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1)
2017년 06월 01일 00시 38분  조회:3800  추천:0  작성자: 죽림
 
예술혼을 위하여--문명의 역사를 걸어온 시계(上)
 
 
 
이일영 칼럼니스트      기사입력  2017/05/26 
 
 
 

인류의 역사에서 과학이 빚어낸 변화의 바람을 살펴보면 1769년 영국의 ‘제임스 와트’(James Watt)에 의하여 증기기관이 발명된 이후 산업혁명이 전개되었으며 전기가 발견된 이후 1879년 에디슨에 의하여 발명된 백열전구가 어둠을 밝히면서 전기 문명의 생활시대를 열었습니다. 이후 컴퓨터의 등장은 과학 문명이 빚어낸 인류사의 가장 큰 변화라 할 것입니다. 이러한 문명의 역사를 세세하게 살펴보면 역사가 걸어온 소중한 시간을 바라보는 시계라는 인류의 발명품에서 비롯된 많은 이야기를 만나게 됩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합니다.  
         
컴퓨터의 등장 이후 오늘날 모든 업무와 산업의 공정이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실에서 그 역사를 헤아리면 곧 계산기의 역사를 만나게 됩니다. 이는 컴퓨터가 엄밀하게 무한한 계산 능력이 있는 전자식 계산기(하드웨어)라는 점에서 출발하는 논지입니다. 이러한 계산 능력을 바탕으로 각 분야에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곧 소프트웨어인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 역사를 헤아려보면 기계식 계산기의 발명을 만나게 되며 기계식 계산기의 기술적 바탕은 시계의 정밀한 기술적 구조에서 발달한 바탕에서 제작되었음을 살피게 됩니다. 이와 같은 시계의 뿌리를 헤쳐보면 오늘날 가장 긴요한 길잡이인 내비게이션의 원조라 할 수 있는 고대에서부터 존재한 ‘아스트롤라베’(astrolabe)를 이해하여야 합니다. 

 

▲ (좌) 황도좌표(黄道座標) (우) ‘아스트롤라베’(astrolabe)   출처: https://en.wikipedia.org / https://www.astroarts.co.jp     © 브레이크뉴스
 


 

‘아스트롤라베’란 천체 관측기구의 일종으로 별과 행성의 위치와 경사의 각도를 측정하여 현재 위치의 위도를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이는 우주에서 태양의 궤도면은 평면상태가 아니지만, 평면으로 가상한 황도(ecliptic)로 칭하는 괘도에 놓인 별자리가 황도십이궁(zodiac) 12 별자리입니다.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궤도면에서 춘분점과 추분점에서 교차하는 춘분교점을 기준으로 삼는 원리가 황도좌표계(黃道座標系)이며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변함이 없는 춘분점과 적도면을 기준으로 천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지구 중심의 관측을 적도 좌표계라 합니다. 이러한 천체의 위치와 위도를 관측한 ‘아스트롤라베’는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별을 붙잡는다’는 뜻에서 유래된 어원으로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Hipparchos. BC,190~BC.120)가 처음 사용하였으며 8세기의 이슬람 천문학자 아르라함 알 파자리(Muḥammad ibn Ibrāhīm al-Fazārī)에 의하여 ‘아스트롤라베’가 금속으로 제작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여러 기록은 이슬람 천문학자 ‘아비 바크르’(Abi Bakr)가 최초의 기계식 ‘아스트롤라베’를 제작한 것으로 전하고 있지만 가장 정확한 기록은 이슬람 스페인령의 톨레도(Toledo)에 살았던 천문학자 ‘알자켈’(Arzachel(1020~1087)이 정교한 기계식 ‘아스트롤라베’를 제작하여 이슬람 천문학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는 이슬람교의 살라트(salat)예배 의식에서 명확한 일출의 시각과 이슬람교의 창시자인 무함마드가 태어난 메카의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배경에서 당시에 많은 ‘아스트롤라베’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기계식 ‘아스트롤라베’가 가지고 있는 원리가 발전되어 중세시대의 천문시계가 등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 (좌) 중국 천문학자‘ 소송’(蘇頌)  (중) 1090년 제작 천문시계 (우) 천문시계 내부 구조 도면   출처: https://image.baidu.com     © 브레이크뉴스


