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 101] - 4...
2020년 01월 30일 22시 38분  조회:3037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한글 이전에도 우리말 표기법이 있었다고요?

 

 

분야 고전 시가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교과 단원

중학교

 

작품 이해와 해석

고등학교

국어Ⅱ

한국 문학의 전승과 흐름

신라 시대에는 향찰을 통해서 우리말을 표기했다고 하는데 향찰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알고 싶어요.

한글 이전에도 우리말 표기법이 있었다고요?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다

여러분도 알다시피 우리말은 한자와 큰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많기는 하지만 한자로는 적을 수 없는 고유어도 적지 않습니다. 또한 한자로 문장을 이룬 한문과 우리 문장의 어순은 완전히 다르지요. 우리말에 맞는 우리 글자는 1443년에야 만들어졌지요. 그전까지 우리 민족은 우리말을 사용하면서도 글자는 한자를 쓰는 이중적인 언어 생활을 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노래와 시까지 한자로 적는 것에는 거부감이 있었습니다. 한자로 표현하는 순간 우리말이 지닌 고유한 느낌은 사라져 버립니다. 우리나라의 시를 영어와 같은 다른 언어로 번역하면 고유의 아름다움이 사라져 버리는 것과 같지요.

신라 시대 때 사람들은 이런 문제들을 잘 알고 있었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우리말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향찰입니다. 향찰이란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서 우리말을 적는 방법이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는 한자를 이용해서 우리말을 적을 수도 있겠다는 참신한 생각을 했던 것입니다.

향찰의 실제를 보자

여러분도 우리나라 도로 표지판에 지명을 로마자로 표기한 것을 본 적이 있지요? 우리말의 발음과 비슷한 해당 영문자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향찰 표기도 이와 유사합니다. 다만 로마자가 소리만 빌려 온 것에 비해 향찰은 뜻까지 빌려 온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실제로 한 작품을 살펴보겠습니다. 어려운 작품이 아니니 너무 겁낼 필요는 없습니다.

(선화공주주은) 선화공주님은
(타밀지가량치고) 남 몰래(그imagefont지) 결혼해 두고
(서동방을) 서동방을
(야의묘을포견거여) 밤에 몰래 안고 가다

「서동요」

이 작품은 백제 30대 임금이었던 무왕의 어린 시절과 관련된 노래입니다. 무왕의 어린 시절 이름은 서동이었지요. 기록에 의하면 그의 어머니는 연못가 근처에 집을 짓고 살던 중 그곳의 용과 정을 통해서 서동을 낳았다고 합니다. 서동이란 이름은 그가 어릴 때부터 마를 팔아서 생활했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합니다.

서동은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가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 머리를 깎고 신라로 건너가 아이들에게 마를 공짜로 나누어 주며 노래를 부르게 시켰다고 합니다. 그 노래가 바로 「서동요」입니다. 이 노래가 유행가처럼 퍼져 나가 선화공주는 궁궐에서 쫓겨나게 되었고 쫓겨난 그녀를 서동이 아내로 삼습니다. 이후 서동은 집 근처에서 발견한 금을 진평왕에게 보내어 사위로 인정받았으며 차차 인심을 얻어 백제의 임금이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자, 그럼 이제 한자로 표기된 향찰을 우리말로 읽어 볼까요.

“선화공주주은”

일단 1구의 선화공주와 3구의 서동방은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신라 향가는 현대 시의 ‘행’에 해당하는 것을 ‘구’로 부릅니다.) 어차피 인물을 가리키는 말이니까요. 1구의 한자를 읽으면 “선화공주주은”이 됩니다. 이때 ‘’는 ‘주인 주’ 자이지요. 따라서 ‘’는 높은 사람을 가리키는 ‘님’, 아니면 존경과 사랑의 대상을 가리키는 ‘임’과 통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는 ‘주’라는 소리를 가져온 것이 아니라 ‘임’이라는 뜻을 빌려 온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은 ‘숨을 은’ 자인데, 여기서 뜻을 빌리면 의미가 이상하게 되겠지요. 따라서 이 글자는 뜻을 빌린 것이 아니라 ‘은’이라는 소리를 빌린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1구는 ‘선화공주님은’이라고 풀이할 수 있습니다.

