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 현대시인 - 서지마
2017년 05월 07일 00시 24분  조회:3652  추천:0  작성자: 죽림

徐志摩 (1897~1931)
现代诗人、散文家。名章垿,笔名南湖、云中鹤等。浙江海宁人。

1915年毕业于杭州一中、先后就读于上海沪江大学、天津北洋大学和北京大学。1918年赴美国学习银行学。1921年赴英国留学,入伦敦剑桥大学当特别生,研究政治经济学。在剑桥两年深受西方教育的熏陶及欧美浪漫主义和唯美派诗人的影响。

 

1921年开始创作新诗。1922年返国后在报刊上发表大量诗文。1923年,参与发起成立新月社。加入文学研究会。1924年与胡适、陈西滢等创办《现代评论》周刊,任北京大学教授。印度大诗人泰戈尔访华时任翻译。1925年赴欧洲、游历苏、德、意、法等国。1926年在北京主编《晨报》副刊《诗镌》,与闻一多、朱湘等人开展新诗格律化运动,影响到新诗艺术的发展。同年移居上海,任光华大学、大夏大学和南京中央大学教授。

 

1927年参加创办新月书店。次年《新月》月刊创刊后任主编。并出国游历英、美、日、印诸国。1930年任中华文化基金委员会委员,被选为英国诗社社员。同年冬到北京大学与北京女子大学任教。1931年初,与陈梦家、方玮德创办《诗刊》季刊,被推选为笔会中国分会理事。

 

同年11月19日,由南京乘飞机到北平,因遇雾在济南附近触山,机坠身亡。

著有诗集《志摩的诗》,《翡冷翠的一夜》、《猛虎集》、《云游》,散文集《落叶》、《巴黎的鳞爪》、《自剖》、《秋》,小说散文集《轮盘》,戏剧《卞昆冈》(与陆小曼合写),日记《爱眉小札》、《志摩日记》,译著《曼殊斐尔小说集》等。他的作品已编为《徐志摩文集》出版。徐诗字句清新,韵律谐和,比喻新奇,想象丰富,意境优美,神思飘逸,富于变化,并追求艺术形式的整饬、华美,具有鲜明的艺术个性,为新月派的代表诗人。他的散文也自成一格,取得了不亚于诗歌的成就,其中《自剖》、《想飞》、《我所知道的康桥》、《翡冷翠山居闲话》等都是传世的名篇...

=======================

翡冷翠的一夜》是徐志摩的第二个诗集,是他的1925至1927年部分诗歌创作的汇集。这一时期徐志摩的思想和生活发生了一个较大的波折。1924年4月,他在北京认识了陆小曼,并着了魔似的与她热恋起来,此事招致社会的非议和家庭的反对。

 

但他俩全不顾这一切,可一时又难以解决,徐志摩在十分痛苦和矛盾的心情下,于1925年3月11日启程出国欧游,想暂时摆脱一下生活上的苦恼和困境。他在意大利的翡冷翠(即佛罗伦斯)住了一段时间,他将他的伤悲,他的感触,托付纸笔,写了不少诗,因此,这部诗集就题名为《翡冷翠的一夜》,这个诗集,除了有哈代、罗赛蒂等英国作家的译诗外,还有象《西伯利亚》、《在哀克刹脱教堂前》那样漫游欧洲时对异乡他国生活的感受。他也写了一不少爱情诗篇。《翡冷翠的一夜》,可以看作是记叙了当时他和陆小曼之间的感情波澜,他的热烈的感情和无法摆脱的痛苦。

 

1925年和1926年,中国的革命运动蓬勃兴起,五卅事件与三?一八惨案引起他的“愤慨”和“悲切”,为纪念 “三?一八”,他写了《梅雪争春》,揭露了军阀屠杀无辜,连十三岁的儿童也惨遭杀害。在《大帅》、《人变兽》的诗篇中,暴露了军阀活埋伤兵、杀死人民的血腥罪行。他的思想起了“波折”,“流入怀疑和颓废”,认为现在是受罪时期,因此,不少诗篇失去乐观调子,相反染上了一层忧郁、失望、逃避现实的颓废色彩。他诅咒生活,赞颂死亡,要辞别人间去殉恋爱。

 

想象奇特,思想灰暗。当然,这个诗集也还有少量调子比较积极明朗的诗篇。

  这个诗集在艺术技巧上如闻一多说的“确乎是进步了”。对诗的形式技巧更加注意推敲,除了在诗式上更多样化,什么对话体,打夯歌、豆腐干式;既有叙事,也有抒情,他也醉心于诗的音节与格律


==============
==============

 

중국에서 현대시라고 하면 주로

1919년의 5.4운동 전후부터 시작해서

개혁개방시기까지를 말할 수 있습니다.

