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이사> 시모음
2018년 02월 03일 22시 23분  조회:3831  추천:0  작성자: 죽림
<이사에 관한 시 모음>  


+ 저 물결 하나 

한강 철교를 건너는 동안 
잔물결이 새삼 눈에 들어왔다 
얼마 안 되는 보증금을 빼서 서울을 떠난 후 
낯선 눈으로 바라보는 한강. 
어제의 내가 그 강물에 뒤척이고 있었다 
한 뼘쯤 솟았다 내려앉는 물결들. 
서울에 사는 동안 내게 지분이 있었다면 
저 물결 한쪽일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결 하나 일으켜 
열 번이 넘게 이삿짐을 쌌고 
물결 하나 일으켜 
물새 같은 아이 둘을 업어 길렀다 
사랑도 물결 하나처럼  
사소하게 일었다 스러지곤 했다 
더는 걸을 수 없는 무릎을 일으켜 세운 것도 
저 낮은 물결 위에서였다 
숱한 목숨들이 일렁이며 흘러가는 이 도시에서 
뒤척이며, 뒤척이며, 그러나 
한 번도 같은 자리로 내려앉지 않는 
물결 위에 쌓았다 허문 날들이 있었다 
거대한 점묘화 같은 서울. 
물결 하나가 반짝이며 내게 말을 건넸다 
저 물결을 일으켜 또 어디로 갈 것인가 
(나희덕·시인, 1966-) 

+ 햇볕에 드러나면 슬픈 것들 

햇볕에 드러나면 짜안해지는 것들이 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흰 쌀밥에 햇살이 닿으면 왠지 슬퍼진다 
실내에 있어야 할 것들이 나와서 그렇다 
트럭 실려 가는 이삿짐을 보면 그 가족사가 다 보여 민망하다 
그 이삿짐에 경대라고 실려 있고, 거기에 맑은 하늘이라도 비칠라치면 
세상이 죄다 언짢아 뵌다 다 상스러워 보인다 

20대 초반 어느 해 2월의 일기를 햇빛 속에서 읽어보라 
나는 누구에게 속은 것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어진다 
나는 평생을 2월 아니면 11월에만 살았던 것 같아지는 것이 
(이문재·시인, 1959-) 

+ 벽지를 바르며 

일요일 아침 
우리 가족 벽지를 바른다. 
돌돌 감긴 벽지를 펼치니 
화들짝 피어나는 꽃무늬 

새해에는 넓은 집으로 
이사할 거라던 어머니 
이사 대신 
누렇게 바래 버린 벽지 위에 
새하얀 꽃무늬 벽지를 바른다. 
우리 가족 서투른 도배는 
꽃무늬가 자꾸 어긋나고 
쭈글쭈글 오그라들어도 신이 났다. 

한나절 도배를 하고 돌아보니 
벽마다 활짝 핀 꽃송이 
우리 가족 웃음 송이 
하늘도 새로 도배를 했는지 
구름무늬 푸른 벽지를 두르고 
창문 가득히 푸르게 비쳐 온다. 
(고광근·아동문학가, 1963-) 

+ 이사 

개미들이 줄지어 이사를 간다 
저마다 뽀얀 알 하나씩 입에 물고 
뽈뽈뽈뽈 새집으로 이사를 간다 
한참이나 지켜봐도 이삿짐은 그뿐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컴퓨터, 장롱…… 같은 건  
하나도 없다 
(권오삼·아동문학가, 1943-) 

+ 이사 간 자리 

옥상의 
동그라미 

화분들이 살다가 
이사 간 자리 

큰 화분은 큰 동그라미 
작은 화분은 작은 동그라미 

몸에 꼭 맞게 
집 지어 살다 
이사 간 자리 

새 집에서도 
꼭 맞게 
집 짓고 
꽃 피우며 살겠지. 
(안영선·아동문학가) 

+ 집게 

소라 껍질이 
나에게는 훌륭한 
집이지요. 

이사를 할 때 
나는 집을 
등에 지고 가지요. 

이층에 함께 사는 
말미잘도 
그냥 옮겨줘요. 
(김진광·아동문학가) 

+ 처음처럼 

이사를 가려고 아버지가 
벽에 걸린 액자를 떼어냈다 
바로 그 자리에 
빛이 바래지 않은 벽지가 
새것 그대로 
남아 있다 
이 집에 이사 와서 
벽지를 처음 바를 때 
그 마음 
그 첫 마음, 
떠나더라도 잊지 말라고 
액자 크기만큼 하얗게 
남아 있다 
(안도현·시인, 1961-) 

+ 이사 가는 날 

이사 가는 날 
헤진 동화책과 
낡은 장난감이 
서로 눈치를 본다. 

'나는 데려갈 거야' 

헌 책상과 의자도 
마음이 초조하다. 

'나는 영이와 함께 
공부했으니까 
데리고 갈 거야' 

이사 가는 날 
모두 모두 
눈치를 보며 
차에 타기를 기다린다. 
(하청호·아동문학가) 

+ 봉숭아 이사 

우리 이사는 
맑은 날 하고 
봉숭아 이사는 
비 오는 날 한다. 