“타밀지가량치고”

두 번째 구까지만 살펴볼까요? 두 번째 구는 한자를 “타밀지가량치고()”로 읽을 수 있습니다. ‘’는 남이라는 뜻을, ‘’는 ‘그윽할 밀’과 ‘다만 지’인데, 이 중에서 ‘’ 자는 뜻을, ‘’ 자는 음을 빌려 왔습니다. 그래서 ‘그imagefont지’라는 단어로 해석했지요. ‘그imagefont지’라는 말은 ‘그윽하게’의 옛 표현이며, ‘몰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는 ‘시집가다’라는 의미이고, ‘’는 ‘두다’라는 의미이므로 두 글자는 모두 뜻을 빌린 글자입니다. 나머지 글자는 모두 한자의 음을 빌려 왔지요. 여러분이 익히 아는 쉬운 글자 ‘(고)’의 의미는 ‘옛’이지만 작품에서는 ‘옛’의 의미는 사라지고 오로지 ‘고’라는 음만 사용되었지요.

이처럼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쓰는 것이 향찰입니다.

향찰은 왜 고려 시대에 자취를 감추었을까

향찰은 비록 한자의 음과 뜻을 빌리기는 했지만 시가를 표현하는 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 향찰로 표기된 시가를 향가라고 부르지요. 비록 많은 작품은 아니지만 우리가 신라 향가를 감상할 수 있는 것은 향찰 덕이 크지요.

하지만 향찰의 운명은 그렇게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고려 시대에 가서 자연스럽게 사라져 버렸으니까요. 고려의 귀족은 향찰로 작품을 창작해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고, 고려의 평민은 어려운 한자를 익힐 수 없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고려 시대에도 『균여전』에 실린 「보현십원가」라는 향가가 쓰이기도 했지만 이후에 계속 창작되지는 않았습니다.

뜬금있는 질문

향가는 후대 문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신라 향가는 고려 시대에 발생한 시조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시조는 초장 — 중장 — 종장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10구체 향가가 4구 — 4구 — 2구,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지요. 더군다나 10구체 향가의 마지막은 ‘아아’, ‘아으’와 같은 감탄사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이 시조의 마지막 종장 3음절이 고정되어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런 까닭에 시조가 향가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생겼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글 이전에도 우리말 표기법이 있었다고요?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7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벽이 올 때까지 2018-07-25 0 3810
1169 윤동주 시집 원 제목 "병원"이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로... 2018-07-25 0 3626
1168 윤동주와 정병욱 가옥 2018-07-24 0 2697
1167 "붓끝을 따라온 귀뚜라미는 홀로의 감방에서도 울어준다"... 2018-07-24 0 3230
1166 윤동주와 이양하 2018-07-24 0 2982
1165 사람이 1년에 800만번 숨을 쉬는데... 2018-07-24 0 2842
116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서운 시간 2018-07-24 0 3542
11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팔복 2018-07-23 0 6112
11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위로 2018-07-22 0 3107
116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미 병들어 2018-07-19 0 2962
1160 윤동주와 윤석중 2018-07-18 0 4271
11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자화상 2018-07-18 0 5960
1158 윤동주 동생 윤일주 2018-07-18 0 3128
1157 우리는 민족혼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2018-07-18 0 2519
1156 "윤동주 수업 늘이자"... 2018-07-17 0 3247
11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우의 인상화 2018-07-17 0 4593
11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로운 길 2018-07-17 0 9570
11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 2018-07-16 0 4766
1152 "리별은 인생의 보석이다"... 2018-07-15 0 2560
1151 "강은 분단과 전쟁의 상처를 말끔히 씻어낸다"... 2018-07-15 0 2573
115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양지쪽 2018-07-15 0 4572
1149 윤동주와 동시인 강소천 2018-07-15 0 3600
1148 [시시비비] - 력사는 력사이다... "선구자의 노래"의 내막?(6)... 2018-07-13 0 3938
1147 송몽규는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자였다... 2018-07-13 0 3633
11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이런 날 2018-07-13 0 3482
1145 윤동주와 "4총사" 2018-07-13 0 3350
1144 "가슴속에 어머니라는 산(山) 하나 들고 있다"... 2018-07-12 0 2499
1143 "나는 어머니의 가슴에 박힌 큰 못이다"... 2018-07-12 0 2559
1142 윤동주 시작품에서 나오는 "레그혼" 2018-07-12 0 3283
114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 1 2018-07-12 0 2469
114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1, 2, 3 2018-07-11 0 3104
1139 윤동주와 숭실학교 2018-07-11 0 3883
113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모란봉 2018-07-10 0 3549
1137 영원하다... 영원할... 영원하리... 2018-07-10 0 3744
113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모란봉에서 2018-07-09 0 2852
1135 "저 바다 건너 배고픈 아이들 배불리는 빵 한덩이 되고싶다"... 2018-07-09 0 2377
1134 윤동주와 문익환 2018-07-09 0 2728
113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리에서 2018-07-09 0 4425
1132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륙첩방(다다미방)" 2018-07-08 0 4282
1131 윤동주와 정지용, 경향신문 2018-07-08 0 2611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