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아랍 시리아 "모더니스트 혁명" 시인 - 아도니스
2017년 02월 12일 18시 20분  조회:4155  추천:0  작성자: 죽림

노벨문학상 후보자 -시리아 시인 아도니스


◇'아랍의 T.S. 엘리엇' 아도니스의 '모더니즘'(현대성)

'나는 물 위에 글을 쓰겠다
맹세했다
나는 시지프스와 함께 거대한 바위를 옮기겠다
맹세했다
나는 열병과 불꽃에 복종한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은 채석장에서 마지막 깃털을
찾는다'
ㅡ(아도니스의 시 '시지프스에게' 중에서)


아도니스(86)는 아랍의 시를 현대화하고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된다. 20세기 후반 아랍문학의 '모더니스트 혁명'을 이끌었고 영국시인 T.S. 엘리엇에 비견되는 자주 비교되는 그의 시세계는 내용과 형식 모든 면에서 이슬람 전통을 거부한다.   

시리아 문단의 '극단적 변혁주의자'로 분류되는 소위 '거부의 시인들'을 이끌며 아도니스는 '예수' '불사조' '아도니스' '탐무즈' 등 죽음과 부활의 이미지를 가진 신화 속 인물들을 새로운 문학의 자양분으로 삼았다. 이들은 '죽음과 부활'을 문명의 위기와 연결시켜 현대적이고 파격적인 시 형식에 담은 영국 시인 T.S. 엘리엇의 장시 '황무지'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아도니스는 특히 조국 시리아를 등지고 타향 레바논에서 방황하는 자신을 그리스 신화 속의 인물인 '시지프스'에 자주 비유했다. 

시리아 시인 아도니스는 "죽음과 부활을 내용으로 한 '현대성'(모더니즘)이 특징"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아랍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인 아도니스는 그간 자주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1~5위의 선두그룹에는 속하지 못해왔다. 최근까지도 래드브록스의 선두그룹은 일본의 하루키, 케냐의 응구기 와 시옹오, 미국의 필립 로스, 미국의 조이스 캐롤 오츠, 알바니아의 이스마일 카다레 등이었다. 

본명이 알리 아흐마드 사이드인 아도니스는 1930년 시리아 북부에서 태어나 다마스쿠스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했다. 시리아 국민당에 가입해 활동하다가 약 1년간 정치범으로 투옥되었고, 그 후 베이루트에서 망명생활을 하다가 현재는 프랑스에 거주하고 있다. 1973년 미국에서 '세계시인협회상'을, 1996년 '국제 시축제'에서 수여하는 '세계시인상'을 수상했다. 

아도니스는 지난 5년 간 30만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시리아 내전 사태에서 서방의 역할에 대해서 통렬하게 비판해왔다. 그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미국은 일관된 비전을 갖고 있지 않다. 자국 이익에 매몰돼 있는 러시아도 마찬가지다. 이들에게 아랍세계는 (석유가 매장된) 부(富)의 지역이며, 아랍 민족은 단지 수단일 뿐"이라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자신은) 시에서 희망을 보고, 구원을 찾고 있다"고도 말했다. 

그의 작품은 시집 '바람 속의 잎새들'(화남)이 국내에 번역되었다. 

2016 스웨덴 예테보리 국제 도서전에 전시된 시리아 시인 아도니스의 작품 [AFP=연합뉴스]



시리아 출신의 저명한 시인으로, 노벨 문학상 후보로 자주 거론되는 아도니스(86)가 종교적 광신주의(fanaticism)가 "아랍세계의 심장을 파괴하고 있다"며 자신은 시(詩)에서 구원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프랑스 파리에서 망명생활을 하고 있는 아도니스는 지난 5년 간 30만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시리아 사태에서 서방의 역할에 대해서도 통렬하게 비판했다. 

아도니스는 스웨덴 예테보리 국제서적박람회장에서 지난 2016년 9월 23일 AFP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미국인들은 해법을 찾지 않고 있다. 이들은 문제를 좇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미국은 일관된 비전을 갖고 있지 않다. 자국 이익에 매몰돼 있는 러시아도 마찬가지다. (이들에게) 아랍세계는 (원유로 인한) 부(富)의 지역이며, 아랍 민족은 단지 수단일 뿐이다"고 덧붙였다. 

이슬람교 시아파의 소수 종파 알라위에 속하는 아도니스는 2011년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 앞으로 민주화를 촉구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 아사드 대통령 역시 알라위에 속한다. 

