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童心童詩} - 꽃이름 부르면
2016년 04월 02일 23시 24분  조회:4415  추천:0  작성자: 죽림

머뭇머뭇하며 봄이 오고 있다. 그 동안 추위에 움츠리고 있었는데, 이제 기지개를 켜고 밖으로 나가야겠다.

김미혜 시인의 ‘꽃 이름 부르면’의 아이처럼 “숲을 쏘다니며/꽃 이름 배우”고 싶다. 바람꽃 너도바람꽃 새끼노루귀 애기괭이눈 깽깽이풀…… 이름을 들어본 것도 있는 듯싶지만 어떤 풀인지, 어떤 꽃인지 머릿속에 그려지지 않는다. 백과사전 검색으로 찾아보니 관악산이나 북한산 산행을 하다가, 동네 불광천 산책을 하다가 보았던 기억이 난다. 귀엽고 예쁘고 신기하게 생긴 꽃과 풀이 많지만 민들레, 제비꽃, 토끼풀 등 몇몇 외에는 모양도 이름도 잘 익혀지지 않는다. 작년 여름에 한강변을 산책하다가 적황색 꽃이 요염하게 핀 것을 보고 능소화임을 알게 된 것은 소득이었다.

꿩의바람꽃 노루오줌 개불알풀. 이름들의 내력도 재미있을 것 같고, 막상 생김을 보면 이름처럼 특이하거나 괴상하지도 않다. 이름을 붙인 민중들의 생활감각은 지금의 나의 감각과는 꽤 달랐을 것이다. 이오덕 선생은 동시나 동화에 ‘이름 없는 꽃’이나 ‘이름 모를 새’ 같은 표현이 나오면 몹시 야단을 쳤다. 이름 없는 꽃이 어디 있느냐, 선조들이 다 이름을 붙였는데. 이름을 모르면 배워서 써야지, 모른다고 써서야 되겠느냐. 김미혜 시인은 이 시 외에도 꽃과 풀과 새 이름을 동시에 많이 썼다. 그런 작품을 읽으면 싱그러운 자연 속에서 나도 덩달아 풋풋해지는 듯하다.

인공지능 알파고가 바둑 천재 이세돌 9단을 물리쳐 화제다. 알파고의 불행은 ‘예쁘고 우스운’ 꽃 이름을 부르며 “햇살 아래/작은 꽃”이 되어보는 기쁨을 아직 모른다는 것이 아닐까.

/김이구 문학평론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43 생태문학과 소통해보다... 2016-02-01 0 4809
1042 력사속의 시인 모윤숙... 2016-01-31 0 4750
1041 력사속의 시인 노천명... 2016-01-31 0 5304
1040 詩는 언어를 통해 언어의 구속에서 벗어나야... 2016-01-31 0 5699
1039 예쁜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1-31 0 5781
1038 詩의 재료는 바로 시인 자신 2016-01-31 0 6652
1037 詩씨기에서 동심적 발상을 하라 2016-01-31 0 4857
1036 詩쓰기에서 고정관념 깨고 상상의 날개를 활짝... 2016-01-31 0 4627
1035 독서광 - 책벌레 - 1억1만3천번 읽다... 2016-01-26 0 4884
1034 문덕수시론 2016-01-22 0 5830
1033 詩를 왜 사랑하는가?! 2016-01-22 0 4557
1032 (자료) 중국조선족문학 개요 2016-01-22 0 5269
1031 잊혀진, 잊지말아야 할 조선족천재시인 - 주선우 2016-01-22 0 5249
1030 건국후, 조선족시인으로서 첫 개인시집 출판한 주선우 2016-01-22 0 5469
1029 詩의 시대, 詩의 위기, 詩의 소멸... 2016-01-21 0 5716
1028 詩와 함께 평생을 살기로... 2016-01-21 0 6027
1027 詩는 언어로 짓는 寺院 2016-01-21 0 5931
1026 '2016 신춘문예 童詩 당선작 2016-01-21 0 4457
1025 (자료) - 현대시 흐름 2016-01-21 0 5318
1024 詩를 주문제작해 드리는 시대가 왔다... 2016-01-21 0 4861
1023 윤동주 시인을 좋아하는 리유?- 2016-01-21 0 5039
1022 문학을 기존안에 가두려는것 폭력? 전통시는 死亡? 2016-01-21 0 4245
1021 <론쟁> = 시인는 언어질서 파괴자? / 극단적 "미래파 시"는 사기? 2016-01-21 0 4401
1020 시문학의 현주소? / 오감도! 육감도? 2016-01-21 0 4568
1019 이상한 시나라에서 이상한 시인모임 2016-01-21 0 4346
1018 김철호 詩評/ 최삼룡 ... 김철호론/ 김만석... 2016-01-20 0 4682
1017 시에 안부를 묻다... 김영건 시인 2016-01-20 0 4450
1016 미래파 = 전위예술운동 2016-01-20 0 4309
1015 사전에 없는 말, 장난처럼 꺼낸 말... 2016-01-20 0 4584
1014 <<서정시파>>냐?! <<미래파>>냐!?... 2016-01-20 0 4137
1013 미래파시와 미래파시인은 미래가 있을가... 2016-01-20 0 5131
1012 詩밖의 詩의 낯선 세계에로 들어가 보다... 2016-01-19 0 4546
1011 왜 미래파?... 시, 시인, 독자... 2016-01-19 1 6612
1010 詩를 보면 詩人을 알것 같은, -시의 문을 두드려라... 2016-01-19 1 4397
1009 미래파 시인들과 다시 보는 李箱, 그리고 白石 2016-01-19 0 4660
1008 시, 시인, 그리고 그 가족들 - 이육사시인 형제들 2016-01-18 0 7335
1007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형은 시인, 동생 둘 中 한사람은 소설가, 다른 한사람은 극작가... 2016-01-18 0 6380
1006 시다운 詩, 시인다운 詩人을 찾아보기... 2016-01-17 0 4751
1005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이은상 시인 2016-01-15 0 10076
1004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황지우 시인 2016-01-14 0 5249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