭하다... 다시 놀자... 2017-06-14 0 3660
540 철쭉아, 나와 놀자... 2017-06-14 0 2414
539 시적 탐구의 과정은 곧 삶의 잉여적 표현이다... 2017-06-14 0 2290
538 시인의 눈물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렌즈"이다... 2017-06-14 0 2718
537 진달래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309
536 개나리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748
535 시작은 내적인 노예상태를 까부수어 나아가는 과정이다... 2017-06-12 0 2109
534 시인은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또 하나의 열쇠가 있어야... 2017-06-12 0 2398
533 시인의 눈은 저 쪽의 세계를 명징하는 고감도의 눈이여야... 2017-06-09 0 2551
532 음악 전통속에서 새로운 시적인 표현을 만들어내다... 2017-06-09 0 2117
531 벗꽃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405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