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모방시 / 그 례문
2015년 04월 04일 22시 23분  조회:5438  추천:0  작성자: 죽림

모방시가 무엇인가 알기 위해서 우선 시의 요소를 이해해야 합니다. 시의 요소에는 내용요소와 형식요소가 있습니다. 내용요소에는 '주제, 제재, 소재, 이미지' 등이 있고,  형식 요소에는 '시어, 시행, 연, 운율' 등이 있습니다.

모방시는 이와 같은 시의 요소 중에서 어떤 시의 형식 요소와 표현법을 그대로 모방해서 쓴 시를 말합니다. 즉, 행(줄)의 수, 연의 수, 운율 그리고 표현법이 원시와 비슷해야 모방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운율과 표현법과 어조 등은 그대로 본뜨고, 그 정해진 형식 안에다 새로운 소재와 주제를 담아 낸 시가 모방시라는 뜻입니다. 원래의 시와 모방시는 '주제'면에서만 다르고 그 외의 형식 면에서는 흡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모방시의 정의를 내린다면 '원시가 가진 형식적인 특징을 그대로 모방하여 새로운 주제로 재창조한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들이 모방시를 쓰게 하는 이유는 원시의 형식을 모방함으로써 그 우수함을 직접 느끼는 한편, 나의 창작으로 내용을 채움으로서 우수한 형식을 가진 한 편의 시를 써보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좋은 시를 쓰기 위한 훈련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러므로 장난삼아 쓰지 말고, 그 시의 운율이나 표현 방법, 의미 등을 파악한 뒤 그 중에서 어떤 것에 중점을 두어 모방할 것인지를 생각한 뒤 써야 합니다. 때로는 혼자서 쓰지 말고 친구들과 모둠을 만들어 함께 써보는 것도 좋습니다.

 

다음은 유재영 시인의 둑방길을 모방시로 써본 것입니다. 두 작품을 비교하면서 감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둑방길 (원시)

*출처 : 3-1교과서

산책길 (학생작품)

* 출처 : 교사용지도서

사랑길(학생작품)

* 출처 : 상남중 수업활동

 어린 염소

 등 가려운

 

 여우비도

 지났다.

 

 목이 긴

 메아리가

 

 자맥질을

 하는 곳

 

 

 

 마알간

 꽃대궁들이

 

 물빛으로

 흔들리고

 

 

 

 부리 긴

 물총새가

 

 느낌표로

 물고 가는

 

 

 

 피라미

 은빛 비린내

 

 문득 번진

 둑방길

 

 

 

 어머니

 마른 손 같은

 

 조팝꽃이

 한창이다.

 소나무

 밑둥에

 

 소북이 쌓인

 함박눈.

 

 

 

 꿈많은

 산짐승들이

 

 자고 있는

 산책길

 

 

 

 하아얀

 눈꽃들이

 

 바람에

 흩날리고

 

 

 

 작은

 다람쥐가

 

 먹이 찾아

 나오는

 

 

 

 상록수

 은은한 향기

 

 문득 풍긴

 산책길

 

 

 

 아무도

 오가는 이 없는

 

 고요한

 침묵뿐이다.

 정아와

 함께 웃던

 

 그 미소가

 피었다. 

 

 

 

 해맑은

 눈동자가

 

 별빛속을

 흐른 곳

 

 

 

 미리내

 작은 물줄기

 

 안개처럼

 감싸주고

 

 

 

 고옵게

 긴 머리를

 

 여신처럼

 흩날리는

 

 

 

 예리한

 큐피트 화살이

 

 문득 꽂힌 

 사랑길

 

 

 

 천사의

 선물과 같은

 

 추억만이

 남았다.

 

 

 

위 시의 표현을 살펴보자.

 

원시 <둑방길>은 시조인데, 현대적인 느낌을 살리기 위해 3장 6귀의 전통적인 형식으로 쓰지 않고, 각 수를 4행씩  나눔으로써 마치 자유시 같은 느낌을 주었다. 모방시인 <산책길>과 <사랑길>도 같은 형식을 취했다.

 

원시 <둑방길>의 '마알간'은 표준말이 '말간'이므로 시적허용에 해당된다. 모방시 <산책길>의 '하아얀(하얀)'과 <사랑길>의 '고웁게(곱게)' 역시 시적허용이다.

 

원시 <둑방길> 첫수의 종장이 '흔들리고'로 끝나며 여운을 남기는데, 모방시 2편 역시 '흩날리고'와 '감싸주고'로 끝나면서 같은 효과를 준다.

 

둘째수의 경우 종결어미가 같다. 즉, 표현효과가 같은 것이다.

