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그는 늘 왼쪽에 앉는다...
2016년 04월 07일 06시 05분  조회:4803  추천:0  작성자: 죽림

그 남자의 방


몸에다 무수한 방을 가진 남자를 알고 있다
햇살방 구름방 바람방 풀꽃방

세상에, 남자의 몸에 무슨 그리도 많은 방을!

그 방 어느 창가에다 망상의 식탁을 차린 적 있다

안개의 식탁보 위에 맹목의 주홍장미 곁에

내 앙가슴살 한 접시 저며내고 싶은 날이 있었다

그의 방을 기웃대다 도리어
내 침침한 방을 그에게 들키던 날
주름 깊은 커튼 자락 펄럭, 따스한 불꽃의 방들 다 두고
물소리 자박대는 내 단칸방을 그가 탐냈으므로

 

내게도 어느 결에

그의 것과 비슷한 빈 방 하나 생겼다
살아 꿈틀대던, 나를 달뜨게 하던
그 많은 방들 실상, 빛이 죄 빠져나간 텅 빈 동공
눈알 하나씩과 맞바꾼
어둠의 가벼운 쭉정이였다니, 그는 대체
그동안 몇 개의 눈을 나누었던 것일까
그 방의 창이 나비의 겹눈을 닮아 있던 이유쯤
더 이상 비밀이 아니구나, 저벅저벅 비의 골목을 짚어가던
먼 잠속의 물발자국 소리도 그의 것이었구나

 

 

 

 



예감

 


왜 가슴보다 먼저 등 쪽이 따스해 오는지, 어떤 은근함이 내 팔 잡아당겨 당신 쪽으로 이끄는지, 쉼표도 마침표도 없는 한단락 흐린 줄글 같은 당신 투정이 어여뻐 오늘 처음으로, 멀리 당신이 날 보았을지 모른다는 생각 했습니다 우주로의 통로라 이른 몇번의 전화는 번번이 그 외연의 광대무변에 놀라 갈피없이 미끄러져내리고, 더러 싸르락싸르락 당신의 소리상자에 숨어 있고 싶던 나는 우물로 가라앉아버린 별, 별이 삼켜버린 우물이었지요 별들은 불안정한 大氣를, 그 떨림의 시공을 통과하고서야 비로소 반짝임을 얻는 생명이라지요 벌써 숨은 별자리라도 찾은 듯한 낯선 두근거림, 어쩌면 당신의 지평선 위로 손 뻗어 밤하늘 뒤지더라도* 부디 놀리지는 마시길, 단호한 확신이 아닌 둥그렇게 나를 감싼 다만 어떤 따스함의 기운으로요

*지평선 위로 손 뻗어 밤하늘 뒤지다 -朴碩在

 

 

 

 

 

거울 속의 벽화


대합실 장의자에 걸터앉아 심야버스를 기다린다

왼쪽 벽면에 붙박인 거울을 본다

거울의 얼굴엔 마치 벽 속에서부터 시작된 듯한

뿌리 깊은 가로금이 심어져 있다

푸른 칼자국을 받아 두 쪽으로 나뉘어진 물상들

잘못 이어 붙인 사진처럼

하나같이 접점이 어긋나있다

 

그녀의 머리와 목은 어깨 위에 서로 비뚜름히 얹혀있다

곁에 앉은 남자의 인중 깊은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멈춰선 톱니바퀴처럼 비끗 맞닿아있다

그 무방비한 표정 한 끝에 아슬하게 매달린 웃음을

훔쳐보던 내 눈빛이, 스윽

균열의 깊은 틈새로 날개꼬리를 감춘다

물병에 꽂힌 작약, 소스라치게 붉다

일그러진 둥근 시계판 위에서

분침과 시침이 포개 잡았던 손을 풀어버린다

 

이 모든, 아귀가 비틀린 사물들 뒤에서

아카시아 어둔 향기가 녹음의 휘장 속에 어렴풋 속을 보이고

그렇게 조금씩 제 각도를 비껴나고픈

자신과 화해할 수 없는 것들의 초상이 벽 속에 있다

 

 

 

 

상사화

 

