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안녕?- 아침 詩 두송이} - 나무들의 목소리
2016년 03월 04일 06시 44분  조회:4425  추천:0  작성자: 죽림

어쩌면 우리는 수줍지만 힘센 나무들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무들도 새처럼 날아가고 싶습니다.

그러나 대지에 붙들려 있습니다. 나무들도 높은 목소리로 밤마다 노래를 부릅니다. 그러나 하늘의 달처럼 대지에서 풀려나 높이 떠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는 늘 옛사랑에 붙들린 가슴처럼 어떤 체념과 갈망 사이에서 괴로워하면서 삶의 창살을 흔들어 댑니다.

나무들이 푸른 가지로 자유롭게 하늘의 끝까지 뻗어나간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나 봐요. 나무는 한 곳에 붙박인 채 몸을 뒤트는 힘으로 봄마다 1㎝씩 자라고 숲은 조금씩 넓어집니다. 밀란 쿤데라는 이런 시를 쓴 적이 있어요. “시인이 된다는 것은/끝까지 가보는 것을 의미하지//행동의 끝까지/희망의 끝까지/열정의 끝까지/절망의 끝까지”(‘시인이 된다는 것은’) 오늘로 저는 연재를 마무리합니다. 아, 끝까지 가보기 전인데, 몸에 살짝 탈이 났습니다. 하지만 여러분과의 아침은 늘 행복했어요.

서운한 마음으로 베알뤼의 시를 읽으며 깨닫습니다. 수줍으나 힘센 나무들은 끝까지 가보려고 천천히 자라난다는 것을요. 또 제 곁에는 다른 나무가 있다는 것도요. 그런 한 그루 나무를 닮은 시인, 수줍으나 힘센 시인님이 여러분들 곁을 찾아갈 겁니다. 여러분의 아침을 시로 열며 시의 숲을 한 뼘씩 넓혀가 주실 거예요. 시의 아름다움이 이 세상의 끝에 닿을 때까지 우리 모두 나무처럼 튼튼하기로 해요!

/진은영 시인ㆍ한국상담대학원대학 교수



====================================================
쓸모없는 이야기
 

                                                                     / 진은영

종이

질문들

쓸모없는 거룩함

쓸모없는 부끄러움

푸른 앵두

바람이 부는데

그림액자 속의 큰 배 흰 돛

너에 대한 감정

빈집 유리창을 데우는 햇빛

자비로운 기계

아무도 오지 않는 무덤가에

미칠 듯 향기로운 장미덩굴 가시들

아무도 펼치지 않는

양피지 책

여공들의 파업 기사

밤과 낮

서로 다른 두 밤

네가 깊이 잠든 사이의 입맞춤

푸른 앵두

자본론

죽은 향나무숲에 내리는 비

너의 두 귀



///(시평)

‘바통’ 아시지요?
-------
 (1)
@!@
"바통(프랑스어)
[체육] 이어달리기 경주에서, 앞선 주자 다음 주자에게 넘겨주는 작은 막대기.

(례); 이어달리기 경기에서 바통 떨어뜨려 우리 꼴등 했다.
 
(2)

권한이나 의무, 역할 따위 다음 사람에게 넘겨주거나 사람으로부터 받는 비유적으로 이르는 .///

---------

어렸을 적 운동회에서 건네 받았던 흰 바통이 떠올랐는데,
그때의 느낌이 여전히 생생하다는 것이 신기한 아침이에요.

달려오는 친구를 보고 있었지요. 조금 전 친구의 바통은 저의 바통이 되었지요. 처음 잡아본 바통은 아주 가벼웠어요.

 

달리기는 생각할 틈이 없었어요. 바통을 떨어뜨리지 말아야지 하다 보니 저의 바통은 또 다른 친구의 바통이 되어 있었어요.

바통의 쓸모는 무엇일까요? 어떤 것에 쓸모라고 이름 붙여줄 수 있을까요?
종이에서 너의 두 귀까지, 이 목록에 시인은 ‘쓸모없는 이야기’라는 제목을 달았어요. 제목과는 달리 읽을수록 촉감과 소리와 침묵과 색과 향기로 풍성해져요. 한 행 한 행은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서로 영향을 주고 있어요. 종이와 펜이 만나야 질문이 생겨나요. 거룩함과 부끄러움은 푸른 앵두처럼 동일한 곳에서 발생하는 것들이죠. 이렇게 이어지게 읽어도 자연스럽죠. 크기와는 무관하게, 함께 있으면서 서로를 함부로 지우지 않는 풍경처럼요.

