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랑송"을 어떻게 할가ㅠ...
2019년 01월 09일 22시 56분  조회:3540  추천:0  작성자: 죽림
 
분야 문학
   
 

학예회에서 시낭송을 하기로 했어요. 평소 국어책 읽듯이 연습하니 뭔가 밍밍하고 재미없는 느낌이 들어요. 시낭송을 잘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북멘토 

시를 잘 읽는 네 가지 방법

사랑의 설렘을 표현한 시는 기쁨으로 가득하지만, 이별의 슬픔을 표현한 시는 아주 슬퍼요. 시 속에는 기쁨과 슬픔, 외로움과 즐거움 같은 정서가 담겨 있어요. 그래서 시를 낭송할 때는 뉴스를 전달하는 아나운서처럼 차분하게 또박또박 읽는 것이 아니라 시의 느낌을 잘 살려 내야 청중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요. 자, 그럼 시를 잘 읽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반복되는 표현을 살려서

시에서 되풀이되는 말과 일정하게 반복되는 글자 수를 찾아보세요. 시에는 반복되는 표현이 자주 등장해요. 반복되는 표현은 시에 리듬감을 줘 노래하는 것처럼 들리게 해요.

글자 수가 반복되는 부분은 끊어 읽는 것이 좋아요. 끊어 읽으면 박자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니까요. 시낭송할 때는 반복되는 말이 주는 운율을 살려 노래하듯 읽도록 해요.

재미있는 표현을 찾아서

시에서 재미있는 표현을 찾아보도록 해요. 재밌는 특징을 잘 살려 읽으면 시가 마음에 바짝 와 닿지요. 예컨대 의성어나 의태어는 말속에 운율이 살아 있기도 하고 표현하는 대상의 개성을 실감나게 전달해요. 낭송할 때 이런 부분을 놓치지 않고 잘 표현한다면 시의 느낌을 더욱 생생하고 실감나게 전달할 수 있어요.

마음속으로 깊게 음미하며

시의 느낌을 살려 읽으려면 먼저 시를 잘 이해해야겠죠. 시를 이해하는 특별한 비법이 따로 있지는 않아요. 다만 한 편의 시라도 느긋하게 여러 번 읽으면서 자기의 경험과 다양한 상상력을 연결시켜 읽다 보면 그 맛을 즐길 수 있게 되지요.

시는 사람들이 그냥 지나치는 작고 사소한 소재, 이를테면 코스모스 · 자갈 · 나무 · 새로부터도 특별함과 아름다움을 발견해 내지요. 그것은 대상에 대한 오랜 관찰과 애정에서 얻어지지요. 시를 읽는 것 또한 마찬가지이지요. 그냥 휙 읽어 내려가면 큰 감흥을 느낄 수 없어요. 천천히 그리고 충분한 시간을 들여 시를 느끼고 마음속에 담아야만 감동을 느낄 수 있고, 더 나아가 내가 느낀 감동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어요

장면이나 분위기를 떠올리며

시를 여러 번 읽으면서 내용을 파악하면 마음속에 떠오르는 모습이 있어요. 시의 장면과 분위기를 생각하면 더 실감나게 읽을 수 있겠죠?

이제부터는 시의 리듬, 표현, 장면을 생각하며 낭송해 보도록 해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1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울적 2018-08-11 0 3366
1209 윤동주와 마지막으로 남은 석장 사진 2018-08-10 0 3922
12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 2018-08-10 0 3277
1207 윤동주와 강처중 "발문" 2018-08-09 0 2723
1206 윤동주와 정지용 "서문" 2018-08-09 0 2905
1205 윤동주와 마광수 2018-08-09 0 2525
1204 윤동주와 녀성 2018-08-09 0 3676
1203 윤동주와 "머리" 2018-08-09 0 2616
12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밤 2018-08-09 0 3626
1201 "앞으로 계속 동주를 안고 갈 새세대들을 키워야"... 2018-08-08 0 3302
1200 [자료] - 윤동주 동시와 그 세계를 론하다... 2018-08-08 0 2694
11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할아버지 2018-08-07 0 3763
1198 다시 알아보는 "생명의 시인"- 윤동주 2018-08-07 0 8564
1197 다시 알아보는 윤동주 가족 관계 2018-08-07 0 7286
119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호주머니 2018-08-06 0 4655
119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빨래 2018-08-06 0 2971
1194 윤동주와 윤혜원 2018-08-04 0 2867
1193 윤동주와 "소금물" 2018-08-04 0 3703
1192 [작문써클선생님께] - "사과" 이야기 하나 해볼가요... 2018-08-04 0 4184
11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과 2018-08-04 0 2736
1190 [바로 잡아야 합니다] - 윤동주 시 "편지"가 오도되고 있다!... 2018-08-04 0 3242
11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편지 2018-08-04 0 4662
1188 다시 보는 윤동주 2018-08-04 0 4012
11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버선본 2018-08-03 0 2939
11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을밤 2018-08-03 0 2693
11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얼 먹고 사나 2018-08-02 0 3271
118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굴뚝 2018-08-01 0 3223
11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3 2018-08-01 0 4319
11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식권 2018-07-31 0 3018
118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기와장내외 2018-07-31 0 3215
1180 시인 윤둥주를 사랑한 물리학자 2018-07-30 0 3279
117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흐르는 거리 2018-07-30 0 2739
117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판 없는 거리 2018-07-29 0 5167
1177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2018-07-29 0 2505
1176 다시보는 음유시인, 가수 - 밥 딜런 2018-07-29 0 6741
1175 음유시인은 여전히 자신만의 방식과 자신만의 "예술"을 하다 2018-07-29 0 2787
1174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ㅡ "윤동주 정신" 2018-07-27 0 2386
117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길 2018-07-27 0 5247
117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감고 간다 2018-07-26 0 3262
117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태초의 아침 2018-07-25 0 3051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