이러한 시계의 역사는 ‘아스트롤라베’의 이론적 구조의 가장 단순한 방법인 태양의 방향에서 파악되는 해시계에서부터 물이 흘러가는 수량을 측정하는 설수형(泄水型)과 흘러들어오는 수량을 측정하는 수수형(受水型)으로 구분되는 물시계가 고대시대에서부터 활용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수력과 기계식 부품으로 이루어진 천문시계가 등장하게 됩니다. 이후 수력을 이용한 부분이 겨울이면 얼어붙는 문제를 수은으로 대체하여 해결하였으며 또한 아르키메데스 원리를 이용한 유체역학으로 동력을 만들어 첨단과학시대의 오늘날에도 놀라운 천문시계가 등장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천문시계의 최초 발명은 중국 송나라의 천문학자인 ‘소송’(蘇頌. 1020~1101)이 1090년 허난성 카이펑(開封)에 설치한 하늘로 오르는 계단이라는 뜻을 가진  티엔티(天梯) 천문시계이었습니다. 이 시계는 무려 120m의 거대한 건축물로 제작된 시계이었습니다. 시인이면서 광학, 천문학, 의학에 이르는 다양한 학문에 통달하였던 그가 인류 최초의 천문시계를 만들면서 사용한 체인 형태의 탈진기(Escapement)는 기술이라는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인 발명이었던 것입니다. 탈진기란 쉽게 톱니바퀴로 일정한 진동을 가능하게 하는 부품으로 특히 시계와 같은 분야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러한 탈진기의 발명은 곧 기계 기술에 있어 다양한 응용과 발전이 이루어지는 바탕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소송’(蘇頌)의 선구적 발명이 중국의 우주개발에 대한 정신적 바탕으로 놓여 있음도 기억하여야 할 것입니다.     

 

▲ (좌) 1206년 ‘이스마일 알 자자리’의 코끼리시계  (중) 두바이에서 복원 제작한 코끼리시계  (우) 성곽시계(Castle clock)  출처: https://en.wikipedia.org    

© 브레이크뉴스 

 

당시의 여러 기록을 종합하여 보면 인류 최초의 기계식 시계의 원형을 발명한 사람은 이슬람 시대의 예술가이며 장인이었던 ‘이스마일 알 자자리’(Ismailal-Jazari,1136~1206)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생을 마감한 해 1206년 기계식 코끼리 시계(Elephant clock)와 성곽시계(Castle clock)를 연이어 발명하였습니다. 그의 성곽시계는 중력을 이용한 기계식 부품으로 만들어진 3.4m 높이의 대형시계로 달의 변화를 나타내는 천문시계의 기능과 함께 매 시간 자동으로 문이 열리며 음악이 울리면서 인형이 등장하는 오늘날의 뻐꾸기시계와 같은 놀라운 기능들이 망라되어 있었습니다.

 

이와 함께 그의 대표적인 발명품인 수압과 기계적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 코끼리 시계(Elephant clock)는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두 개의 물탱크를 이용하여 시간 표시와 함께 정확한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매 시간 드럼을 울리고 심벌즈를 치는 정교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이러한 코끼리시계의 제작에 대하여 중국의 ‘소송’(蘇頌)이 발명한 천문시계를 바탕으로 인도에서 여러 시계가 제작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시계가 만들어졌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나아가 자신의 시계에 구성된 내용에서 코끼리는 인도와 아프리카 문화를 상징하며 용은 중국문화를, 그리고 불사조 피닉스(Phoenix)는 페르시아 문화를 대표하며 물의 표현은 고대 그리스 문화를 대표하는 동양과 서양을 아우른 뜻을 담았음을 기술하였습니다. 

 

이러한 시계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계가 가지는 정밀한 정확도를 기술적으로 해결한 내용이 바로 1656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크리스티안 호이겐스(Christiaan Huygens. 1629~1695)가 발명한 이른바 추시계의 원리인 진자시계(pendulum clock)의 등장입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과학의 시대로 달려온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필자: 이일영, 시인. 한국미술센터 관장, 칼럼니스트



\\\\\\\\\\\\\\
=========================
///////////////////////////////////////////////////////////

손목시계가 최초로 나와 보편화된 시기는?


-손목시계는 가죽줄이나 쇠줄 등으로 손목에 끼워서 사용하는 소형 시계를 말합니다.


<유래및 발달과정/역사>


옛날 시계는 시계탑이나 큰 건물에 장치되어 있었으나 15세기 말엽에 금속태엽이 발명되어 시계의 동력으로 사용되고부터 소형시계가 많이 만들어졌으며, 이 때부터 휴대용 시계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후 유사(遊絲:hair spring)·균형차(balance wheel) 등이 발명되어 회중시계에서 손목시계로 발전하였다. 손목시계는 19세기 초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회중시계·스톱워치·반지시계·목걸이시계 등도 휴대용 시계의 한 종류이다. 제일 오래 된 것으로는 1807년에 만들어진 시계로, 나폴레옹 1세의 황후 조세핀이 사용한 시계이다. 이 시계에는 금속태엽을 용두(龍頭)로 감아 그 스프링의 복원력을 동력으로 이용하여 기어를 움직이게 하고, 그 회전속도의 제어는 균형차와 유사가 하며, 기어에 분침·시침을 돌리는 장치가 되어 있다. 기어 부분에는 축의 마모를 적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으로서 인공루비·인공사파이어 등 보석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이 보석수이며, 이 수를 표시하여 15석·17석·21석 등이라 한다.