그럼에도 세상의 기준에서 본다면 이 목록들은 여전히 쓸모없는 것들이죠. 그렇다면 죽은 향나무숲에 비는 왜 내릴까요? 우리는 바로 불필요한 질문임을 알아차리죠. 자주 잊어서 그렇지 우리는 이미 알고 있어요. 쓸모없는, 더 정확하게는 쓸모없어 보이는 움직임이 없다면, 서로 다른 두 밤에서 오늘이 생겨나지 않는다는 것을. 미칠 듯 향기로운 장미덩굴마저 없으면 진짜 무덤이 되어버린다는 것을 말이죠. 장미도 이 시간이 어렵기는 마찬가지여서 가시가 함께 견뎌주고 있어요.

시인은 우리에게 이렇게 이야기해주고 싶은 걸 거예요. 쓸모가 있으면 쓸모는 사라져요. 쓸모에 닿지 않아 쓸모의 간절함은 계속돼요. 쓸모부터 생각하면 두 귀는 열려 있어도 닫혀 있는 거예요. 햇빛이 나타나기 좋은 곳은 빈집이에요. 쓸모없는 목록을 만들어나가요. 쓸모에 함몰되지 않을 거예요.

시인의 이 목록을 바통으로 받을게요. 꼭 어릴 적 그 기분입니다. 꽃 한 송이처럼 눈 한 송이처럼 시를 읽어 주세요. 꽃도 눈도 붙잡을 수 없어 아름다워요. 쓸모없어 깨끗해요. 시도 닮은 얼굴을 갖고 있어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43 생태문학과 소통해보다... 2016-02-01 0 4578
1042 력사속의 시인 모윤숙... 2016-01-31 0 4641
1041 력사속의 시인 노천명... 2016-01-31 0 5171
1040 詩는 언어를 통해 언어의 구속에서 벗어나야... 2016-01-31 0 5640
1039 예쁜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1-31 0 5725
1038 詩의 재료는 바로 시인 자신 2016-01-31 0 6568
1037 詩씨기에서 동심적 발상을 하라 2016-01-31 0 4697
1036 詩쓰기에서 고정관념 깨고 상상의 날개를 활짝... 2016-01-31 0 4555
1035 독서광 - 책벌레 - 1억1만3천번 읽다... 2016-01-26 0 4818
1034 문덕수시론 2016-01-22 0 5754
1033 詩를 왜 사랑하는가?! 2016-01-22 0 4469
1032 (자료) 중국조선족문학 개요 2016-01-22 0 5214
1031 잊혀진, 잊지말아야 할 조선족천재시인 - 주선우 2016-01-22 0 5191
1030 건국후, 조선족시인으로서 첫 개인시집 출판한 주선우 2016-01-22 0 5357
1029 詩의 시대, 詩의 위기, 詩의 소멸... 2016-01-21 0 5606
1028 詩와 함께 평생을 살기로... 2016-01-21 0 5878
1027 詩는 언어로 짓는 寺院 2016-01-21 0 5832
1026 '2016 신춘문예 童詩 당선작 2016-01-21 0 4365
1025 (자료) - 현대시 흐름 2016-01-21 0 5241
1024 詩를 주문제작해 드리는 시대가 왔다... 2016-01-21 0 4759
1023 윤동주 시인을 좋아하는 리유?- 2016-01-21 0 4921
1022 문학을 기존안에 가두려는것 폭력? 전통시는 死亡? 2016-01-21 0 4124
1021 <론쟁> = 시인는 언어질서 파괴자? / 극단적 "미래파 시"는 사기? 2016-01-21 0 4275
1020 시문학의 현주소? / 오감도! 육감도? 2016-01-21 0 4487
1019 이상한 시나라에서 이상한 시인모임 2016-01-21 0 4258
1018 김철호 詩評/ 최삼룡 ... 김철호론/ 김만석... 2016-01-20 0 4624
1017 시에 안부를 묻다... 김영건 시인 2016-01-20 0 4358
1016 미래파 = 전위예술운동 2016-01-20 0 4160
1015 사전에 없는 말, 장난처럼 꺼낸 말... 2016-01-20 0 4383
1014 <<서정시파>>냐?! <<미래파>>냐!?... 2016-01-20 0 4046
1013 미래파시와 미래파시인은 미래가 있을가... 2016-01-20 0 5046
1012 詩밖의 詩의 낯선 세계에로 들어가 보다... 2016-01-19 0 4436
1011 왜 미래파?... 시, 시인, 독자... 2016-01-19 1 6495
1010 詩를 보면 詩人을 알것 같은, -시의 문을 두드려라... 2016-01-19 1 4289
1009 미래파 시인들과 다시 보는 李箱, 그리고 白石 2016-01-19 0 4596
1008 시, 시인, 그리고 그 가족들 - 이육사시인 형제들 2016-01-18 0 7210
1007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형은 시인, 동생 둘 中 한사람은 소설가, 다른 한사람은 극작가... 2016-01-18 0 6306
1006 시다운 詩, 시인다운 詩人을 찾아보기... 2016-01-17 0 4704
1005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이은상 시인 2016-01-15 0 9873
1004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황지우 시인 2016-01-14 0 5102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