<둑방길> --- 물고가는, 둑방길, 한창이다

<산책길> --- 나오는, 산책길, 침묵뿐이다

<사랑길> ---흩날리는, 사랑길, 남았다

 

그밖에도 각 장의 형식이 대체로 같다. 예를 들면 첫째 수의 중장을 살펴보자.

<둑방길> --- 목이 긴 메아리가 자맥질을 하는 곳

<산책길> --- 꿈많은 산짐승들이 자고 있는 산책길

<사랑길> --- 해맑은 눈동자가 별빛속을 흐는 곳

 

"000한 000가 0000는 000장소"라는 문장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도 모방시 2편은 원시와는 주제와 내용을 달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로써의 창의성을 보여주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23 김립 시모음 2016-10-30 0 6119
1722 대만 현대시 흐름 알아보기 2016-10-30 0 4420
1721 구름도 가고 순경도 가고 남은건 나와 나의 그림자와... 2016-10-30 0 3555
1720 대만 모더니즘 선도자 - 예웨이롄 2016-10-30 0 3724
1719 대만 녀성시인 - 옌아이린(옌艾琳) 2016-10-30 0 3807
1718 대만 시인 - 余光中 2016-10-30 0 4033
1717 나를 오리신고는 침선으로 나를 꿰매셨다... 2016-10-30 0 3598
1716 "동주" - 그는 가깝고 그리운 한 사람이다... 2016-10-29 0 4345
1715 5 + 7 + 5 = 17 2016-10-28 0 4379
1714 깨여나보니 유명해져 있었다... 2016-10-28 0 4262
1713 ...바로 탐욕이다... 2016-10-28 0 4004
1712 새들은 왜 록색별을 떠나야만 하는가... 2016-10-28 0 3940
1711 우리가 언젠가는 "사막의 꽃뱀"이 될지도 모른다... 2016-10-28 0 4032
1710 어느 날 페허 잔해속에서 원자로 화석을 발굴하라... 2016-10-28 0 4511
1709 詩人은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저항하라... 2016-10-28 0 4206
1708 詩는 희곡을 "언어예술의 집"으로 건축하는 벽돌이다... 2016-10-28 0 3623
1707 詩와 비평은 쌍두마차이다... 2016-10-28 0 4014
1706 비평가의 詩, 詩人의 비평,- 립장을 바꿔보다... 2016-10-28 0 3495
1705 詩란 "내가 나의 감옥"에서 뛰쳐나가기이다... 2016-10-28 0 4599
1704 詩란 유일무이한 그릇에 유일무이하게 헌것을 새롭게 담는것... 2016-10-28 0 3780
1703 "시를 읽지 않는 사람들"도 사랑하는 시인 -니자르 카바니 2016-10-28 0 4184
1702 아랍의 詩는 손가락에서 흘러나오는 눈물... 2016-10-28 0 4920
1701 詩적 상상력을 중첩, 확대하는것은 실체(체험)를 바탕하기... 2016-10-27 0 4241
1700 현대시의 난해한 벽을 허물어보기 2016-10-26 0 4389
1699 불온한 상상력들이 광란의 춤사위에 나으다 2016-10-26 0 4225
1698 눈뿌리가 아플 정도의 포스터모더니즘의 한계 2016-10-26 0 4168
1697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는 언어가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와 련관된다... 2016-10-26 0 4936
1696 즐거움의 순간과 죽음의 망령은 삶의 련속이다... 2016-10-25 0 4492
1695 詩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2016-10-25 0 4236
1694 詩 같은 수필, 수필 같은 시를 쓰라... 2016-10-25 1 4134
1693 詩란 태음신과 같은 현무(玄武)로서 시첩(詩帖)속에 잘 가두기를... 2016-10-23 0 4214
1692 詩어는 꽃잎에 닿자 나비, 꿀벌이 되다... 2016-10-21 0 4034
1691 詩리론은 하나의 울타리로서 늘 시인을 괴곱게 한다... 2016-10-21 0 4978
1690 詩여, 독침이 되라... 2016-10-21 0 4081
1689 詩의 첫행은 시인과 독자가 만나는 최초의 순간이다... 2016-10-21 0 4312
1688 한국 현대시사 최초의 선시리론자 - 김종한 2016-10-21 0 4309
1687 냄새가 나는 "조감도"(鳥瞰圖)냐, "오감도(烏瞰圖)냐... 2016-10-21 0 4562
1686 다시 떠올리는 정지용 시모음 2016-10-21 0 3934
1685 훌륭한 詩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진다... 2016-10-21 0 4495
1684 詩作에서 "창조적 변용"아냐, "몰상식적 표절"이냐가 문제면 문제 2016-10-20 0 5228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