본명이 알리 아흐마드 사이드인 아도니스는 자신은 시에서 희망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시는 어린이의 목을 베지도 사람을 죽이지도 않는다. 박물관도 파괴하지 않는다"고 했다. 

아도니스는 신정 분리는 촉구하면서, 시는 이를 가져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알 아마드 사이드가 본명인 아도니스는 현재 아랍권 시인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시인으로 꼽힌다. 아방가르드 시 전문지 ‘시’와 ‘상황들’의 발간을 주도하는 등 시의 안팎으로 정부와 대립각을 세워온 그는 정부 당국과 학자들로부터 살해 위협을 받는가하면 그의 책이 불태워지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23 김립 시모음 2016-10-30 0 5794
1722 대만 현대시 흐름 알아보기 2016-10-30 0 4221
1721 구름도 가고 순경도 가고 남은건 나와 나의 그림자와... 2016-10-30 0 3353
1720 대만 모더니즘 선도자 - 예웨이롄 2016-10-30 0 3549
1719 대만 녀성시인 - 옌아이린(옌艾琳) 2016-10-30 0 3651
1718 대만 시인 - 余光中 2016-10-30 0 3891
1717 나를 오리신고는 침선으로 나를 꿰매셨다... 2016-10-30 0 3417
1716 "동주" - 그는 가깝고 그리운 한 사람이다... 2016-10-29 0 4137
1715 5 + 7 + 5 = 17 2016-10-28 0 4247
1714 깨여나보니 유명해져 있었다... 2016-10-28 0 4126
1713 ...바로 탐욕이다... 2016-10-28 0 3835
1712 새들은 왜 록색별을 떠나야만 하는가... 2016-10-28 0 3773
1711 우리가 언젠가는 "사막의 꽃뱀"이 될지도 모른다... 2016-10-28 0 3909
1710 어느 날 페허 잔해속에서 원자로 화석을 발굴하라... 2016-10-28 0 4340
1709 詩人은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저항하라... 2016-10-28 0 4052
1708 詩는 희곡을 "언어예술의 집"으로 건축하는 벽돌이다... 2016-10-28 0 3437
1707 詩와 비평은 쌍두마차이다... 2016-10-28 0 3810
1706 비평가의 詩, 詩人의 비평,- 립장을 바꿔보다... 2016-10-28 0 3396
1705 詩란 "내가 나의 감옥"에서 뛰쳐나가기이다... 2016-10-28 0 4449
1704 詩란 유일무이한 그릇에 유일무이하게 헌것을 새롭게 담는것... 2016-10-28 0 3634
1703 "시를 읽지 않는 사람들"도 사랑하는 시인 -니자르 카바니 2016-10-28 0 3954
1702 아랍의 詩는 손가락에서 흘러나오는 눈물... 2016-10-28 0 4757
1701 詩적 상상력을 중첩, 확대하는것은 실체(체험)를 바탕하기... 2016-10-27 0 3966
1700 현대시의 난해한 벽을 허물어보기 2016-10-26 0 4191
1699 불온한 상상력들이 광란의 춤사위에 나으다 2016-10-26 0 4065
1698 눈뿌리가 아플 정도의 포스터모더니즘의 한계 2016-10-26 0 3936
1697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는 언어가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와 련관된다... 2016-10-26 0 4793
1696 즐거움의 순간과 죽음의 망령은 삶의 련속이다... 2016-10-25 0 4269
1695 詩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2016-10-25 0 4051
1694 詩 같은 수필, 수필 같은 시를 쓰라... 2016-10-25 1 3934
1693 詩란 태음신과 같은 현무(玄武)로서 시첩(詩帖)속에 잘 가두기를... 2016-10-23 0 4023
1692 詩어는 꽃잎에 닿자 나비, 꿀벌이 되다... 2016-10-21 0 3905
1691 詩리론은 하나의 울타리로서 늘 시인을 괴곱게 한다... 2016-10-21 0 4818
1690 詩여, 독침이 되라... 2016-10-21 0 3895
1689 詩의 첫행은 시인과 독자가 만나는 최초의 순간이다... 2016-10-21 0 4172
1688 한국 현대시사 최초의 선시리론자 - 김종한 2016-10-21 0 4157
1687 냄새가 나는 "조감도"(鳥瞰圖)냐, "오감도(烏瞰圖)냐... 2016-10-21 0 4386
1686 다시 떠올리는 정지용 시모음 2016-10-21 0 3732
1685 훌륭한 詩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진다... 2016-10-21 0 4142
1684 詩作에서 "창조적 변용"아냐, "몰상식적 표절"이냐가 문제면 문제 2016-10-20 0 5069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