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신화 7...
2015년 06월 10일 22시 04분  조회:5121  추천:0  작성자: 죽림
~ ^^

 



단군신화

단군이야기는 완전 조금 밖에 없다. 단군신화가 아니라 환웅신화라 해도 될 것 같은 느낌이 온다.

모든 신화와 마찬가지로 단군신화도 많은 상징을 담고 있다. 환웅이 지상계로 하강할 때 풍백, 우사, 운사를 거느린 것은

농경생활이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환웅과 웅녀의 결혼은 이주족과 신주족의 결합을 의미한다. 단군왕검은 제정일치 시대의 고유명사 라고 한다. 이런 상징들은 다 알고있었던 거라 그리 놀랍지 않았다.

 

주몽신화

햇빛을 받아 잉태한 유화는 왼족 겨드랑이로 알을 낳는다. 이건 무슨 상징인걸까?
주몽이 위대한 왕이니까 탄생도 특이하게 쓴건가? 웃기다. 겨드랑이에서 왕이 나오다니ㅋㅋ

여튼, 알에서 태어난 줌오은 어렸을 때 부터 재주가 뛰어났다고 한다. 그러자 금와왕의 아들들이 질투하여 그를 괴롭힌다.

주몽은 자신이 천제의 손 인데 다른 사람의 말을 먹이고 있다는 것이 치욕스럽다 생각하여 남쪽 땅에서 국가를 세우려 한다.

비류왕과의 대결에서 이긴 주몽은 비류땅도 차지한다. 추구월에 하늘로 올라간 주몽은 다시는 내려오지 않았다고 한다.

단군신화와 비슷한 느낌이 난다. 둘다 건국신화라 그런 것 같다. 두 작품의 차이점은 난생인 주몽은 태양숭배사상을

태생인 단군은 곰 토템 신앙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신라 시조 혁거세왕

단군신화, 주몽신화와 마찬가지로 혁거세왕 신화도 왕이 천신의 자손임을 드러내고 있다. 어렸을 때는 신화들을 그냥 이야기로만 읽었는데 이렇게 해석까지 하니까 더 흥미로운 것 같다.

옛날 사람들의 비유가 놀라웠다. 자줏빛 알..계룡..

 

구토설화

거북이와 토끼가 서로 속고 속이는게 인간 세태에 대한 풍자라는데 정말 맞는 것 같다.

이렇게 풍자한 것을 읽으니 재미있고 더욱 와닿는다. 르네상스 시대 사람들이 에라스무스의 <우신예찬>을 봤을 때

이런 느낌이었을 것 같다. 구토설화는 인도의 용원설화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한다. 이게 신라 선덕여왕 때 지어진

설화인데 아마 이 때 인도랑 무엇을 하고 있지 않을까? 나의 추측이다.

 

도미설화

이 설화는 관탈민녀설화라고 한다. 중세시대의 초야권이 생각났다.

 

지귀설화

선덕여왕을 너무 좋아해서 불귀신이 되다니.. 지귀는 집착이 엄청 강한 것 같다.

불쌍한 지귀.. 선덕여왕을 안 봤으면 죽을 일도 없었을텐데, 다음생에는 행복하게 잘 살길 바란다.

 

연오랑세오녀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본에 건너가서 왕과 귀비가 되었다는 것은 우리 민족의 우월의식을 반영한 것이고 해와 달의 정기를 빼앗겼다는 것은 일본에 대한 경계심을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은 예전부터 쭈욱 라이벌 관계였군.

언제가 시작이었는지 궁금하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7 볼가 보지 말가... 2015-02-24 0 6082
116 잊혀진 어원찾기 11 2015-02-24 0 6852
115 잊혀진 어원찾기 10 2015-02-24 0 6428
114 잊혀진 어원찾기 9 2015-02-24 0 5790
113 잊혀진 어원찾기 8 2015-02-24 0 5506
112 잊혀진 어원찾기 7 2015-02-24 0 5033
111 잊혀진 어원찾기 6 2015-02-24 0 7216
110 잊혀진 어원찾기 5 2015-02-24 0 5343
109 잊어진 어원찾기 4 2015-02-24 0 5499
108 잊혀진 어원찾기 3 2015-02-24 0 4788
107 잊어진 어원찾기 2 2015-02-24 0 6061
106 잊혀진 어원찾기 1 2015-02-24 0 4930
105 호곡령을 넘으며... 2015-02-21 0 5397
104 전통 절하는 방법 2015-02-19 0 5241
103 책 경매 !!! 2015-02-18 0 5581
102 연변 방언 2 2015-02-17 0 5359
101 연변 사투리 모음 2015-02-17 0 9302
100 격언;- 시간에 관하여 2015-02-17 0 4990
99 조선시대 정경 2015-02-17 0 5693
98 묘비명 2015-02-17 0 5103
97 고리끼 명언 2015-02-17 0 6634
96 명언 모음 2015-02-16 0 6875
95 결혼 축시 모음 2015-02-16 0 7510
94 세상에서 제일 2015-02-16 0 7091
93 제일 짧은 시와 제일 긴 시 2015-02-16 0 9032
92 영화의 제일 2015-02-16 0 4741
91 안중근 저술 2015-02-16 0 4722
90 안중근 유묵 18점 2015-02-16 2 5087
89 안중근 어머님 편지 2015-02-16 0 5197
88 안중근 좌우명 2015-02-16 0 5874
87 번자체와 간자체 2015-02-15 0 7395
86 닮은 꼴 비슷한 국기들 2015-02-15 0 6403
85 살림 지혜 모음 2015-02-15 0 6685
84 생활상식 180가지 2015-02-15 0 5517
83 삶과 6가지 진실 2015-02-15 0 5421
82 남자를 파는 가게 2015-02-15 0 6271
81 마음속에 새겨두라... 77가지 2015-02-15 0 6111
80 세계속 지페에 오른 녀성들 2015-02-15 1 5769
79 짧은 자서전 2015-02-15 0 6378
78 황금단어 51개 2015-02-15 0 5697
‹처음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