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쓰기에서 상징, 알레고리를 리용하기
2016년 02월 07일 01시 13분  조회:4960  추천:0  작성자: 죽림
상징과 알레고리는 모두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방법은 전혀 다릅니다.
상징이 추상적인 것을 눈에 보이는 사물로 표현한다면 알레고리는 보다 은유적이고 의인화된 것으로 표현합니다.

상징의 예를 들면, 십자가 => 기독교, 태극기=> 한국, 흰 드레스 => 순결, 빨강 파랑 노랑 => 교통신호....
그에 비해,
알레고리는 대개 은유나 풍유, 의인화된 사물로 표현됩니다.

<천로역정>, <동물농장>, <이솝우화> 등은 추상적 개념이나 동물이 의인화되어 나오는데, 이런 경우가 바로 알레고리에 해당합니다. 또 상징처럼 알기 쉽게 기호나 사물로 표현되지 않고 수수께끼처럼 이면에 감춰져 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리대왕> 같이 무인도에 갇힌 아이들을 통해 정치, 선과 악, 인간본성에 대해 풍자하는 경우죠.
발터 벤야민은 알레고리가 텍스트나 회화에 신화적이고 역사화된 배경을 설정하기 때문에 상징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알레고리에 비하면 상징은 잠시 머물다 사라지는 것에 불과하다고 했죠. 그만큼 어려운 개념이라는 얘기겠죠.

<상징과 알레고리>

1. 상징
① 상징의 본질
-상징이란 어원은 (한데 던지다.비교하다, 표시)라는 의미다.
-한 심상과 한 관념을 상상에 의하여 연결시킬수 있는 방법
-상징은 불가시적이고 형이상적인 실재를 드러내는 가시적형 또는 대상을 뜻하는 것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
-은유는 1:1의 유추적 관계에 의존하지만 상징은 아니다.
-상징은 확장된 은유이다.
-캇시러: 신호는 조작자, 상징은 지시자
: 인간을 상징적 동물로 정의
-신호는 동물적 존재 세계 일부, 상징은 인간의 의미세계일부
-william York Tindall - 신호와 상징의 차이점
ㄱ.신호는 명확한 것. 상징은 불명확한 것
ㄴ.상징은 어떤 것을 남김없이 나타낼 수 없고 우리가 말할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사상과 감정을 암시
ㄷ.신호는 본의에 관심을 상징은 유의 자체에 관심을 갖는다.
ㄹ.신호는 작자와 독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중시, 상징은 그것 자체와 독자 사이의 의사소통에 있다.
-시인의 임무
ㄱ.의미를 관념 그대로 전달하지 않고 구체적인 심상으로 형상화 시켜 전달
ㄴ.시가 상징을 그 표현의 가장 직접적인 질료로 삼게 된 이유는 관념 이전의 근본적인 의미를 전달해 주는 것
ㄷ.시인은 감동과 생기, 염감으로써 힘을 북돋아 주는 동시에 기쁨을 주는 것
② 상징과 시
-이미지가 지니는 언어적 한계를 무한히 넓혀, 언어 이상의 본질적 , 실체적 세계로 이끌어 가는 작용이 시에 있어서의 상징화 작용이다.
-비둘기가 (평화)를 상징한다고 말할수 있는 것은 (연상작용) 때문이다.
-개인적 상징 - 윤동주(십자가), 이육사(절정)
-관습적 상징(비유) - 이장희(봄은 고양이로다.)
-유치환(깃발) - 확장된 은유 상징

2. 알레고리
① 알레고리의 본질
-하나를 말하여 다른 것을 의미할 때 알레고리가 나타난다고 한다.
-비유는 유의와 본의가 유사 관계를 가지며 이들이 문면에 확연히 드로나는 경우에 볼 수 있다.
-자의적 이질관계(유의가 생략된 본의를 지시하는 관계): 기호
-연상적 이질 관계(유의가 생략된 본의를 암시하는 관계): 알레고리.상징
-유의가 본의를 번역해 내면: 알레고리
-유의와 본의가 통합되어 의미를 현현시키면 : 상징
-알레고리는 비유와 기호처럼 유의와 본의가 구별된다.
상징은 그것이 통합되어 분리되지 않는다.
-알레고리의 본의는 기성의 도덕과 윤리의 추상적 개념을 갖는다.
-상징 우월론은 낭만주의 이후 대두되었고 상대적으로 알레고리는 위축
-프라이- 모든 비평은 알레고리이다.
-알레고리의 범주에서 작품을 해석할 때 나타나는 특질
ㄱ.수사적 측면에서 주로 의인화와 문답법의 기법을 나타낸다.
ㄴ.인식론 측면에서 이원론과 상반성을 갖는다.
ㄷ.의미론적 측면에서 현세성과 교훈성을 갖는다.

