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 101] - 27...
2020년 03월 08일 23시 29분  조회:3307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이것’만 있으면 리듬을 만들 수 있다?

 

 

분야 현대 시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교과 단원

중학교

 

문학의 갈래

고등학교

문학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

제 장래희망은 싱어송라이터예요. 그런데 음악하는 선배들에게 제가 쓴 가사를 보여 주면 내용은 좋지만 리듬이 느껴지지 않는다고들 해요. 대체 어떻게 하면 리듬을 만들 수 있을까요? 시에서 리듬을 만드는 방법을 알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이것’만 있으면 리듬을 만들 수 있다?

리듬은 반복에서 시작된다

시는 노래로부터 시작했습니다. 그러니까 시와 음악은 본래는 같은 것이었지요. 시간이 흐르면서 분화한 것입니다. 시가 노래에서 분화되기는 했지만 시에는 여전히 리듬감이 존재합니다. 우리는 그것을 운율이라고 부릅니다. ‘운’은 규칙적인 소리의 반복을 뜻하며 ‘율’은 소리가 반복되는 패턴을 의미합니다. 운율, 즉 리듬은 소리의 반복을 통해서 형성됩니다. 아무 음악이라도 떠올려 보세요. 어떤 박자를 계속 반복하면 리듬감이 생겨납니다. 시도 마찬가지입니다. 비록 음악처럼 선율은 없지만 특정한 소리나 호흡의 단위를 반복하면 리듬감이 생깁니다.

소리를, 단어를, 문장구조를 반복해 볼까?

시에서 반복되는 리듬의 요소는 몇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특정한 소리가 반복되는 것입니다. 고려 가요 「청산별곡」에서 ‘ㄹ’ 소리와 ‘ㅇ’ 소리가 반복되어 나타나는 후렴구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와 같은 경우도 있고,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에서 파도의 소리를 흉내 낸 “텨······ㄹ썩, 텨······ㄹ썩, 텩, 쏴······아.”처럼 음절이 반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둘째로 낱말이 반복될 때도 리듬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김소월의 「금잔디」에서 “잔디, / 잔디, / 금잔디, / 심심산천에 붙는 불은 / 가신 님 무덤가에 금잔디”라는 시구에는 ‘잔디’라는 단어가 반복되면서 리듬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같은 시인의 「접동새」에서 “접동 / 접동 / 아우래비 접동”과 같은 구절도 ‘접동’이라는 단어가 반복되어 운율감이 형성되었지요.

셋째로 문장구조가 반복되어 리듬감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주어+서술어, 주어+서술어’와 같이 문장구조가 반복되면 안정적인 리듬감이 만들어지는 동시에 주제를 강화할 수도 있습니다.

유관순 누나로 하여 처음 나는
삼월 하늘에 뜨거운 피무늬가 어려 있음을 알았다
우리들의 대지에 뜨거운 살과 피가 젖어 있음을 알았다
우리들의 조국은 우리들의 조국
우리들의 겨레는 우리들의 겨레
우리들의 자유는 우리들의 자유이어야 함을 알았다

박두진, 「3월 1일의 하늘」 중에서

위 시에는 ‘~음을 알았다’는 구절이 세 차례나 반복되어 있습니다. 조국에 대한 사랑이라는 주제를 강조하는 동시에 운율감을 형성하지요. 또한 “우리들의 조국은 우리들의 조국”처럼 ‘관형어 + 주어’의 형식이 반복되면서 문장의 리듬감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덧붙여서 음성 상징어를 구사해서 리듬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도란도란’, ‘퐁당퐁당’, ‘쑥덕쑥덕’처럼 음성 상징은 그 자체에 이미 반복적인 리듬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의 리듬을 형성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이육사의 「청포도」에서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 주저리 열리고”라든가, 박두진의 「묘지송」에서 “삐이 삐이 배, 뱃종! 뱃종!” 같은 표현에서 이런 사례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음절수의 반복, 호흡 단위의 반복

운율은 소리와 단어와 문장이 반복되는 것 이외에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읽는 패턴에 따라서 글자수가 반복되거나 일정하게 호흡의 단위가 반복되면 리듬감이 형성됩니다. 특정한 글자수가 반복되는 것을 음수율이라고 하고 호흡 단위가 반복되는 것을 음보율이라고 합니다.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

김동환, 「산 너머 남촌에는」 중에서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김소월, 「초혼」 중에서

첫 번째 작품을 보면 1연과 2연이 뭔가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글자의 배열이 첫행은 3자, 4자, 둘째행은 5자로 되어 있다는 점이지요. 3자, 4자, 5자가 반복된 것입니다. 앞의 3자, 4자를 합하면 7자가 되어 7자, 5자의 형식이 만들어지지요. 이를 두고 사람들은 7 · 5조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7 · 5자의 글자수가 각 행에 동일하게 반복되면서 음수율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근대 시 초기에 많이 등장했던 운율입니다.

