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북방언" 알아보다...
2017년 06월 20일 00시 41분  조회:3802  추천:0  작성자: 죽림

요약 한반도의 동북부인 함경북도와 정평 이북의 함경남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동북 방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북 방언(東北方言)은 한국어의 대방언권 중 하나이다. 흔히 함경도 사투리라고 하나, 실제 분포 지역은 함경남북도(함경남도 영흥군(永興郡) 이남 지역은 제외) 및 평안북도 후창군(厚昌郡), 중국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일대이다.

아울러 19세기경 많은 함경도 주민들이 러시아의 극동 지방으로 이주해 갔기 때문에, 이 방언은 중앙아시아 한국어(고려말)와도 가까운 관계에 있다.

한편, 두만강 일대에서 쓰이는 방언을 따로 육진 방언(六鎭方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밑에 설명할 내용은 모두 육진 방언을 제외한 동북 방언의 특징이다.

 

 

음운[편집]

음운 체계[편집]

모음은 ㅣ', ㅔ, ㅐ, ㅟ, ㅚ, ㅡ, ㅓ, ㅏ, ㅜ, ㅗ'의 10 모음 체계이나, 젊은 층으로 갈 수록 'ㅟ'와 'ㅚ'가 다른 음으로 바뀌고 있다.[1]

이 방언은 말의 높낮이로 뜻을 구분하는 성조(聲調) 언어다. 길주성진단천 지역어는 고조, 저조, 상승조의 세 성조소를 가지고 있다. 이 방언에서 중세 한국어의 거성은 '고조', 평성은 '저조', 상성은 '상승조'로 실현된다. 그밖의 지역은 고조와 저조만이 쓰이며, 중세 한국어의 '거성'과 '상성'은 '고조'로 실현된다.

평성은 '저조'로 실현된다. 이 방언에서는 동남 방언과는 달리 중세 한국어 단어의 성조와 규칙적으로 대응한다. 이를테면 ':말(言, 상성)'은 지역에 따라 '상승조'나 '고조'로 나타나며, '말(斗, 거성)'은 고조, '말(<, 馬)'은 저조로 나타난다.

음운 변화[편집]

어말의 'o[ŋ]', 또는 모음과 'ㅣ' 사이에 있는 'o[ŋ]'이나 'ㄴ'이 탈락하면서 선행모음을 비모음화한다. 구개음화는 서북 방언과 달리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ㅣ'나 반모음음 '[j]' 앞에서 어두의 'ㄴ, ㄹ'이 탈락되었다. 'ㅅ, ㅈ, ㅊ' 뒤에서 'ㅡ'가 'ㅣ'로 변하는 전설모음화는 아니 일어났다.

문법[편집]

형태론[편집]

'ㅂ', 'ㅅ', 'ㄷ' 불규칙 활용이 없으며, 이는 경상도 사투리와 같다.

  • 예)고부니[고우니], 저스니[저으니], 들꼬[듣고], 드르니[들으니]

문법 형태[편집]


  • 조사

주격 조사로는 '-이'가 쓰이나, '-이가'가 점차 세력을 넓혀간다. 대격 조사는 모음으로 끝난 명사에는 '-르', 자음으로 끝난 명사에는 '-으'가 쓰인다. 속격 조사는 '-으'가 쓰인다. 공동격 조사는 '-가'가 쓰인다. 여격 조사는 '-께(-끼)'(평대), '으게'(존대)가 쓰인다.

  • 어미

이 방언에서 상대 경어법은 3등급 뿐이다. 이에 따른 종결 어미는 다음과 같다.

- 하대 평대 존대
서술 -음/슴, -ㄴ다 -음/슴메, -오/소, -지비(함남) -읍/습메다, -우/수다(함남), -오/소다
의문 -니, -냐 -습/습메, -오/소, -지비(함남) -습/습메다
명령 -으라이, -아/어라 -오/소 -읍/습소세, -읍/습소, -우/수다
청유 -자 -읍/습세, -기오, -지비(함남) -읍/습세다, -지오다

  • 통사론

부정부사 '안/아니, 못'을 합성 용언의 중간에 끼워 넣는다. 예) 먹어 아니 바쏘 (먹어 보지 않았다)

어휘[편집]


  • 고어의 잔재

간대르사(설마), 기티다(남기다), 나조(저녁), 널:다(씹다), 드티우다(건드리다), 무리(우박), 슷다(물기를 수건 따위로 닦다), 신다리(허벅지), 얻어보다(찾다), 우뿌다(우습다), 자개미(겨드랑), 쯤(틈), 허튀(종아리).


