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신화 7...
2015년 06월 10일 22시 04분  조회:5118  추천:0  작성자: 죽림
~ ^^

 



단군신화

단군이야기는 완전 조금 밖에 없다. 단군신화가 아니라 환웅신화라 해도 될 것 같은 느낌이 온다.

모든 신화와 마찬가지로 단군신화도 많은 상징을 담고 있다. 환웅이 지상계로 하강할 때 풍백, 우사, 운사를 거느린 것은

농경생활이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환웅과 웅녀의 결혼은 이주족과 신주족의 결합을 의미한다. 단군왕검은 제정일치 시대의 고유명사 라고 한다. 이런 상징들은 다 알고있었던 거라 그리 놀랍지 않았다.

 

주몽신화

햇빛을 받아 잉태한 유화는 왼족 겨드랑이로 알을 낳는다. 이건 무슨 상징인걸까?
주몽이 위대한 왕이니까 탄생도 특이하게 쓴건가? 웃기다. 겨드랑이에서 왕이 나오다니ㅋㅋ

여튼, 알에서 태어난 줌오은 어렸을 때 부터 재주가 뛰어났다고 한다. 그러자 금와왕의 아들들이 질투하여 그를 괴롭힌다.

주몽은 자신이 천제의 손 인데 다른 사람의 말을 먹이고 있다는 것이 치욕스럽다 생각하여 남쪽 땅에서 국가를 세우려 한다.

비류왕과의 대결에서 이긴 주몽은 비류땅도 차지한다. 추구월에 하늘로 올라간 주몽은 다시는 내려오지 않았다고 한다.

단군신화와 비슷한 느낌이 난다. 둘다 건국신화라 그런 것 같다. 두 작품의 차이점은 난생인 주몽은 태양숭배사상을

태생인 단군은 곰 토템 신앙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신라 시조 혁거세왕

단군신화, 주몽신화와 마찬가지로 혁거세왕 신화도 왕이 천신의 자손임을 드러내고 있다. 어렸을 때는 신화들을 그냥 이야기로만 읽었는데 이렇게 해석까지 하니까 더 흥미로운 것 같다.

옛날 사람들의 비유가 놀라웠다. 자줏빛 알..계룡..

 

구토설화

거북이와 토끼가 서로 속고 속이는게 인간 세태에 대한 풍자라는데 정말 맞는 것 같다.

이렇게 풍자한 것을 읽으니 재미있고 더욱 와닿는다. 르네상스 시대 사람들이 에라스무스의 <우신예찬>을 봤을 때

이런 느낌이었을 것 같다. 구토설화는 인도의 용원설화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한다. 이게 신라 선덕여왕 때 지어진

설화인데 아마 이 때 인도랑 무엇을 하고 있지 않을까? 나의 추측이다.

 

도미설화

이 설화는 관탈민녀설화라고 한다. 중세시대의 초야권이 생각났다.

 

지귀설화

선덕여왕을 너무 좋아해서 불귀신이 되다니.. 지귀는 집착이 엄청 강한 것 같다.

불쌍한 지귀.. 선덕여왕을 안 봤으면 죽을 일도 없었을텐데, 다음생에는 행복하게 잘 살길 바란다.

 

연오랑세오녀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본에 건너가서 왕과 귀비가 되었다는 것은 우리 민족의 우월의식을 반영한 것이고 해와 달의 정기를 빼앗겼다는 것은 일본에 대한 경계심을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은 예전부터 쭈욱 라이벌 관계였군.

언제가 시작이었는지 궁금하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37 인생 황금률 2015-07-25 0 6544
236 姓氏의 비밀 2015-07-17 0 5511
235 특이한 姓氏 2015-07-17 0 5447
234 新體詩란? 2015-07-12 0 5041
233 할만할 때 우리 문학을 살리자... 2015-07-04 0 5562
232 언제면 언어의 규법화가 될런지... 2015-07-01 0 7449
231 愛... 2015-06-28 0 5598
230 퍼포먼스 = 행위예술 2015-06-26 0 5266
229 표절과 모방 2015-06-26 0 5343
228 다시 읽는 우리 문학 3 2015-06-22 0 4936
227 최삼룡 평론가 저서 출간 2015-06-22 0 6308
226 假眞 오랜만에 장편 출간 2015-06-22 0 5489
225 휘파람 작곡가 2015-06-21 0 5556
224 우리 말 어디서 왔지??? 2015-06-20 0 5125
223 단오(端午節) 2015-06-20 0 5097
222 시만들기 프로그램과 현대시 곤혹 / 삼박자 독서법 2015-06-20 0 6643
221 년령명칭 및 결혼기념별 명칭, 나이 명칭... 2015-06-16 0 5322
220 최남선시인 시집부터... 쭈 욱... 2015-06-16 0 10344
219 사투리 시번역 2015-06-14 0 5057
218 시 번역 구글 번역기로... 2015-06-14 0 6489
217 신화 7... 2015-06-10 0 5118
216 단군신화 2015-06-10 0 5547
215 檀君王儉 2015-06-09 0 6267
214 檀君 2015-06-09 0 5169
213 사투리(문경지방) 2015-06-08 0 6802
212 할매 할배 얘기... 2015-06-08 0 4732
211 계영배(戒盈杯) = 절주배(節酒杯) 2015-06-07 0 13378
210 12초 2015-06-07 0 5369
209 세상 다르게 보기 - 자연과 하나되는 자유 2015-05-31 0 5189
208 재밋있는 월남어(베트남어) 2015-05-30 0 5770
207 아름다운 우리 말 잘 알고 쓰기 2015-05-30 0 4883
206 세계 명언 (클릭...) 2015-05-21 0 7170
205 시쓰기에 수사법 리용하기 2015-05-17 1 5824
204 시의 표현법 - 修辭法 2015-05-17 0 7158
203 진짜 수사법 알기 2015-05-17 0 5022
202 시에서 수사법 알기 2015-05-17 0 6931
201 치매를 돕는 명언 한트럭 기억하기 2015-05-16 0 7895
200 중, 고등학교 학생들;- 대학입시 론설문쓸 때 꼭 필요한 명언과 속담들. 2015-05-16 0 6005
199 비속어의 例 2015-05-03 0 6803
198 미국 <<욕>> 종류 2015-05-03 0 6095
‹처음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