두 번째 작품은 글자수가 잘 맞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약간의 규칙성이 느껴지지요. 그것은 각 행을 세 번씩 끊어 읽으며 리듬이 형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산산이 ˅ 부서진 ˅ 이름이여! / 허공중에 ˅ 헤어진 ˅ 이름이여!”처럼 세 번씩 끊어 읽기가 반복되면서 자연스럽게 음보율이 형성된 것입니다. 이처럼 시의 리듬은 박자와 선율이 없어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뜬금있는 질문

내재율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내재율은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고 시 속에서 은근하게 느껴지는 운율을 말합니다. 따라서 일정한 규칙이 없이 각각의 시에 따라서 자유롭게 만들어지게 되지요. 대개는 주제의식에 따라 형성되는 주관적이고 개성적인 운율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것’만 있으면 리듬을 만들 수 있다?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90 "자그마한 세계" 2018-06-14 0 2525
10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공상 2018-06-14 0 5092
1088 "비가 온다야 개미야 대문 걸어 잠궈라"... 2018-06-13 0 2548
10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공 2018-06-12 0 4607
1086 "꽃씨가 되여봄은..." 2018-06-12 0 2329
10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래일은 없다 2018-06-11 0 3504
1084 "우리는 '바다'에 관한 시를 쓸줄 모르외다"... 2018-06-11 0 2577
10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삶과 죽음 2018-06-11 1 9024
10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초한대 2018-06-10 0 5317
1081 "할머니가 흘러간 그 시간의 탑이지요"... 2018-06-09 0 2600
1080 중국인민해방군 군가, 조선인민군행진곡 작곡가 - 정률성 2018-06-08 0 5302
1079 동시는 개구쟁이 애들처럼 써라... 2018-06-07 0 2552
1078 "너 이름 뭐니...." 2018-06-07 0 2670
1077 별, 별, 별... 2018-06-06 0 2499
1076 동시창작 다양화를 두고 / 김만석 2018-06-03 0 2713
1075 "삶의 꽃도 무릎을 꿇어야 보인다"... 2018-06-02 0 2529
1074 "나무들이 작은 의자를 참 많이도 만든다"... 2018-06-02 0 2576
1073 "엄마와 아빠는 늘 바쁜 바다랍니다" 2018-05-31 0 2693
1072 "쌍둥밤은 엄마하고 냠냠"... 2018-05-30 0 2469
1071 "소나무는 꿈을 푸르게 푸르게 꾸고 있다"... 2018-05-30 0 2867
1070 "햇살 한 줄기 들길로 산책 나왔다"... 2018-05-28 0 2556
1069 "조선의 참새는 짹짹 운다" 2018-05-26 0 2531
1068 천재시인 李箱의 련작시 "오감도 제15호" 뮤지컬로 태여나다 2018-05-24 0 2833
1067 맹자 명언 2018-05-22 0 4029
1066 노자 도덕경 원문 . 해설 2018-05-22 0 5006
1065 노자(老子) 도덕경 명언 명담 2018-05-22 0 3740
1064 노자 도덕경 명언 모음 2018-05-22 0 6590
1063 중국 노나라 유교 시조 사상가 교육자 - 공구(공자) 2018-05-22 0 6957
1062 중국 춘추시대 현자 - 노담(노자) 2018-05-22 0 5005
1061 "돌멩이를 아무데나 던지지 마세요"... 2018-05-22 0 2538
1060 김철호 / 권혁률 2018-05-16 0 2789
1059 미국 녀류화가 - 그랜드마 모제스 2018-05-04 0 5139
1058 청나라 화가, 서예가 - 금농 2018-05-04 0 4618
1057 청나라 가장 유명한 양주팔괴 서예가들 2018-05-04 0 2761
1056 "사랑의 깊이는 지금은 모릅니다"... 2018-05-04 0 2554
1055 미국 시인 - 칼릴 지브란 2018-05-04 0 4464
1054 박문희 시를 말하다(2) / 최룡관 2018-05-02 0 2922
1053 박문희 시를 말해보다 / 김룡운 2018-05-02 0 3154
1052 "산노루" 와 "숫자는 시보다도 정직한것이었다"... 2018-04-26 0 2730
1051 축구세계, 시인세계... 2018-04-25 0 3357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