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문학소사전] - "비트"문학이란?...
2017년 09월 15일 00시 42분  조회:3533  추천:0  작성자: 죽림

요약 미국의 사회·문학 운동. '길 잃은 세대'의 뒤를 이은 미국 현대문학의 한 조류다. 관습적이고 '획일적인' 사회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한결같이 허름한 옷과 태도, 그리고 '히피' 어휘를 받아들였다.

 

195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의 노스비치, 캘리포니아의 베니스 웨스트, 뉴욕 시의 그리니치빌리지 등지의 보헤미아 예술가 그룹들이 그 중심이 되었다. 이 운동의 지지자들은 자신들의 스타일을 '비트'(원래는 '기진맥진한'이라는 뜻이며 후에는 '행복에 넘친'[beatific]이라고 해석되는 경우도 있었음)라고 자처했으나 사람들은 그들을 비트닉스(beatniks)라는 조롱조의 명칭으로 불렀다.

그들은 자신들이 관습적이고 '획일적인' 사회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한결같이 허름한 옷과 태도, 그리고 재즈 음악가들에게서 빌려온 '히피' 어휘를 받아들였다. 일반적으로 정치와 사회적 문제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으며 마약, 재즈, 섹스, 선불교의 수양 등으로 생기는 고도의 감각적 의식을 통한 개인적인 해방·정화·계시를 주창했다. 〈부조리하게 자라다 Growing up absurd〉(1960)의 저자 폴 굿먼을 비롯한 비트족의 변호자들은 현대사회가 즐거움도 목적도 없으므로 도피와 반항이 충분히 정당하다고 여겼다.

비트 시인들은 시를 까다로운 강단에서 해방하여 '거리로 돌려보내자'고 했다. 그들은 샌프란시스코의 '코이그지스턴스 베이글 숍'이나 로렌스 퍼링게티의 '시티 라이츠 서점' 같은 비트족의 본거지에서, 때로 프로그레시브 재즈의 반주에 맞추어 자작시를 낭송하기도 했다. 그들의 시는 대개 혼란스럽고 외설스러운 표현 투성이었지만, 때로는 앨런 긴즈버그의 〈울부짖음 Howl〉(1956)과 같이 강한 힘과 감동을 지닌 작품도 있었다.

긴즈버그를 비롯해 소설가 잭 케루악 같은 비트 운동의 주요인물들은 일종의 자유롭고 비구성적인 창작을 지지했다. 이것은 작가가 즉각적인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아무런 구상이나 수정 없이 적어내려가는 방법이었다. 그러한 방식으로 인해 비트족의 모방자들은 전혀 규율이 없고 앞뒤가 맞지 않는 장황한 요설을 늘어놓게 되었다.

비트 운동은 그 일시적 유행이 사라지기 시작한 1960년대까지 흥미롭고 유망한 작가들을 여러 명 배출했는데 예를 들면 퍼링게티, 그레고리 코르소, 필립 웨일런, 게리 스나이더 등이다. 비트 운동은 또한 블랙 마운틴 시인들이나 소설가 윌리엄 버로스같이 예전에는 무시당했던 비정통적인 작가들이 인정받을 수 있는 길을 닦아주었다. 존 타이텔의 〈벌거벗은 천사들:비트 세대의 삶과 문학 Naked Angels:The Lives and Literature of the Beat Generation〉(1976)은 이 운동에 대한 연구서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7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벽이 올 때까지 2018-07-25 0 3855
1169 윤동주 시집 원 제목 "병원"이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로... 2018-07-25 0 3663
1168 윤동주와 정병욱 가옥 2018-07-24 0 2740
1167 "붓끝을 따라온 귀뚜라미는 홀로의 감방에서도 울어준다"... 2018-07-24 0 3318
1166 윤동주와 이양하 2018-07-24 0 3051
1165 사람이 1년에 800만번 숨을 쉬는데... 2018-07-24 0 2872
116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서운 시간 2018-07-24 0 3589
11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팔복 2018-07-23 0 6150
11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위로 2018-07-22 0 3169
116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미 병들어 2018-07-19 0 3019
1160 윤동주와 윤석중 2018-07-18 0 4304
11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자화상 2018-07-18 0 5999
1158 윤동주 동생 윤일주 2018-07-18 0 3161
1157 우리는 민족혼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2018-07-18 0 2559
1156 "윤동주 수업 늘이자"... 2018-07-17 0 3282
11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우의 인상화 2018-07-17 0 4640
11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로운 길 2018-07-17 0 9623
11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 2018-07-16 0 4794
1152 "리별은 인생의 보석이다"... 2018-07-15 0 2645
1151 "강은 분단과 전쟁의 상처를 말끔히 씻어낸다"... 2018-07-15 0 2605
115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양지쪽 2018-07-15 0 4621
1149 윤동주와 동시인 강소천 2018-07-15 0 3627
1148 [시시비비] - 력사는 력사이다... "선구자의 노래"의 내막?(6)... 2018-07-13 0 4021
1147 송몽규는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자였다... 2018-07-13 0 3661
11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이런 날 2018-07-13 0 3517
1145 윤동주와 "4총사" 2018-07-13 0 3365
1144 "가슴속에 어머니라는 산(山) 하나 들고 있다"... 2018-07-12 0 2555
1143 "나는 어머니의 가슴에 박힌 큰 못이다"... 2018-07-12 0 2606
1142 윤동주 시작품에서 나오는 "레그혼" 2018-07-12 0 3312
114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 1 2018-07-12 0 2488
114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1, 2, 3 2018-07-11 0 3133
1139 윤동주와 숭실학교 2018-07-11 0 3946
113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모란봉 2018-07-10 0 3571
1137 영원하다... 영원할... 영원하리... 2018-07-10 0 3777
113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모란봉에서 2018-07-09 0 2888
1135 "저 바다 건너 배고픈 아이들 배불리는 빵 한덩이 되고싶다"... 2018-07-09 0 2416
1134 윤동주와 문익환 2018-07-09 0 2761
113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리에서 2018-07-09 0 4483
1132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륙첩방(다다미방)" 2018-07-08 0 4290
1131 윤동주와 정지용, 경향신문 2018-07-08 0 2638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