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 101] - 9...
2020년 02월 04일 00시 10분  조회:3120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중세 시대,
우리나라의 유행가는?

 

 

분야 고전 시가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교과 단원

중학교

 

문학에 대한 흥미

고등학교

국어Ⅱ

문학의 효용과 문학 활동

고려 가요는 귀족이 아니라 평민이 불렀다고 하는데 그럼 요즘 사람들이 부르는 유행가와 비슷했던 것인가요? 고려 가요의 내용이 주로 어땠는지 알고 싶어요.

중세 시대, 우리나라의 유행가는?

임의 발목을 잡는 노래, 「정석가」

고려 가요는 귀족의 노래가 아니라 평민의 노래였습니다. 신라 향가를 주로 화랑이라든가 승려가 지어 불렀던 것과는 차이가 있지요. 그런 점에서 고려 가요는 현재 대중이 즐겨 부르는 대중가요, 즉 유행가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우리가 즐겨 부르는 대중가요를 보면 남녀 간의 애정을 다루거나 사회현실을 풍자한 노래들이 있습니다. 또한 현실에서 느끼는 고단함이나 어려움을 토로한 노래도 있고 반면에 밝고 경쾌한 인생관을 담은 노래도 있습니다. 이처럼 대중가요를 살펴보면 대중이 느끼는 정서와 감정을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지요.

고려 가요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고려 가요에는 고려 시대 민중의 삶의 애환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편수는 역시 남녀 간의 애정담을 다룬 작품들입니다.

삭삭기1) 세모래2) 벼랑에 나imagefont
삭삭기 세모래 벼랑에 나imagefont
구운 밤 닷 되를 심습니다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난다면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난다면
유덕()하신 임과 이별하겠습니다

옥으로 연꽃을 새깁니다
옥으로 연꽃을 새깁니다
그 꽃을 바위 위에 접을 붙입니다
그 꽃이 세 묶음 피어나면
그 꽃이 세 묶음 피어나면
유덕하신 임과 이별하겠습니다

「정석가」 중에서

이 작품은 고려 가요 중에서 임과 이별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이때 ‘임’은 간혹 ‘임금’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만 사랑하는 임으로 해석하는 것도 틀린 해석은 아닙니다. 작품의 내용은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고 불가능한 일이 일어나면 그때에 임과 이별하겠다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임과 이별이 불가하다는 것을 강조해서 표현하고 있는 것이지요. 이처럼 고려 가요는 임과의 사랑과 이별을 다루고 있습니다.

몇몇 고려 가요의 내용을 살펴볼까요? 먼저 「가시리」에는 겉으로는 임과의 이별에 체념하면서도 미래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시적 화자의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또한 「서경별곡」은 대동강을 건너는 임에 대한 원망을 배를 내어 주는 뱃사공에 대한 원망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동동」은 일 년 열두 달을 하나씩 열거하면서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그려 낸 점이 특징적이지요. 이와 같이 고려 가요도 현대의 대중음악처럼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자주 소재로 사용했습니다.

부모님을 그리며 부르는 노래, 「사모곡」

여러분은 대중음악 중에서 뜻밖의 곡들이 사랑을 받는 것을 목격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인순이의 <아버지>라든가, 지오디의 <어머님께> 등 부모님을 그리워하며 부른 노래도 그중 하나이지요. 이런 곡들처럼 고려 가요에도 부모님을 향한 애틋한 마음을 표현한 작품이 있었습니다. 바로 「사모곡」입니다.

호미도 날이 있지마는
낫처럼 들 리가 없어요
아버님도 어버이시지마는
위 덩더둥셩
어머님같이 사랑하실 분이 없어요
아아, 임들이여!
어머님같이 사랑하실 분이 없어요

「사모곡」

아버지들이 「사모곡」을 보면 아쉬움이 크겠지만 이 작품은 어머니의 사랑을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것으로 노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버지와 어머니를 호미와 낫에 비유하여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의 사랑보다 크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네요. 농기구에 아버지, 어머니를 비유한 것이 조금 어색할 수도 있지만 농경 사회에서는 가장 친근한 물건이었으니까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이 시에 대해 공감을 했을 것입니다.