  • 중부 방언과 의미차를 보이는 단어

'어지럽다'는 [亂], [繁]의 의미다. [眩]의 의미일 때에는 '어립다'라 한다. '어렵다'는 '어른 앞에서 담배 피우기 어렵다' 또는 '어찌할 수 없게 되다'라는 뜻이며, '문제 풀기가 어렵다'의 '어렵다'는 '바쁘다'라고 한다.


  • 친족 호칭어

'아재'(고모, 이모), '아바니, 큰(클)아배, 큰(클)아바니, 한아바니, 한애비'(祖父), '아매, 우매, 아마이, 큰(클)아매'(祖母).

관련 항목[편집]

각주[편집]

  1. 이동 ...조사한 바에 의하면, 함남 함주 출신의 50대 제보자는 불안정한 8모음 체계였다.
  2. 그리고 중국에 거주하는 전통적인 육진 방언 화자는 9모음 체계,
  3. 함북 명천 방언 화자는 8모음 체계였다.", /곽충구, 새국어생활, 1998 겨울.

==========================================
흔히 함경도방언이라고도 하지만 이 방언의 분포가 영흥 이남의 함경남도 지역에는 미치지 못하므로 함경도방언이라 하는 것은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동북방언이 쓰이는 지역은 고려 중기 이후 조선 초기까지 한반도 중부지역 이북 출신자들의 이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고려 중기 이후의 무신집권과 몽고의 침략에서 비롯된 정치·경제·사회의 혼란으로 인하여 생겨난 유민 집단이 고려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함경남도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조선의 성립 이후 그 통치영역이 두만강변까지 확대됨에 따라 이들이 함경도 북부지역으로 이주해갔다. 따라서 동북방언은 이주민들의 방언이 이 지역 토착민들의 방언과 결합함으로써 독특한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낭림산맥 등과 같은 지리적 장애에 의하여 중앙어나 서북방언과는 다른 독자적인 발달을 해왔다.

동북방언은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등의 8모음체계를 가지며 동남방언과 마찬가지로 성조방언이다. 동북방언은 대체로 고조·저조의 두 성조소를 가지는데 함경북도 길주·학성과 이 지역에 인접해 있는 함경남도 단천지역에는 고조·저조 및 상승조의 3개의 성조가 있다.

동북방언은 전설고모음화에 대한 저항, 어간말 자음군단순화 등에서 서북방언과 공통적 모습을 보이는 바 'ㅅ, ㅈ, ㅊ' 뒤에서 'ㅡ'가 'ㅣ'로 변하는 전설모음화는 일어나지 않으며 'ㄺ, ㄼ' 등의 어간말 자음군은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구개음화는 서북방언과 달리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ㅣ' 또는 활음 'y' 앞에서 어두의 'ㄴ, ㄹ'도 탈락되었다(치[키], 숭[흉], 여자[女子]). 그런데 15세기 세종의 6진 개척과 더불어 이주가 진행된 6진지역의 방언은 서북방언과 마찬가지로 구개음화나 'ㅣ' 또는 활음 'y' 앞에서 어두 'ㄴ'의 탈락을 겪지 않았다는 점에서 6진방언을 동북방언과 구분하기도 한다.

동북방언은 어말의 'o[ŋ]' 또는 모음과 모음 'ㅣ' 사이에 있는 'o[ŋ]'이나 'ㄴ'이 탈락하면서 선행모음을 비모음화한다. 동북방언에는 'ㅂ' 변칙과 'ㅅ' 변칙 용언뿐 아니라 'ㄷ'변칙 용언도 존재하지 않는다(고부니[고우니], 저스니[저으니], 들꼬[듣고], 드르니[들으니]).