 

유파는 주로

 

상식파: 현대시를 시험삼아 햇던 사람들의 무리, 호적, 유반농, 유평백 등을 대표로

 

문학연구회 파:  빙심, 로신, 주작인, 주자청 등을 대표로,

 

창조사: 곽말약과 성방오를 대표로,

 

호반파: 왕정지, 응수인, 풍설봉을 대표로,

 

신월파: 서지마, 문일다를 대표로,

 

상징파: 이금발, 풍내초를 대표로,

 

현대파: 대망서, 변지림, 하기방, 서지, 풍지 등을 대표로,

 

7월파: 애청, 우한, 전간, 호풍을 대표로,

 

중국신시파: 목단, 정민을 대표로,

 

사회주의 현실주의: 공목, 하경지, 곽소천 등을 대표로,

 

현대파: 기현, 양환을 대표로,

 

남성사: 여광중, 하청 등을 대표로,

 

창세기: 낙부, 양목을 대표로,

 

몽롱파: 북도, 서정, 고성, 망극 등을 대표로(개혁개방초기부터, 즉 1970년대 중/후반부터)

 

신현실주의: 엽연빈, 이소우를 대표로,

 

신변새시파: 창요, 양목을 대표로,

 

신성사작: 해자, 낙일화 등을 대표로(1970년대 중/ 후반부터)

 

이 외에도 원명원, 그들, 망한주의, 비비주의, 지식분자사작, 신 향토주의 등 많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23 김립 시모음 2016-10-30 0 6118
1722 대만 현대시 흐름 알아보기 2016-10-30 0 4420
1721 구름도 가고 순경도 가고 남은건 나와 나의 그림자와... 2016-10-30 0 3555
1720 대만 모더니즘 선도자 - 예웨이롄 2016-10-30 0 3722
1719 대만 녀성시인 - 옌아이린(옌艾琳) 2016-10-30 0 3807
1718 대만 시인 - 余光中 2016-10-30 0 4033
1717 나를 오리신고는 침선으로 나를 꿰매셨다... 2016-10-30 0 3598
1716 "동주" - 그는 가깝고 그리운 한 사람이다... 2016-10-29 0 4344
1715 5 + 7 + 5 = 17 2016-10-28 0 4379
1714 깨여나보니 유명해져 있었다... 2016-10-28 0 4262
1713 ...바로 탐욕이다... 2016-10-28 0 3998
1712 새들은 왜 록색별을 떠나야만 하는가... 2016-10-28 0 3940
1711 우리가 언젠가는 "사막의 꽃뱀"이 될지도 모른다... 2016-10-28 0 4029
1710 어느 날 페허 잔해속에서 원자로 화석을 발굴하라... 2016-10-28 0 4511
1709 詩人은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저항하라... 2016-10-28 0 4206
1708 詩는 희곡을 "언어예술의 집"으로 건축하는 벽돌이다... 2016-10-28 0 3620
1707 詩와 비평은 쌍두마차이다... 2016-10-28 0 4012
1706 비평가의 詩, 詩人의 비평,- 립장을 바꿔보다... 2016-10-28 0 3495
1705 詩란 "내가 나의 감옥"에서 뛰쳐나가기이다... 2016-10-28 0 4597
1704 詩란 유일무이한 그릇에 유일무이하게 헌것을 새롭게 담는것... 2016-10-28 0 3779
1703 "시를 읽지 않는 사람들"도 사랑하는 시인 -니자르 카바니 2016-10-28 0 4179
1702 아랍의 詩는 손가락에서 흘러나오는 눈물... 2016-10-28 0 4919
1701 詩적 상상력을 중첩, 확대하는것은 실체(체험)를 바탕하기... 2016-10-27 0 4241
1700 현대시의 난해한 벽을 허물어보기 2016-10-26 0 4387
1699 불온한 상상력들이 광란의 춤사위에 나으다 2016-10-26 0 4222
1698 눈뿌리가 아플 정도의 포스터모더니즘의 한계 2016-10-26 0 4164
1697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는 언어가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와 련관된다... 2016-10-26 0 4934
1696 즐거움의 순간과 죽음의 망령은 삶의 련속이다... 2016-10-25 0 4490
1695 詩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2016-10-25 0 4232
1694 詩 같은 수필, 수필 같은 시를 쓰라... 2016-10-25 1 4132
1693 詩란 태음신과 같은 현무(玄武)로서 시첩(詩帖)속에 잘 가두기를... 2016-10-23 0 4213
1692 詩어는 꽃잎에 닿자 나비, 꿀벌이 되다... 2016-10-21 0 4029
1691 詩리론은 하나의 울타리로서 늘 시인을 괴곱게 한다... 2016-10-21 0 4978
1690 詩여, 독침이 되라... 2016-10-21 0 4081
1689 詩의 첫행은 시인과 독자가 만나는 최초의 순간이다... 2016-10-21 0 4311
1688 한국 현대시사 최초의 선시리론자 - 김종한 2016-10-21 0 4309
1687 냄새가 나는 "조감도"(鳥瞰圖)냐, "오감도(烏瞰圖)냐... 2016-10-21 0 4562
1686 다시 떠올리는 정지용 시모음 2016-10-21 0 3934
1685 훌륭한 詩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진다... 2016-10-21 0 4492
1684 詩作에서 "창조적 변용"아냐, "몰상식적 표절"이냐가 문제면 문제 2016-10-20 0 5225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