살 밖의 뼈가 어둡다고


달팽이는 저녁이슬 하나씩 깨물어 먹는다


살 밖의 뼈가 어둡다고


숲은 간이 싱싱한 어린 참나무를 찾고 있다


꽃대궁은 이미 뜨겁다


잎은 혼례에 늦는 신부를 데려오느라 아직 피지 않고 있다


살 밖의 뼈가 어둡다고


멀리 동구 밖 홰나무는 말울음 소리를 낸다

 

 

 

 

(甁)

 

왼쪽 귀가 들리지 않는 그는 늘 왼쪽에 앉는다

그들은 늘 그의 오른쪽에 앉는다

아내 투정도 아이의 까르륵 웃음도

여름날 뻐꾸기 울음소리도 빗소리도 모두

그의 오른쪽 귓바퀴에 앉는다, 소리에 관한 한

세상은 그에게

한바퀴로만 가는 수레다

출구 없는 소리의 갱도

어둠의 내벽이, 그의 들리는 귀와 들리지 않는 귀 사이에

 

그의 비밀은 사실, 들리지 않는 귀 속에 숨어 있다

전기를 가둬두던 축전병처럼, 그의 왼쪽 귀는

몸에 묻어둔 소리저장고

길게 목을 뺀 말 모자를 푹 눌러쓴 말 눈을 뚱그렇게 뜬 말 반짝반짝 사금의 말 진흙의 말 잎과 뿌리의 말, 세상 온갖 소리를 집어삼킨 말들이 말들의 그림자가 그의 병 속에 꼭꼭 쟁여져 있다

그것들의 응집된 에너지를 품고 그의 병은

돌종처럼 단단해져간다


한순간, 고요한 폭발음!
소용돌이치며 팽창하는 소리의 우주가 병 속에, 그의 귓속에 있다

 

 

 

 

 

 

 

 

 

 

 

봉투를 열자 전갈이 기어 나왔다
나는 전갈에 물렸다
소식에 물렸다
전갈이라는 소식에 물렸다
-
그로부터 나는 아무도 모르게 혼자 빙그레 웃곤 하였다
축축한 그늘 속 아기버섯도 웃었다 곰팡이들도 따라 웃었다
근사하고 잘생긴 한 소식에 물려 내 몸이 붓고 열에 들떠 끙끙 앓고 있으니
-
아무튼, 당신이 내게 등이 푸른 지독한 전갈을 보냈으니
그 봉투를 그득 채울 답을 가져오라 했음을 알겠다
긴 여름을 다 허비해서라도
사루비아 씨앗을 담아 오라 했음을 알겠다

 

 

 

 

 

 

 

 

류인서(1960~ )는 대구에서 태어났다. 2001년 계간 <시와 시학>에 〈꽃 진 자리〉 등 여섯 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20대에 등단한 시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나이에 문단에 나온 셈이다. 40대 후반을 막 넘어서 50대로 들어서는 이즈막에 류인서는 두 번째 시집 《여우》를 냈다. 첫 시집 《그는 늘 왼쪽에 앉는다》(2005)를 낸 지 네 해만이다. 그의 시는 “백 개의 눈 백 개의 혀를 가진 꽃”(<알리바이>)이다. 기억의 영지에 파릇하게 돋은 이야기들을 품은 이 시들은 낯설고 기이하고 아름답다. 시인은 민담·설화·동화·영화·소설의 젖을 빨고 그 자양분으로 상상세계를 꽃피운다. 거기서 얼음접시, 물배꼽, 유리구두, 접시거미, 그늘하숙, 울음더위, 종이거울, 그늘나비, 고담시, 세상의 동쪽 끝방, 깜빡죽음 저 나라, 구름 난전들이 주르륵 쏟아진다. 삶의 지루함과 비루함을 견디려는 유희 본능이 빚은 것들. 시인은 누추한 기억들, 그 천일 야화에 상상의 도금을 입힌다. 그것은 “추억의 봉합사로 감쪽같이 꿰매 붙여 다시없는 변종품으로 세간”에 내놓는 것, “일종의 도굴 프로젝트”이자 “일종의 연금술”(〈추억 마케팅〉)이다.