동북방언에서 주격조사로는 '-이'가 쓰이며 자음 말음 체언 뒤에서 '-이'가 쓰이기도 한다. 목적격조사로 '-(ㄹ)으'가, 특수조사로 '-느'가 쓰이는 것도 이 방언의 한 특징이다. 동북방언의 특징적 어미로는 존대의 설명종결어미 '-ㅁ다, -(스)ㅁ(니), -(ㅅ)우다', 평대의 설명종결어미 '-와, -스메', 하대의 설명종결어미 '-(다)이', 존대의 의문종결어미 '-ㅁ(니)까', 평대의 청유종결어미 '-기요, -ㅂ세', 이유표시어미 '-니까니, -니까나, -이까데', 조건표시어미 '-문, -무, -므' 등이 있다. 부정부사 '안/아니, 못'을 쓰는 부정에서 부정부사를 복합용언의 중간에 끼워 넣는 것도 동북방언의 한 특징이다(먹어 아니 바쏘[먹어 보지 않았다], 말 알아 못 듣소[말을 알아듣지 못하다]).
=====================

송애기 >> 송아지

고냉이 >> 고양이

도새기 >> 돼지

강생이 >> 강아지

중이 >> 쥐

구젱기 >> 소라

골개비 >> 개구리

생이 >> 새

베랭이 >> 벌레

겡이 >> 게

몽생이 >> 망아지

물꾸럭 >> 문어

곤밥 >> 쌀밥

돗괴기 >> 돼지고기

쇠괴기 >> 소고기

놈삐 >> 무우

마농 >> 마늘


 

소나이 >> 남자

지집아이 >> 여자

하르방 >> 할아버지

할망 >> 할머니

아방 >> 아버지

괸당 >> 친척

홀아방 >> 홀아비

좀녀 >> 해녀

비바리 >> 처녀

넹바리 >> 시집간처녀

작산거 >> 어른 정도의사람

베야지 >> 배

대망생이 >> 머리

등땡이 >> 등

또꼬망 >> 똥구멍

모감지 >> 멱살

상판 >> 얼굴

구뚱배기 >> 귀쪽 뺨

임댕이 >> 이마

정강이 >> 종아리

야게기 >> 목

저깽이 >> 겨드랑이

허운데기 >> 머리카락

펜중룽히 >> 태연히

오고생이 >> 고스란히

역불로 >> 일부러

게무로 >> 설마

금착 >> 놀라다

엄블랑호다 >> 엄청나다

느랏느랏 >> 느릿 느릿

맬록 >> 매롱!

몬딱 >> 모두

왁왁호다 >> 캄캄하다

조꼴락호다 >> 조그맣다

좀질다 >> 가늘다

패랍다 >> 까다롭다

간세 >> 게으름

봉끄랑 >> 빵빵하다

데싸지다 >> 넘어지다

고끼다 >> 숨막히다

들럭퀴다 >> 날 뛰다

조들다 >> 걱정하다

용심내다 >> 화내다

속솜허다 >> 잠잠하다

소도리호다 >> 소문내다

요망지다 >> 똑똑하다

갈라지다 >> 헤어지다

멘도롱하다 >> 뜨겁지 않고 적당하다

걸러지다 >> 거꾸러지다

괄락괄락 >> 물을 한번에 많이 마시다

어중구랑호다 >> 우유부단하다

대화

  어떵 살아 점쑤꽈? 펜안 햇수꽈? ( 어떻게 살고 있습니까? 편안하십니까?)

이거 얼마꽈? (이거 얼마입니까?)