3. 상징적 표현의 방법
(개인적, 관습적, 제도적, 원형적 상징)
① 작품전체가 하나의 상징을 이루는 경우
-윤동주(슬픈족석)
-시의 본문 전체가 하나의 뭉뚱그려진 상징을 이루고 있다.
-한용운(알수 없어요)
-김춘수(이중섭)
-이상(최후), 마광수(신)
② 어떤 상징적 시어가 의도적으로 쓰여져 상징적 의미를 환기시키는 경우
-조병화(의자): 지금 어드께 쯤....
-이작품에 나오는 (의자)는 일상적 의미가 아니라 상징적 의미로 쓰였다. (아침)과 (묵은의자)가 서로 대비되면서 시간이 흘러가면서 세대가 교체되고 모든 것이 역사적으로 변해간다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암시
-김수영(눈)
-김춘수(꽃)
-이러한 (의자, 눈, 꽃)같은 보편적인 소재를 상징적 시어로 승화 시킬 때 거기서 상징의 확산과 승화작용을 일으킬수 있다.
③ 원형적 상징을 응용하는 경우
-원형의 이론은 문학의 해석에 있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기한다.
ㄱ.꿈과 신화의 의식은 근본적으로 보편적인 정서적 욕구를 충족 시키거나 보편적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접적으로 변장된 비공리적 방법
ㄴ.상징은 실제로는 그 행위를 초월한 다른 관념의 세계를 보여주는 암시적이고 간접적인 방법
ㄷ.결국 원형이란 가장 보편적인 상징이다.
ㄹ.이때 시인은 일시적이고 현상적인 세계를 초월하여 영원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원형적 상징들의 예
바람: 호흡, 영감, 생기, 정신, 시련
원: 통일성,전체성, 의식과 무의식의 결합, 영원한 회귀
강물: 시간의 흐름, 생의 윤회
-성적 상징 - 구두를 신는 행위
- 뱀
-꽃을 밟고 지나가다.
(사디스틱한 마조키즘)
-서정주(화사)
-마광수: 자궁 회귀 본능을 원형적 상징의 소재로 한시 → 불편한 가운데서 미의식을 충족 → 무거은 귀걸이, 목걸이, 긴손톱, 뾰족구두
-김춘수(봄바다)

4. 알레고리적 표현의 방법
① 알레고리적 주제를 상징적 기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삼아서 시 창작에 알레고리를 응용해야 한다.
② 알레고리는 결국 어떤 교훈적 메시지를 독자에게 은근하게 전달하려고 할 때 쓰이는 방법
③ 정치풍자적 알레고리 시
-김수영(폭포)

/김진학 시창작론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23 김립 시모음 2016-10-30 0 5782
1722 대만 현대시 흐름 알아보기 2016-10-30 0 4207
1721 구름도 가고 순경도 가고 남은건 나와 나의 그림자와... 2016-10-30 0 3347
1720 대만 모더니즘 선도자 - 예웨이롄 2016-10-30 0 3543
1719 대만 녀성시인 - 옌아이린(옌艾琳) 2016-10-30 0 3647
1718 대만 시인 - 余光中 2016-10-30 0 3891
1717 나를 오리신고는 침선으로 나를 꿰매셨다... 2016-10-30 0 3415
1716 "동주" - 그는 가깝고 그리운 한 사람이다... 2016-10-29 0 4134
1715 5 + 7 + 5 = 17 2016-10-28 0 4247
1714 깨여나보니 유명해져 있었다... 2016-10-28 0 4123
1713 ...바로 탐욕이다... 2016-10-28 0 3834
1712 새들은 왜 록색별을 떠나야만 하는가... 2016-10-28 0 3769
1711 우리가 언젠가는 "사막의 꽃뱀"이 될지도 모른다... 2016-10-28 0 3906
1710 어느 날 페허 잔해속에서 원자로 화석을 발굴하라... 2016-10-28 0 4338
1709 詩人은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저항하라... 2016-10-28 0 4047
1708 詩는 희곡을 "언어예술의 집"으로 건축하는 벽돌이다... 2016-10-28 0 3437
1707 詩와 비평은 쌍두마차이다... 2016-10-28 0 3810
1706 비평가의 詩, 詩人의 비평,- 립장을 바꿔보다... 2016-10-28 0 3395
1705 詩란 "내가 나의 감옥"에서 뛰쳐나가기이다... 2016-10-28 0 4442
1704 詩란 유일무이한 그릇에 유일무이하게 헌것을 새롭게 담는것... 2016-10-28 0 3627
1703 "시를 읽지 않는 사람들"도 사랑하는 시인 -니자르 카바니 2016-10-28 0 3951
1702 아랍의 詩는 손가락에서 흘러나오는 눈물... 2016-10-28 0 4754
1701 詩적 상상력을 중첩, 확대하는것은 실체(체험)를 바탕하기... 2016-10-27 0 3964
1700 현대시의 난해한 벽을 허물어보기 2016-10-26 0 4189
1699 불온한 상상력들이 광란의 춤사위에 나으다 2016-10-26 0 4062
1698 눈뿌리가 아플 정도의 포스터모더니즘의 한계 2016-10-26 0 3932
1697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는 언어가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와 련관된다... 2016-10-26 0 4790
1696 즐거움의 순간과 죽음의 망령은 삶의 련속이다... 2016-10-25 0 4269
1695 詩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2016-10-25 0 4049
1694 詩 같은 수필, 수필 같은 시를 쓰라... 2016-10-25 1 3931
1693 詩란 태음신과 같은 현무(玄武)로서 시첩(詩帖)속에 잘 가두기를... 2016-10-23 0 4023
1692 詩어는 꽃잎에 닿자 나비, 꿀벌이 되다... 2016-10-21 0 3905
1691 詩리론은 하나의 울타리로서 늘 시인을 괴곱게 한다... 2016-10-21 0 4817
1690 詩여, 독침이 되라... 2016-10-21 0 3888
1689 詩의 첫행은 시인과 독자가 만나는 최초의 순간이다... 2016-10-21 0 4172
1688 한국 현대시사 최초의 선시리론자 - 김종한 2016-10-21 0 4152
1687 냄새가 나는 "조감도"(鳥瞰圖)냐, "오감도(烏瞰圖)냐... 2016-10-21 0 4371
1686 다시 떠올리는 정지용 시모음 2016-10-21 0 3731
1685 훌륭한 詩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진다... 2016-10-21 0 4137
1684 詩作에서 "창조적 변용"아냐, "몰상식적 표절"이냐가 문제면 문제 2016-10-20 0 5067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