<일반적 형태및 특징>


손목시계에는 전지식이 이용되어 전지식 손목시계·전자판 손목시계 등이 만들어졌다. 또, 수정시계·음차시계·원자시계·전자판 시계 등의 발달은 기계시계와 전기시계를 시대에 뒤떨어지게 만들었다. 이런 종류의 시계는 일차 1,000분의 1초, 1만분의 1초, 10만분의 1초밖에 안 되는 초정밀도(超精密度)를 가진다.


///출처(손목 시계:국립중앙박물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30 목련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820
529 시는 메모에서 완성하기까지 고심에 련마를 걸쳐야... 2017-06-09 0 2389
528 동시인은 "스스로 어린이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2017-06-09 0 2194
527 시인은 관습적으로 길들여진 자동화된 인식을 버려야... 2017-06-09 0 2276
526 시인은 시제목을 정할 때 신경을 써야... 2017-06-09 0 2566
525 문학성과 창조성이 없는 글은 수필도 아니며 죽은 글이다... 2017-06-09 0 2098
524 인공지능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선생님들의 자세는?... 2017-06-02 0 2903
523 인간 글쓰기 지위 일락천장 추락되다... 2017-06-02 0 2752
522 인공지능 번역은 어처구니없는 번역... 2017-06-02 0 2827
521 세상은 교과서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2017-06-02 0 2127
520 인공지능 왈; "이 장기를 수술해 잘라내라".../수술의사: ???... 2017-06-02 0 2396
519 시인들이여, 정신 차리라! 로봇트 세계 최초 시집 발간했다!!! 2017-06-02 0 2668
51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우리 말 공부, 난제를 풀며 공부해야... 2017-06-01 0 3052
517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3) 2017-06-01 0 3634
516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2) 2017-06-01 0 3770
515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1) 2017-06-01 0 3800
514 삶이란 련습없이 태여나서 실습없이 사라진다... 2017-05-31 0 2618
513 미래를 념려하다가 결국 현재와 미래를 다 놓쳐버리다... 2017-05-31 0 2342
512 수필은 원칙적으로 산문으로 쓰여져야... 2017-05-31 0 2648
511 [고향문학인소식]-원로시인 최룡관 고향 문학계 소식 전하다... 2017-05-31 0 2418
510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2) 2017-05-31 0 3049
509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 2017-05-31 0 2553
508 시의 본질적인 문제를 인공지능이 파악할수 없다... 2017-05-28 0 2365
507 시인이라면 초고를 쓰는 고통을 감내할줄을 알아야... 2017-05-28 0 2548
506 시도 예술도 모르는 사회는 배부른 돼지의 세계이다... 2017-05-28 0 2848
505 시인은 인공지능이 시를 쓰든 말든 신경쓰지 말고 시를 쓰라... 2017-05-28 0 2664
504 수필쓰기는 자신의 삶을 가치롭게 꽃피우는 자각행위이다... 2017-05-28 1 2620
503 시간의 그 끝머리는 상처를 치유해주는 하나의 과정과 방식... 2017-05-28 1 2854
502 소금은 죽음에서 피여나는 생명의 꽃이다... 2017-05-28 0 2613
5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우리 말(어원)의 유래?... 2017-05-24 0 2897
500 시문학을 일상의 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7-05-24 0 2540
499 생명은 타지 않으면 썩는다 / 박문희 2017-05-24 0 2698
498 시는 신비한 언어로 시행사이에 사색적인 공간을 엮어줘야... 2017-05-24 0 2670
497 시의 제목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2017-05-23 0 3086
496 시인은 쓰고자 하는것을 마음속으로 먼저 그려보아라... 2017-05-23 0 3356
495 시를 랑송할때는 시인의 느낌과 청중의 공감을 터득해야... 2017-05-23 0 3924
494 "소리없는 아우성"으로 시와 씨름한 독일 시인 - 파울 첼란 2017-05-23 0 3068
493 허두남 우화시 고찰 / 최룡관 2017-05-23 0 2610
492 동시인들은 아이들을 위하여 랑송시 창작에 몰두해야... 2017-05-22 0 2122
491 시는 이미저리의 원형과 수사학적 기법을 잘 활용해야... 2017-05-22 0 2621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