칼호텔이 어디 이쑤꽈? (칼호텔이 어디 있습니까?)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와리지 말앙, 촌촌이 고르라 보게. ( 너무 서두르지 말고서, 천천히 말해 보아라.)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무싱거 호미꽈? 도르멍 옵서. ( 뭐 하십니까? 뛰어서(빨리) 오십시오.)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무사경 몽캐미꽈? 혼저 옵서게. (뭘 그리 늦장 부리십니까? 빨리 오십시오.)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무사 경 다울렴디? (왜 그렇게 재촉하느냐?)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기시린 도새기가 돌아맨 도야지 나무란다. ( 그을린 돼지가 달아맨 돼지 나무란다.)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둥그리멍 키웁서. 경 해사 실호게 큽니다. ( 고생시키면서 키우세요. 그래야 튼튼하게 자랍니다.)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혼저 왕 먹읍서. 맨도롱 했수과? 혼게 먹기 좋았수다. 맨도롱 홀 때 호로록 들여 싸붑서.
    (어서 와서 먹으십시오. 따뜻합니까? 따끈따끈한 것이 먹기에 꼭 좋았습니다. 따뜻할 때 후루룩 마셔 버리십시오.)
 

표준어 방언

장인-가새비

가위-가세, 가새

가시나-간나, 간나새끼

멍석-건치

그루터리-거적글거리

줄거리-글거리

갯벌-깔태밭

껍질-껍지

녹말-녹마

누에-누베

황소-둥글소, 둥구리

파도-멀기

나무라다-나무리다

빨리-날래, 서답

낭떠러지-낭
==========================

 

 

함경도 방언 : 방언(표준어) 보름(바람)/ 볼써(벌써)/ 볿다(밟다)/ 몰(말)
                          마우재(러시아인)/ 빙고(썰매)/ 재앵교(자전거)
                          거르망(호주머니)/ 가름다시(연필)/
나조(저녁)/ 우뿌다(우습다)
                          나시(냉이)/ 누부리(고을)/ 술기(수레)
 까막조개-바지락, 껍지-껍질, 멀기-파도, 아조-아주, 알-아래, 울레-산,
이팝-쌀밥, 자봉침-제봉틀, 정낭-화장실, 제짜불싸-비스듬이, 조가지-조개,
조이-조, 조이밭-조밭, 채쭉-채찍, 초매(초마)-치마, 파리-썰매
 
 
 
 
 
평안도 방언 : 구이(귀)/ 주이(쥐)/ 가이(개)/ 너이(숫자 사)
                           턴지(천지). 돟다(좋다)/ 니(이)/ 니마(이마)
                           찬밥(점심)/ 우티(옷)/ 몽댕이(먼지)/ 싸다(비싸다)/ 눅다(싸다)
강아지-강생이
고양이-고매, 고앵이
꿩-산닭
나비-나붕이
노루-놀갱이
닭-달기
독수리-닥수리
돼지-뒈지,도티
마른오징어-낙ㅈ
염소-넘소, 염쇠, 맴소,염세
제비-지비
종달새-종지리, 예조리
송아지-쇄지,새지
  
 큰마니;할머니
큰아배:할아버지
진할머니:외할머니
진할아버지:외할아버지
오마니:어머니
아반:아버지
할만,할마님:할머니
문지기:골기퍼
안전원:경찰
 
 
 
 
경상도 방언 : 시금(세금), 비(베),
                         미느리(며느리), 까시(가시),
                         뽈데기(볼), 짐(김), 질다(길다)
                           더부(더위), 동개다(포개다),
                          하마(벌써), 백지(괜히)
 
경상도
, 그아이가 그 아이니? - 가가가가
, 뭐라고 그러는거야? - 머라카노?
, 저것은 무엇입니까? - 저거뭐꼬?
, 할머니 오셨습니까? - 할매가?
, 나 배 고파, 밥 차려 놨어, 밥 먹어, - 밥도! 자! 무라!
, 저기있는 저 아이는 누구입니까? - 점마 눈데?
, 니가 그렇게 말을 하니까 내가 그러는 거지, 니가 안 그러면 내가 왜그러냐?
,니 그카이 내 그카지, 니 안 그카믄 내 그카나?
, 어, 이일을 어떻게 해야되지? - 우야노?
, 너 정말 나한테 이럴 수 있어? - 니 이카기가?
, 야! 너 그러지 좀 마! - 쫌!
, 어쭈, 얘 봐라? - 이기,
, 이럴 수 있어? - 압!
, 이제 그만 좀 해둬! - 됐다마,
, 야, 쟤 구석으로 몰아넣어 - 공가라,
, 어디다 숨겼어? - 우쨌노?
, 이것이 당신 것입니까? - 니끼가?
, 저 아이는 누구지? - 자 누꼬?
, 그 아인 벌써 도망갔어, - 금마 토끼따.
 
