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고향문단소식] - 룡정엔 문사 - 송몽규 고택과 유택이 있다...
2017년 10월 02일 01시 07분  조회:2238  추천:0  작성자: 죽림
룡정윤동주연구회,
송몽규를 고택을 찾아
(ZOGLO) 2017년10월1일 

송몽규의 고택을 찾아서

- 룡정.윤동주연구회 송몽규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현지답사를

사단법인 룡정.윤동주연구회에서는 지난 9월 28일 청년문사이며 반일지사인 송몽규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의 자취가 어린 룡정지역을 답사하면서 윤동주의 숙명의 동반자인 송몽규의 넋을 기리였다.

작가, 교수, 교직원, 매체기자 등으로 무어진 답사팀은 명동촌의 송몽규의 고택, 그가 다녔던 명동학교 옛터, 달라자 학교 옛터, 은진중학 옛터, 대성중학 옛터 등 사적지들을 일일이 답사하였다. 답사팀은 복원된 고택 마당에서 송몽규의 작품인 시 “밤”, “하늘과 더불어”를 랑독하였고 현지인들로부터 송몽규의 고택과 그가 다닌 학교에 깃든 이야기를 경청하였다.

답사끝에 지난해 《윤동주 평전》의 련재에 이어 올해 《청년문사 송몽규 소전(小传)》의 집필을 마친 룡정.윤동주연구회 김혁 회장이 “윤동주의 숙명의 동반자”라는 제명의 특강을 했다.

특강회 전경

김회장은 특강에서 민족사의 굵직한 사건과 대량의 귀중한 사진자료를 곁들어 송몽규의 일대기에 대해 강의, “송몽규는 한국의 황순원, 김동리, 서정주보다도 일찍 등단한 문학가이자 일제에 저항하다가 윤동주와 나란히 일제 감옥에서 옥사한 철저한 반일지사이다. 비록 윤동주의 후광에 가리여 잘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우리는 윤동주와 더불어 또 한분의 룡정이 낳은 걸출한 인걸에 대해 기억해야 한다”고 력점을 주어 말했다.

명동중학교 옛터

룡정.윤동주연구회에서 일찍 2016년 5월 15일에 지역사회에서는 맨 처음으로 송몽규를 기리는 뜻깊은 행사를 펼친바 있다.한편 윤동주의 고종사촌으로 더욱 잘 알려져 있는 송몽규는 1917년 9월 28일에 룡정 지신향 명동촌의 윤동주 생가에서 윤동주와 석달을 사이두고 태여났다.

1935년 은진중학교 재학시기에 쓴 소설 “숟가락”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꽁트 당선작으로 선정되여 룡정을 크게 놀래웠다.그해 3월 말에는 중국 락양군관학교 제2기생으로 입학하여 일제에 항거하기 위한 군사지식을 습득했다. 중국 산동성 제남에서 일제 경찰에 체포되였다가 석방되여 1937년 4월 룡정의 대성중학교(현 룡정중학)에 편입되였다.

그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진학하였고 1942년 4월 윤동주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교또제국대학에 입학, “반일독립운동”이라는 죄목으로 체포되였다가 1945년 3월 7일에 후쿠오카형무소에서 일제의 잔인한 생체실험으로 윤동주와 한달 간격으로 옥사했다.

유골은 룡정 지신향 장재촌에 묻혔다가 1990년 룡정 동산 윤동주 묘소의 곁으로 이장되였다.

사진/ 주금철, 김향자  
/// 길림신문 김청수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1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울적 2018-08-11 0 3326
1209 윤동주와 마지막으로 남은 석장 사진 2018-08-10 0 3863
12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 2018-08-10 0 3172
1207 윤동주와 강처중 "발문" 2018-08-09 0 2650
1206 윤동주와 정지용 "서문" 2018-08-09 0 2805
1205 윤동주와 마광수 2018-08-09 0 2498
1204 윤동주와 녀성 2018-08-09 0 3618
1203 윤동주와 "머리" 2018-08-09 0 2512
12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밤 2018-08-09 0 3569
1201 "앞으로 계속 동주를 안고 갈 새세대들을 키워야"... 2018-08-08 0 3249
1200 [자료] - 윤동주 동시와 그 세계를 론하다... 2018-08-08 0 2653
11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할아버지 2018-08-07 0 3653
1198 다시 알아보는 "생명의 시인"- 윤동주 2018-08-07 0 8401
1197 다시 알아보는 윤동주 가족 관계 2018-08-07 0 7201
119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호주머니 2018-08-06 0 4594
119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빨래 2018-08-06 0 2860
1194 윤동주와 윤혜원 2018-08-04 0 2795
1193 윤동주와 "소금물" 2018-08-04 0 3625
1192 [작문써클선생님께] - "사과" 이야기 하나 해볼가요... 2018-08-04 0 4112
11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과 2018-08-04 0 2661
1190 [바로 잡아야 합니다] - 윤동주 시 "편지"가 오도되고 있다!... 2018-08-04 0 3113
11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편지 2018-08-04 0 4572
1188 다시 보는 윤동주 2018-08-04 0 3933
11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버선본 2018-08-03 0 2884
11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을밤 2018-08-03 0 2661
11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얼 먹고 사나 2018-08-02 0 3200
118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굴뚝 2018-08-01 0 3142
11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3 2018-08-01 0 4243
11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식권 2018-07-31 0 2964
118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기와장내외 2018-07-31 0 3173
1180 시인 윤둥주를 사랑한 물리학자 2018-07-30 0 3219
117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흐르는 거리 2018-07-30 0 2707
117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판 없는 거리 2018-07-29 0 5064
1177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2018-07-29 0 2465
1176 다시보는 음유시인, 가수 - 밥 딜런 2018-07-29 0 6636
1175 음유시인은 여전히 자신만의 방식과 자신만의 "예술"을 하다 2018-07-29 0 2720
1174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ㅡ "윤동주 정신" 2018-07-27 0 2356
117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길 2018-07-27 0 5205
117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감고 간다 2018-07-26 0 3193
117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태초의 아침 2018-07-25 0 3005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