우리 이사는 
이삿짐 차로 
봉숭아 이사는 
삽으로 한다. 

봉숭아 이사 쉽지? 
아냐, 뿌리내린 땅과 
숨쉬던 하늘까지도 
퍼 와야 하거든. 

어렵겠다고? 
아냐, 둥글고 넓고 깊게 파 
한 삽 푸-욱 떠오면 
하늘과 땅도 딸려 오거든. 
(박방희·아동문학가, 1946-) 

+ 이삿짐 차 

이 골짜기 
여문 열매들 
톡톡 

산새들이 먹고, 

저 골짜기로 
훨훨 날아가 
씨를 끙- 

응가를 흙이 껴안아 주고, 

이 골짜기의 나무 
저 골짜기에서 싹 틔우고 
저 골짜기의 풀 
이 골짜기에서 꽃 피우고 

산새들은 이삿짐 차다 
(조영수·아동문학가) 

+ 꽃의 재발견 

새봄, 누군가 또 이사를 간다 
재개발지구 다닥다닥 붙은 집들이야 코딱지 후비며 고층아파트로 우뚝 서겠지만 
개발될 수 없는 가난을 짊어진 양지전파상 金만복 씨도 떠나고 

흠흠 낡은 가죽소파 하나 버려져 있다 
좀 더 평수 넓은 집을 궁리하던 궁둥이들이 깨진 화분처럼 올려져 있다 
자본주의 경제의 작은 밑거름도 될 수 없는 똥 덩어리들 

꽃을 먹여 살리는 건 밥이 아니라 똥이어서 
공중화장실 물 내리는 소리로 머리띠 동여매고 뭉개진 발자국들이 
궁둥이 두들겨 꽃을 뱉어낸 거지 

언제부터일까 버리는 것보다 버림받는 것이 죄가 되는 세상 
푹신푹신했던 소파가죽 찢어발기고 
툭, 튀어나온 스프링 

누군가 버림받은 곳에서만 
꽃은 핀다 
(김륭·시인, 1961-) 

 

 

 


 
prev
중국 시안 ‘설날 대이동’ 준비 끝! 기차 타고 고향 가는 길
산시(陜西, 섬서) 시안(西安, 서안) 시안 D급 고속열차 차량기지에서ㅡ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1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울적 2018-08-11 0 3405
1209 윤동주와 마지막으로 남은 석장 사진 2018-08-10 0 3959
12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 2018-08-10 0 3336
1207 윤동주와 강처중 "발문" 2018-08-09 0 2755
1206 윤동주와 정지용 "서문" 2018-08-09 0 2991
1205 윤동주와 마광수 2018-08-09 0 2535
1204 윤동주와 녀성 2018-08-09 0 3689
1203 윤동주와 "머리" 2018-08-09 0 2709
12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밤 2018-08-09 0 3651
1201 "앞으로 계속 동주를 안고 갈 새세대들을 키워야"... 2018-08-08 0 3328
1200 [자료] - 윤동주 동시와 그 세계를 론하다... 2018-08-08 0 2716
11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할아버지 2018-08-07 0 3781
1198 다시 알아보는 "생명의 시인"- 윤동주 2018-08-07 0 8623
1197 다시 알아보는 윤동주 가족 관계 2018-08-07 0 7327
119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호주머니 2018-08-06 0 4665
119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빨래 2018-08-06 0 3000
1194 윤동주와 윤혜원 2018-08-04 0 2878
1193 윤동주와 "소금물" 2018-08-04 0 3734
1192 [작문써클선생님께] - "사과" 이야기 하나 해볼가요... 2018-08-04 0 4265
11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과 2018-08-04 0 2808
1190 [바로 잡아야 합니다] - 윤동주 시 "편지"가 오도되고 있다!... 2018-08-04 0 3295
11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편지 2018-08-04 0 4732
1188 다시 보는 윤동주 2018-08-04 0 4064
11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버선본 2018-08-03 0 2941
11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을밤 2018-08-03 0 2719
11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얼 먹고 사나 2018-08-02 0 3291
118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굴뚝 2018-08-01 0 3261
11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3 2018-08-01 0 4338
11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식권 2018-07-31 0 3079
118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기와장내외 2018-07-31 0 3254
1180 시인 윤둥주를 사랑한 물리학자 2018-07-30 0 3289
117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흐르는 거리 2018-07-30 0 2815
117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판 없는 거리 2018-07-29 0 5223
1177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2018-07-29 0 2567
1176 다시보는 음유시인, 가수 - 밥 딜런 2018-07-29 0 6805
1175 음유시인은 여전히 자신만의 방식과 자신만의 "예술"을 하다 2018-07-29 0 2817
1174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ㅡ "윤동주 정신" 2018-07-27 0 2416
117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길 2018-07-27 0 5278
117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감고 간다 2018-07-26 0 3293
117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태초의 아침 2018-07-25 0 3087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