 
 
 
강원도 방언
1.깻망아지-참깨 잎을 먹고 사는 벌레
2.천엽(川葉)바쁜농사일을 끝내고 먹거리 장만해서 계곡이나 강가로 소풍가는 것
3.구멍쇠- 화로불에 냄비나 솥을 얹을수 있게 구부려 만든 쇠
4.재롱 도토리-아주 작은 상수리 도토리
아주 희귀 종으로 아름드리 나무에도 팥 알만한 도토리가 열린다
5.젠누리- 새참. 농본기때 새벽에나 아침,점심 사이 또는 점심,저녁사이이 밥이 아닌 국수나 수제비 등을 먹는다.
6.흐르래기 -목이버섯
7.아이벌 매기 - 첫김매기
8. 노론자우(노론-자우)
[노른자위]의 강원도 사투리
9.귕-통나무로 된 소여물통
10.파-결점
11.대꾸-자꾸
 
 거머리-금저리
다슬기-도슬비
개구리-깨구락지
지렁이-지랭이
강구-바퀴벌레
배찡-배에서 말린 오징어
뽁쟁이-복어
소금젱이-잠자리
자거품-쥐
영깽이-여우
망새이-망아지
꾹저구-꺽지
왕거무-왕거품
삐아리-병아리
각재-가재
우렁쉥이-멍게
노루미-노루
자래-자라
거시-거위
나뱅이-나방
독새-독사
 =================

 

황해도 지역 방언

 

 

 

갈구리:갈고리
개굴창:개굴
해꼬:학교
큰마니:할머니
큰아배:할아버지
양지:얼굴
개집:기와집
어머니:오마니
반디젓:밴댕이젓
은댕이:가장자라
홍게닭:새벽닭
할머니:할만,할만닝
그지:그저께
숨굴막질:숨바꼭질
으르궅:아랫목
개지다:가지다
입천장:하느라지
아버지;아반
댕추가루:고추가루

 

 

 

 

경상도 방언

많이-억수로,윽시로,윽바리,이빠이
조금-쪼매
겨우?-꼴랑?
별로-짜다리,짜달시리
어지간히-엉가이
크다.-크다라이,윽시로 크다
길이-기리기
빼곡히 많다.-새까리삐다
짜다-소태
예쁘다-이지다
거짓말쟁이-입살개
똑같다.-영판이다.
피라미-리우리
가깝다-가죽다
가자미-깨재미
덮다-카바치다

강아지 - 강새이
망아지 - 망새이(말 망새이)
병아리,햇 병아리 - 삐아리, 삐가리, 삐개이해, 삐개이
닭,닭새끼 - 달, 달구새끼
토끼 - 토깨이, 토까이
염소 - 얌새이
고양이 - 꼬내이, 고내이 
징거미(민물새우) - 징기미
잠자리 - 철배이
다슬기 - 꼴부리, 골부리.고디, 사고디
우렁이 - 못꼴부리, 논고디
우렁쉥이(멍게) - 멍기
거미 - 거무
풀무치 - 국매
메뚜기 - 밀띠
매미 - 매리(뻘찌-숫컷)
방아개비 - 황굴레, 홍굴레-암컷
때때-수컷
개구리 - 깨구리
올챙이 - 올채이
호랑이 - 호래이
여우 - 야시(야시 비, 야시골)
지렁이 - 껄깨이, 거시
도토리 - 꿀밤
게 - 기
빵게 - 빵끼
구렁이 - 구리
매구(천년묵은 여우가 변하여 된 짐승) - 미구
누에(누에 고치) - 뉘비(뉘비 꼬치)
서캐(이의 알) - 씨가리, 씨개이
구더기 - 구디기, 구디
모기 - 모개이
파리 - 파래이
굼뱅이 - 굼비
까치 - 깐채이 깐치
까마귀 - 까마구
꿩 - 꽁
뱀장어 - 배미재이
바구미(쌀속에 사는 벌) - 바기미
회충 - 거시, 뱃속에 거시 들었나
갈치 - 칼치
멸치 - 며르치
조기 - 쪼구
말조개 - 칼조개
재첩 - 밤조개
거머리 - 검처
노루 -놀개이