이 외에 「상저가」라는 방아 찧는 노래에도 부모님에 대한 사랑을 느낄 수 있는 구절이 있습니다. 덜컹 방아를 찧어서 거친 밥이라도 지어 그 밥을 아버님 어머님께 먼저 드리고 남거든 먹겠다는 「상저가」의 내용은 당시 사람들이 부모님을 각별히 공경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지요.

자, 이제 고려 가요가 어떤 성격이었는지 알겠지요. 비록 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사람들이 즐겨 부르던 노래의 성격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남녀의 사랑이라든가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작품들을 살펴보니 고려 시대에나 현대에나 사람의 정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드네요.

뜬금있는 질문

「상저가」, 방아 찧는 노래는 노동요라고 할 수 있나요?

고려 가요 「상저가」는 노동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방아를 찧는 노동의 피로를 달래기 위해 부른 노래인 것이지요. 작품의 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듥기동 방아나 찧어 히얘 / 거친 밥이나 지어 히얘 / 아버님 어머님께 받잡고 히야해 / 남거시든 내 먹으리 / 히야해 히야해” 작품의 길이도 대단히 짧고 내용도 단순해서 민요에 속한다고 할 수 있고, 그런 점에서 고려 가요도 민요가 발전해서 만들어진 노래 형식이라고 할 수 있지요.

[네이버 지식백과] 중세 시대, 우리나라의 유행가는?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1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울적 2018-08-11 0 3257
1209 윤동주와 마지막으로 남은 석장 사진 2018-08-10 0 3782
12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 2018-08-10 0 3111
1207 윤동주와 강처중 "발문" 2018-08-09 0 2556
1206 윤동주와 정지용 "서문" 2018-08-09 0 2738
1205 윤동주와 마광수 2018-08-09 0 2429
1204 윤동주와 녀성 2018-08-09 0 3558
1203 윤동주와 "머리" 2018-08-09 0 2452
12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밤 2018-08-09 0 3480
1201 "앞으로 계속 동주를 안고 갈 새세대들을 키워야"... 2018-08-08 0 3168
1200 [자료] - 윤동주 동시와 그 세계를 론하다... 2018-08-08 0 2564
11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할아버지 2018-08-07 0 3576
1198 다시 알아보는 "생명의 시인"- 윤동주 2018-08-07 0 8284
1197 다시 알아보는 윤동주 가족 관계 2018-08-07 0 7109
119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호주머니 2018-08-06 0 4502
119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빨래 2018-08-06 0 2781
1194 윤동주와 윤혜원 2018-08-04 0 2701
1193 윤동주와 "소금물" 2018-08-04 0 3562
1192 [작문써클선생님께] - "사과" 이야기 하나 해볼가요... 2018-08-04 0 4048
11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과 2018-08-04 0 2604
1190 [바로 잡아야 합니다] - 윤동주 시 "편지"가 오도되고 있다!... 2018-08-04 0 3014
11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편지 2018-08-04 0 4496
1188 다시 보는 윤동주 2018-08-04 0 3852
11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버선본 2018-08-03 0 2788
11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을밤 2018-08-03 0 2586
11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얼 먹고 사나 2018-08-02 0 3129
118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굴뚝 2018-08-01 0 3094
11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3 2018-08-01 0 4167
11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식권 2018-07-31 0 2896
118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기와장내외 2018-07-31 0 3083
1180 시인 윤둥주를 사랑한 물리학자 2018-07-30 0 3154
117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흐르는 거리 2018-07-30 0 2601
117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판 없는 거리 2018-07-29 0 4989
1177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2018-07-29 0 2400
1176 다시보는 음유시인, 가수 - 밥 딜런 2018-07-29 0 6523
1175 음유시인은 여전히 자신만의 방식과 자신만의 "예술"을 하다 2018-07-29 0 2666
1174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ㅡ "윤동주 정신" 2018-07-27 0 2300
117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길 2018-07-27 0 5161
117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감고 간다 2018-07-26 0 3124
117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태초의 아침 2018-07-25 0 2926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