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청나라 가장 유명한 양주팔괴 서예가들
2018년 05월 04일 23시 11분  조회:2778  추천:0  작성자: 죽림
 

청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揚州八怪 서예가

 

청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양주팔괴(揚州八怪)’ 서예가는 일반적으로 왕사신(汪士愼)ㆍ황신(黃愼)ㆍ금농(金農)ㆍ고상(高翔)ㆍ이선(李)ㆍ정섭(鄭燮)ㆍ이방응(李方膺)ㆍ나빙(羅聘)을 가리킨다.

‘양주팔괴’는 건륭(乾隆, 1736-1795) 연간에 양주화단에서 활약한 여덟 명의 대표 서화가의 총칭이다.  그들의 예술 격조는 비교적 비슷하며 옛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표방하여 승전계후(承前繼後)함으로써 서화사에서 찬란한 광채를 발하였다.  그림은 대부분 화훼ㆍ산수ㆍ인물을 제재로 삼았으며 이전 사람의 울타리에 구속됨이 없이 스스로의 풍격을 갖추었다.  시는 통속적이고 화창한 것을 강구했고, 서예 혹은 전각은 불필요한 것을 없애고 간략하게 하여 새롭고 기이한 것을 표방했으며 항상 시ㆍ서ㆍ화ㆍ인을 서로 결합하였다.  이는 당시 이른바 ‘전통’이라는 화풍과 같지 않아서 당시 화단에서는 ‘편사(偏師)’ㆍ‘괴물(怪物)’로 지목하여 마침내 ‘팔괴(八怪)’라 불렀다.  이들의 필묵기법은 근ㆍ현대의 서화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예술 발전의 관점에서 보면 ‘괴(怪)’자는 바로 그들이 예술에서 대담하게 세속의 풍격을 타파한 것이다.  그리고 스스로 자연스러운 생동함을 개괄하여 그들 예술에서 탐색한 반역적인 성격과 독창적인 정신을 반영하여 참신한 풍격으로 북으로는 수도를 대항하고 남으로는 소주와 비견하는 생동한 국면을 이루었다.  ‘괴’로 작가들을 폄하하는 것은 부족하고 오히려 이는 법도에 병폐 아닌 것이 없으니 속박을 받지 않아야 성정이 살아나고 법을 취함에 실제를 의심해야 바른 것임을 반증해주었다.  그러므로 식견이 있는 선비는 예술 발전에서 이들의 ‘괴’를 매우 칭찬하면서 이것이 서화계에 차지하는 역사적 현실을 충분히 긍정하였다.

‘팔괴’의 예술은 사람과 생활에 접근하였으니 이는 그들이 처한 경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들 대부분은 평민 화가에 속하고 재능이 있으면서도 발휘할 기회를 제대로 만나지 못했다.  그들은 백성과 같이 살면서 빈곤함이 오래되면 가죽 옷이 해지고 주방이 황폐하면 콩과 조가 달다는 청빈한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봉건사회의 질곡 아래 백성의 고난을 누구보다도 뼈저리게 체험하였다.  이들 중에 비록 하급관리를 지낸 사람이 있었지만 성품이 성급하고 강직하며 세속의 흐름과 달리하여 백성을 위해 부탁하나 마침내 권력자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아 파직하고 빈손으로 낙향하였다.  그들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지위는 그 예술이 백성과 어느 정도 결합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백성들은 그들을 자신의 예술가로 만들고 그 작품을 매우 좋아하였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30 목련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820
529 시는 메모에서 완성하기까지 고심에 련마를 걸쳐야... 2017-06-09 0 2391
528 동시인은 "스스로 어린이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2017-06-09 0 2201
527 시인은 관습적으로 길들여진 자동화된 인식을 버려야... 2017-06-09 0 2278
526 시인은 시제목을 정할 때 신경을 써야... 2017-06-09 0 2568
525 문학성과 창조성이 없는 글은 수필도 아니며 죽은 글이다... 2017-06-09 0 2098
524 인공지능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선생님들의 자세는?... 2017-06-02 0 2904
523 인간 글쓰기 지위 일락천장 추락되다... 2017-06-02 0 2753
522 인공지능 번역은 어처구니없는 번역... 2017-06-02 0 2830
521 세상은 교과서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2017-06-02 0 2132
520 인공지능 왈; "이 장기를 수술해 잘라내라".../수술의사: ???... 2017-06-02 0 2397
519 시인들이여, 정신 차리라! 로봇트 세계 최초 시집 발간했다!!! 2017-06-02 0 2669
51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우리 말 공부, 난제를 풀며 공부해야... 2017-06-01 0 3053
517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3) 2017-06-01 0 3635
516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2) 2017-06-01 0 3771
515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1) 2017-06-01 0 3803
514 삶이란 련습없이 태여나서 실습없이 사라진다... 2017-05-31 0 2618
513 미래를 념려하다가 결국 현재와 미래를 다 놓쳐버리다... 2017-05-31 0 2342
512 수필은 원칙적으로 산문으로 쓰여져야... 2017-05-31 0 2660
511 [고향문학인소식]-원로시인 최룡관 고향 문학계 소식 전하다... 2017-05-31 0 2418
510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2) 2017-05-31 0 3050
509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 2017-05-31 0 2556
508 시의 본질적인 문제를 인공지능이 파악할수 없다... 2017-05-28 0 2365
507 시인이라면 초고를 쓰는 고통을 감내할줄을 알아야... 2017-05-28 0 2563
506 시도 예술도 모르는 사회는 배부른 돼지의 세계이다... 2017-05-28 0 2848
505 시인은 인공지능이 시를 쓰든 말든 신경쓰지 말고 시를 쓰라... 2017-05-28 0 2666
504 수필쓰기는 자신의 삶을 가치롭게 꽃피우는 자각행위이다... 2017-05-28 1 2623
503 시간의 그 끝머리는 상처를 치유해주는 하나의 과정과 방식... 2017-05-28 1 2855
502 소금은 죽음에서 피여나는 생명의 꽃이다... 2017-05-28 0 2651
5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우리 말(어원)의 유래?... 2017-05-24 0 2897
500 시문학을 일상의 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7-05-24 0 2542
499 생명은 타지 않으면 썩는다 / 박문희 2017-05-24 0 2699
498 시는 신비한 언어로 시행사이에 사색적인 공간을 엮어줘야... 2017-05-24 0 2684
497 시의 제목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2017-05-23 0 3114
496 시인은 쓰고자 하는것을 마음속으로 먼저 그려보아라... 2017-05-23 0 3357
495 시를 랑송할때는 시인의 느낌과 청중의 공감을 터득해야... 2017-05-23 0 3925
494 "소리없는 아우성"으로 시와 씨름한 독일 시인 - 파울 첼란 2017-05-23 0 3072
493 허두남 우화시 고찰 / 최룡관 2017-05-23 0 2618
492 동시인들은 아이들을 위하여 랑송시 창작에 몰두해야... 2017-05-22 0 2124
491 시는 이미저리의 원형과 수사학적 기법을 잘 활용해야... 2017-05-22 0 2622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