====================

 

 

 

 
  •  

    •  

    •  
  •  

    •  

    •  

  •  

  •  

  •  

 

 

 

 

 

 

[출처]

 

동북 방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북 방언(東北方言)은 한국어의 대방언권 중 하나이다. 흔히 함경도 사투리라고 하나, 실제 분포 지역은 함경남북도(함경남도 영흥군(永興郡) 이남 지역은 제외) 및 평안북도 후창군(厚昌郡), 중국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일대이다.

아울러 19세기경 많은 함경도 주민들이 러시아의 극동 지방으로 이주해 갔기 때문에, 이 방언은 중앙아시아 한국어(고려말)와도 가까운 관계에 있다.

한편, 두만강 일대에서 쓰이는 방언을 따로 육진 방언(六鎭方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밑에 설명할 내용은 모두 육진 방언을 제외한 동북 방언의 특징이다.

 

 

음운[편집]

음운 체계[편집]

모음은 ㅣ', ㅔ, ㅐ, ㅟ, ㅚ, ㅡ, ㅓ, ㅏ, ㅜ, ㅗ'의 10 모음 체계이나, 젊은 층으로 갈 수록 'ㅟ'와 'ㅚ'가 다른 음으로 바뀌고 있다.[1]

이 방언은 말의 높낮이로 뜻을 구분하는 성조(聲調) 언어다. 길주성진단천 지역어는 고조, 저조, 상승조의 세 성조소를 가지고 있다. 이 방언에서 중세 한국어의 거성은 '고조', 평성은 '저조', 상성은 '상승조'로 실현된다. 그밖의 지역은 고조와 저조만이 쓰이며, 중세 한국어의 '거성'과 '상성'은 '고조'로 실현된다.

평성은 '저조'로 실현된다. 이 방언에서는 동남 방언과는 달리 중세 한국어 단어의 성조와 규칙적으로 대응한다. 이를테면 ':말(言, 상성)'은 지역에 따라 '상승조'나 '고조'로 나타나며, '말(斗, 거성)'은 고조, '말(<, 馬)'은 저조로 나타난다.

음운 변화[편집]

어말의 'o[ŋ]', 또는 모음과 'ㅣ' 사이에 있는 'o[ŋ]'이나 'ㄴ'이 탈락하면서 선행모음을 비모음화한다. 구개음화는 서북 방언과 달리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ㅣ'나 반모음음 '[j]' 앞에서 어두의 'ㄴ, ㄹ'이 탈락되었다. 'ㅅ, ㅈ, ㅊ' 뒤에서 'ㅡ'가 'ㅣ'로 변하는 전설모음화는 아니 일어났다.

문법[편집]

형태론[편집]

'ㅂ', 'ㅅ', 'ㄷ' 불규칙 활용이 없으며, 이는 경상도 사투리와 같다.

    ");">
  • 예)고부니[고우니], 저스니[저으니], 들꼬[듣고], 드르니[들으니]

문법 형태[편집]

    ");">
  • 조사

주격 조사로는 '-이'가 쓰이나, '-이가'가 점차 세력을 넓혀간다. 대격 조사는 모음으로 끝난 명사에는 '-르', 자음으로 끝난 명사에는 '-으'가 쓰인다. 속격 조사는 '-으'가 쓰인다. 공동격 조사는 '-가'가 쓰인다. 여격 조사는 '-께(-끼)'(평대), '으게'(존대)가 쓰인다.

    ");">
  • 어미

이 방언에서 상대 경어법은 3등급 뿐이다. 이에 따른 종결 어미는 다음과 같다.