1960년 대구 출생
2001년『시와 시학』등단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수학
시집<그는 늘 왼쪽에 앉는다><여우>등

대구한의대 강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23 김립 시모음 2016-10-30 0 6119
1722 대만 현대시 흐름 알아보기 2016-10-30 0 4420
1721 구름도 가고 순경도 가고 남은건 나와 나의 그림자와... 2016-10-30 0 3555
1720 대만 모더니즘 선도자 - 예웨이롄 2016-10-30 0 3724
1719 대만 녀성시인 - 옌아이린(옌艾琳) 2016-10-30 0 3807
1718 대만 시인 - 余光中 2016-10-30 0 4033
1717 나를 오리신고는 침선으로 나를 꿰매셨다... 2016-10-30 0 3598
1716 "동주" - 그는 가깝고 그리운 한 사람이다... 2016-10-29 0 4345
1715 5 + 7 + 5 = 17 2016-10-28 0 4379
1714 깨여나보니 유명해져 있었다... 2016-10-28 0 4262
1713 ...바로 탐욕이다... 2016-10-28 0 4004
1712 새들은 왜 록색별을 떠나야만 하는가... 2016-10-28 0 3940
1711 우리가 언젠가는 "사막의 꽃뱀"이 될지도 모른다... 2016-10-28 0 4032
1710 어느 날 페허 잔해속에서 원자로 화석을 발굴하라... 2016-10-28 0 4511
1709 詩人은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저항하라... 2016-10-28 0 4206
1708 詩는 희곡을 "언어예술의 집"으로 건축하는 벽돌이다... 2016-10-28 0 3623
1707 詩와 비평은 쌍두마차이다... 2016-10-28 0 4014
1706 비평가의 詩, 詩人의 비평,- 립장을 바꿔보다... 2016-10-28 0 3495
1705 詩란 "내가 나의 감옥"에서 뛰쳐나가기이다... 2016-10-28 0 4599
1704 詩란 유일무이한 그릇에 유일무이하게 헌것을 새롭게 담는것... 2016-10-28 0 3780
1703 "시를 읽지 않는 사람들"도 사랑하는 시인 -니자르 카바니 2016-10-28 0 4183
1702 아랍의 詩는 손가락에서 흘러나오는 눈물... 2016-10-28 0 4920
1701 詩적 상상력을 중첩, 확대하는것은 실체(체험)를 바탕하기... 2016-10-27 0 4241
1700 현대시의 난해한 벽을 허물어보기 2016-10-26 0 4388
1699 불온한 상상력들이 광란의 춤사위에 나으다 2016-10-26 0 4225
1698 눈뿌리가 아플 정도의 포스터모더니즘의 한계 2016-10-26 0 4168
1697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는 언어가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와 련관된다... 2016-10-26 0 4936
1696 즐거움의 순간과 죽음의 망령은 삶의 련속이다... 2016-10-25 0 4492
1695 詩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2016-10-25 0 4235
1694 詩 같은 수필, 수필 같은 시를 쓰라... 2016-10-25 1 4133
1693 詩란 태음신과 같은 현무(玄武)로서 시첩(詩帖)속에 잘 가두기를... 2016-10-23 0 4214
1692 詩어는 꽃잎에 닿자 나비, 꿀벌이 되다... 2016-10-21 0 4032
1691 詩리론은 하나의 울타리로서 늘 시인을 괴곱게 한다... 2016-10-21 0 4978
1690 詩여, 독침이 되라... 2016-10-21 0 4081
1689 詩의 첫행은 시인과 독자가 만나는 최초의 순간이다... 2016-10-21 0 4312
1688 한국 현대시사 최초의 선시리론자 - 김종한 2016-10-21 0 4309
1687 냄새가 나는 "조감도"(鳥瞰圖)냐, "오감도(烏瞰圖)냐... 2016-10-21 0 4562
1686 다시 떠올리는 정지용 시모음 2016-10-21 0 3934
1685 훌륭한 詩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진다... 2016-10-21 0 4495
1684 詩作에서 "창조적 변용"아냐, "몰상식적 표절"이냐가 문제면 문제 2016-10-20 0 5228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