- 하대 평대 존대
서술 -음/슴, -ㄴ다 -음/슴메, -오/소, -지비(함남) -읍/습메다, -우/수다(함남), -오/소다
의문 -니, -냐 -습/습메, -오/소, -지비(함남) -습/습메다
명령 -으라이, -아/어라 -오/소 -읍/습소세, -읍/습소, -우/수다
청유 -자 -읍/습세, -기오, -지비(함남) -읍/습세다, -지오다
    ");">
  • 통사론

부정부사 '안/아니, 못'을 합성 용언의 중간에 끼워 넣는다. 예) 먹어 아니 바쏘 (먹어 보지 않았다)

어휘[편집]

    ");">
  • 고어의 잔재

간대르사(설마), 기티다(남기다), 나조(저녁), 널:다(씹다), 드티우다(건드리다), 무리(우박), 슷다(물기를 수건 따위로 닦다), 신다리(허벅지), 얻어보다(찾다), 우뿌다(우습다), 자개미(겨드랑), 쯤(틈), 허튀(종아리).

    ");">
  • 중부 방언과 의미차를 보이는 단어

'어지럽다'는 [亂], [繁]의 의미다. [眩]의 의미일 때에는 '어립다'라 한다. '어렵다'는 '어른 앞에서 담배 피우기 어렵다' 또는 '어찌할 수 없게 되다'라는 뜻이며, '문제 풀기가 어렵다'의 '어렵다'는 '바쁘다'라고 한다.

    ");">
  • 친족 호칭어

'아재'(고모, 이모), '아바니, 큰(클)아배, 큰(클)아바니, 한아바니, 한애비'(祖父), '아매, 우매, 아마이, 큰(클)아매'(祖母).

관련 항목[편집]

각주[편집]

  1. 이동 "귀순자를 제보자로 하여 조사한 바에 의하면, 함남 함주 출신의 50대 제보자는 불안정한 8모음 체계였다. 그리고 중국에 거주하는 전통적인 육진 방언 화자는 9모음 체계, 함북 명천 방언 화자는 8모음 체계였다.", 곽충구, 새국어생활, 1998 겨울.

해도 지역 방언

<문장끝에 자주 쓰는말>

 

 

갈구리:갈고리
개굴창:개굴
해꼬:학교
큰마니:할머니
큰아배:할아버지
양지:얼굴
개집:기와집
어머니:오마니
반디젓:밴댕이젓
은댕이:가장자라
홍게닭:새벽닭
할머니:할만,할만닝
그지:그저께
숨굴막질:숨바꼭질
으르궅:아랫목
개지다:가지다
입천장:하느라지
아버지;아반
댕추가루:고추가루

 

 

 

 

경상도 방언

많이-억수로,윽시로,윽바리,이빠이
조금-쪼매
겨우?-꼴랑?
별로-짜다리,짜달시리
어지간히-엉가이
크다.-크다라이,윽시로 크다
길이-기리기
빼곡히 많다.-새까리삐다
짜다-소태
예쁘다-이지다
거짓말쟁이-입살개
똑같다.-영판이다.
피라미-리우리
가깝다-가죽다
가자미-깨재미
덮다-카바치다

강아지 - 강새이
망아지 - 망새이(말 망새이)
병아리,햇 병아리 - 삐아리, 삐가리, 삐개이해, 삐개이
닭,닭새끼 - 달, 달구새끼
토끼 - 토깨이, 토까이
염소 - 얌새이
고양이 - 꼬내이, 고내이 
징거미(민물새우) - 징기미
잠자리 - 철배이
다슬기 - 꼴부리, 골부리.고디, 사고디
우렁이 - 못꼴부리, 논고디
우렁쉥이(멍게) - 멍기
거미 - 거무
풀무치 - 국매
메뚜기 - 밀띠
매미 - 매리(뻘찌-숫컷)
방아개비 - 황굴레, 홍굴레-암컷
때때-수컷
개구리 - 깨구리
올챙이 - 올채이
호랑이 - 호래이
여우 - 야시(야시 비, 야시골)
지렁이 - 껄깨이, 거시
도토리 - 꿀밤
게 - 기
빵게 - 빵끼
구렁이 - 구리
매구(천년묵은 여우가 변하여 된 짐승) - 미구
누에(누에 고치) - 뉘비(뉘비 꼬치)
서캐(이의 알) - 씨가리, 씨개이
구더기 - 구디기, 구디
모기 - 모개이
파리 - 파래이
굼뱅이 - 굼비
까치 - 깐채이 깐치
까마귀 - 까마구
꿩 - 꽁
뱀장어 - 배미재이
바구미(쌀속에 사는 벌) - 바기미
회충 - 거시, 뱃속에 거시 들었나
갈치 - 칼치
멸치 - 며르치
조기 - 쪼구
말조개 - 칼조개
재첩 - 밤조개
거머리 - 검처
노루 -놀개이

 

 

 

 

 

 함경도,평안도,경상도,강원도 사투리|작성자 하늘 영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70 수선화야, 나와 놀자... 2017-06-24 0 2149
569 시의 제목이 때때로 주제를 요약하거나 암시하게 한다... 2017-06-24 0 2317
568 작가들의 책 증정은 타인의 존중이자 자아관리이다... 2017-06-24 0 3121
567 흑토변 시인 한영남, 두만강역 시인 윤청남 시집 "꽃" 피우다... 2017-06-24 0 3027
566 "6월"의 시모음 2017-06-24 0 2415
565 시는 어휘의 빈곤, 경박한 멋부리기, 산만한 이미지 등은 금물... 2017-06-24 0 2182
564 "손에 쥐고 있는것들이 갑자기 사라지는 날이 있다"... 2017-06-24 0 2113
563 시를 읽을 때, 일단 그 시를 읽고 그림을 미리속에 그려라... 2017-06-24 0 2520
562 시인은 지성과 감성, 사고와 감정이 늘 융합통일이 되여야... 2017-06-24 0 2175
56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6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568
56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강원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059
55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황해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36
55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경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600
55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연변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91
55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북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802
55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야생화 이름의 유래... 2017-06-19 0 2372
5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재미있는 식물, 나무이름의 유래... 2017-06-19 0 2545
553 중국 "양주팔괴"의 한사람 - 정판교 2017-06-19 0 4714
552 민들레야, 나와 놀자... 2017-06-19 0 2428
551 시작은 시에 생명이 없는것에 새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이다... 2017-06-19 0 2261
550 망초꽃아, 나와 놀자... 2017-06-18 0 2234
549 시창작에서 고독은 최고의 창작환경이다... 2017-06-18 0 2020
548 시는 언어로 만들어진 그림... 2017-06-18 0 2267
547 [작문써클선생님들께]-프랑스 비행사 작가 생텍쥐페리 명언... 2017-06-16 0 6056
546 제비꽃아, 나와 놀자... 2017-06-16 0 2096
545 인류 최초의 시인은 원시사회에서 신체적 불구자???... 2017-06-16 0 2446
544 세계적 글쟁이들이 글쓰기 조언 41 2017-06-16 0 2335
543 장미꽃아, 나와 놀자... 2017-06-15 0 2301
542 시인은 자기자신의 원고를 "퇴고"할줄 알아야... 2017-06-15 0 2441
541 "오월의 짧은 그림자"야, 섭섭하다... 다시 놀자... 2017-06-14 0 3612
540 철쭉아, 나와 놀자... 2017-06-14 0 2346
539 시적 탐구의 과정은 곧 삶의 잉여적 표현이다... 2017-06-14 0 2237
538 시인의 눈물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렌즈"이다... 2017-06-14 0 2664
537 진달래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191
536 개나리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706
535 시작은 내적인 노예상태를 까부수어 나아가는 과정이다... 2017-06-12 0 1993
534 시인은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또 하나의 열쇠가 있어야... 2017-06-12 0 2323
533 시인의 눈은 저 쪽의 세계를 명징하는 고감도의 눈이여야... 2017-06-09 0 2505
532 음악 전통속에서 새로운 시적인 표현을 만들어내다... 2017-06-09 0 2085
531 벗꽃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364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